목차
1. biological evolution을 설명하여라.
2. 아미노산의 특징과 Isoeletric point에 대하여 설명하라.
3. 산성 및 염기성 아미노산 분자 구조를 그려라.
4. ELISA 방법을 설명하라.
5. SDS-PAGE의 원리와 단백질 분자량 측정법을 설명하여라.
6. Fredrick Sanger의 Protein Sequencing 방법(Edman degradation)을 설명하라.
8. 단백질의 3, 4차 구조를 설명하라.
9. Silk와 Collagen의 구조와 그 특징을 설명하라.
10. Cytochrome C로서, Protein evolution을 설명하라.
11. 광우병과 Alzheimer's disease의 원인을 설명하라.
12. 생체내의 buffer system을 설명하라.
13. sickle cell 의 원인과 인류 진화의 증거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14. Hemoglobin의 산소 운반 시 유리한 sigmoid curve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2. 아미노산의 특징과 Isoeletric point에 대하여 설명하라.
3. 산성 및 염기성 아미노산 분자 구조를 그려라.
4. ELISA 방법을 설명하라.
5. SDS-PAGE의 원리와 단백질 분자량 측정법을 설명하여라.
6. Fredrick Sanger의 Protein Sequencing 방법(Edman degradation)을 설명하라.
8. 단백질의 3, 4차 구조를 설명하라.
9. Silk와 Collagen의 구조와 그 특징을 설명하라.
10. Cytochrome C로서, Protein evolution을 설명하라.
11. 광우병과 Alzheimer's disease의 원인을 설명하라.
12. 생체내의 buffer system을 설명하라.
13. sickle cell 의 원인과 인류 진화의 증거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14. Hemoglobin의 산소 운반 시 유리한 sigmoid curve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본문내용
Hemoglobin의 산소 운반 시 유리한 sigmoid curve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1) allosterism 과 cooperative interaction
: Hb의 4차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subunit들이 서로 cooperative 하게 작용하여 O2가
하나둘 결합하거나 해리되기는 힘들지만 결합하거나 해리되기 시작하면 cooperation하 여 결합, 해리가 촉진된다.
2) Bohr effect
: Hb이 O2와 결합, 해리 할 때 H 이온이 영향을 미친다. H 이온에 의해 Hb의 산소가 해리되고 Hb 에 산소가 결합할 때 H 이온을 내놓는다. 따라서 pH가 낮을수록 O2의 포 화도가 낮아지는데 이를 그래프화하면 sigmoid curve가 된다.
3) BPG (Bisphospho glycerate) effect
: Hb의 중앙 구멍에 BPG가 binding하게 되는데 deoxy Hb에는 강하게 binding하고 oxy Hb에는 약하게 binding하여 해리되기 시작한 Hb의 해리도를 높여서 sigmoid curve를 형성할 수 있다.
위 1),2),3) 요인에 의해 Hb는 산소운반 시 유리한 sigmoid curve가 된다.
1) allosterism 과 cooperative interaction
: Hb의 4차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subunit들이 서로 cooperative 하게 작용하여 O2가
하나둘 결합하거나 해리되기는 힘들지만 결합하거나 해리되기 시작하면 cooperation하 여 결합, 해리가 촉진된다.
2) Bohr effect
: Hb이 O2와 결합, 해리 할 때 H 이온이 영향을 미친다. H 이온에 의해 Hb의 산소가 해리되고 Hb 에 산소가 결합할 때 H 이온을 내놓는다. 따라서 pH가 낮을수록 O2의 포 화도가 낮아지는데 이를 그래프화하면 sigmoid curve가 된다.
3) BPG (Bisphospho glycerate) effect
: Hb의 중앙 구멍에 BPG가 binding하게 되는데 deoxy Hb에는 강하게 binding하고 oxy Hb에는 약하게 binding하여 해리되기 시작한 Hb의 해리도를 높여서 sigmoid curve를 형성할 수 있다.
위 1),2),3) 요인에 의해 Hb는 산소운반 시 유리한 sigmoid curve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