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2. 기회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3. 입학사정관(人)의 공정성
Ⅲ.결론
<참고 자료 출처>
Ⅱ. 본론
1.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2. 기회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
3. 입학사정관(人)의 공정성
Ⅲ.결론
<참고 자료 출처>
본문내용
는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으며 학생이 평가 자료를 조작하거나 위조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가진다. (평가의 공정성)
둘째, 입학사정관제도는 기존의 사교육 시작의 범위를 확대하여 교육의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다. 공교육제도에서는 학생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이는 곧 입학 사정관제도에서 요구하는 평가 기준을 만들기 위하여 또 다른 사교육이 필요하게 되며 기존의 성적이외에 차별화된 특별한 스펙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본의 사교육 시장을 확대하는 경향을 가져오고 있다. (기회의 공정성)
셋째, 학생을 선발 하게 되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이는 입학사정관제도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된다. 입학사정관제도의 중요한 특징은 입학사정관을 고용하여 학생을 선발 한다는 점이다. 입학사정관제도가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의 신뢰도가 우선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판별하는 일이 객관적으로 측정되기가 힘들며, 입학사정관제도가 시행되기에 입학서정관의 일력이 턱없이 부족한 지금 입학사정관제도를 시행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혼란만을 줄 뿐이다. (입학사정관의 공정성)
기존의 입시제도가 한 번의 시험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고 일률적으로 학생들을 수치화한다는 점을 비판받아 오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모든 학생에게 주어지는 시험은 똑같기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제도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수치화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기존의 입시제도와 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입학사정관제도는 기존의 입시제도 보다 더욱 사교육을 조장하고 계층 간의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재생산 할 우려가 있다. 입학 사정관 제도는 공교육제도 하에 있는 현실을 개혁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학생들의 부담감만을 늘리고 기회의 불평등을 가져올 것이다. 기존의 성적 위주의 입시제도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학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객관적인 지표로 학생들을 선발한다는 점에서 신뢰성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무리하게 입학사정관 제도를 시행하는 것보다 기존의 입시제도 유지하면서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기존의 입시제도와 공교육이 체제를 변화시키지 않거나 평가 과정에서 공정성과 신뢰성을 바탕에 두고 있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제도는 분명 시기상조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출처>
입학 사정관제 공식 사이트, http://uao.kcue.or.kr/ 한국 대교협
교육 과학 기술 위원회, 2008년 세입세출 결산 및 기금 결산 검토 보고서
서울신문, 2009년 10월 13일
통계청, 2008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표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75170&sc=naver&kind=menu_code&keys=25
매일경제, 집중기획 : 발등의 불! 입학사정관제 8월 3일자
기획 재정부, 201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둘째, 입학사정관제도는 기존의 사교육 시작의 범위를 확대하여 교육의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다. 공교육제도에서는 학생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이는 곧 입학 사정관제도에서 요구하는 평가 기준을 만들기 위하여 또 다른 사교육이 필요하게 되며 기존의 성적이외에 차별화된 특별한 스펙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본의 사교육 시장을 확대하는 경향을 가져오고 있다. (기회의 공정성)
셋째, 학생을 선발 하게 되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이는 입학사정관제도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된다. 입학사정관제도의 중요한 특징은 입학사정관을 고용하여 학생을 선발 한다는 점이다. 입학사정관제도가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의 신뢰도가 우선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판별하는 일이 객관적으로 측정되기가 힘들며, 입학사정관제도가 시행되기에 입학서정관의 일력이 턱없이 부족한 지금 입학사정관제도를 시행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혼란만을 줄 뿐이다. (입학사정관의 공정성)
기존의 입시제도가 한 번의 시험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고 일률적으로 학생들을 수치화한다는 점을 비판받아 오고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모든 학생에게 주어지는 시험은 똑같기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제도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수치화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기존의 입시제도와 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입학사정관제도는 기존의 입시제도 보다 더욱 사교육을 조장하고 계층 간의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재생산 할 우려가 있다. 입학 사정관 제도는 공교육제도 하에 있는 현실을 개혁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학생들의 부담감만을 늘리고 기회의 불평등을 가져올 것이다. 기존의 성적 위주의 입시제도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학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객관적인 지표로 학생들을 선발한다는 점에서 신뢰성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무리하게 입학사정관 제도를 시행하는 것보다 기존의 입시제도 유지하면서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기존의 입시제도와 공교육이 체제를 변화시키지 않거나 평가 과정에서 공정성과 신뢰성을 바탕에 두고 있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제도는 분명 시기상조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출처>
입학 사정관제 공식 사이트, http://uao.kcue.or.kr/ 한국 대교협
교육 과학 기술 위원회, 2008년 세입세출 결산 및 기금 결산 검토 보고서
서울신문, 2009년 10월 13일
통계청, 2008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표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75170&sc=naver&kind=menu_code&keys=25
매일경제, 집중기획 : 발등의 불! 입학사정관제 8월 3일자
기획 재정부, 201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추천자료
새로운 북한 읽기를 위하여
자립형 사립고와 평등권
유아 사회 교육
(자립형 사립고 분석)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책 - 자립형 사립고에 대한 모...
(아동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관하여 논하시오. (완벽정리A+)
영화 사토라레를 보고나서
영어공교육화정책에 대한 모든것(고찰 및 평가)
[교육과정및평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바라보는 교과의 의미를 기술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
고려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지원서 및 추천서 가이드 양식 - 상담심리대학원 기출문제
(A+ 독후감) 동물농장을 읽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실태및 현황,문제점,다문화가족개념
2016년 1학기 유아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