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장소선택 배경
Ⅱ. 송도국제도시의 현황 및 사업계획
Ⅲ. 송도국제도시의 문제점
1. 도시개발
2. 투자유치
3. 홍보 및 마케팅
4. 행정 및 제도개선
5. 외국인 친화적 환경조성 실패
Ⅳ. 해외 도시마케팅 성공사례
1. 두바이
2. 상해
3. 싱가폴
Ⅴ. 송도국제도시의 장소마케팅
1. 장소전략
2. 마케팅전략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Ⅰ. 장소선택 배경
Ⅱ. 송도국제도시의 현황 및 사업계획
Ⅲ. 송도국제도시의 문제점
1. 도시개발
2. 투자유치
3. 홍보 및 마케팅
4. 행정 및 제도개선
5. 외국인 친화적 환경조성 실패
Ⅳ. 해외 도시마케팅 성공사례
1. 두바이
2. 상해
3. 싱가폴
Ⅴ. 송도국제도시의 장소마케팅
1. 장소전략
2. 마케팅전략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야심 찼던 계획과 달리 ‘유령도시’라 불리 우며 이 신도시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외자유치에 실패다. 이에 따라 27조원이 넘게 들어간 빌딩숲에 사람은 없고, 내국인만의 베드타운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실제로 송도국제학교는 외국인이 70% 이상이어야 하지만 그 비율을 채울 수 있을지 미지수다. 따라서 송도국제도시가 지리적 조건을 살려 원래 목표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소 마케팅을 활용해 실패 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진단하고, 지역성을 파악해서 ‘송도’라는 지역에 알맞은 처방전이 절실하다.
추천자료
북한의 개혁과 개방
지역경제통합
유럽 강소국의 경제성장 해부
[고전학파 경제학][신고전학파 경제학]고전학파 경제학과 신고전학파 경제학(고전학파의 역사...
북미자유무역협정
[북한경제개방][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북한경제][북한개혁개방][남북간 경제협력][북한]북...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의 경제회복전략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나진 선봉지구 투자규정에 관하여
시장경제체제와 노동력의 상품화
나라별 경제발전(중국, 스페인, 필리핀), 성공요인, 경제 위기, 해법, 비교분석, 공통점, 차...
2008년 한국 경제위기와 진행과정
중국과 베트남의 해외 직접투자 비교 분석
[경제학] 대공황 이후 거시경제학의 두 학파
시장경제의 이해 1강 시장경제의 기본원리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