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때문에 이 책에 대한 나의 생각도 다위니즘에 한할 뿐만 아니라 저자의 주장이 사실이라는 근거 하에 쓴 것이라 결점이 많다는 것을 계속 느끼면서 썼다. 다위니즘이 정확한 과학적 사실이 아닐뿐더러 나도 이 책의 내용을 전적으로 믿지 않기 때문에 나의 생각을 어필 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다시 한 번 나의 생각을 짧고 간단히 정리하면 ‘이기심을 나쁜 뜻으로 해석하지 말자’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경쟁 사회인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기적인 행동은 사회가 유지되기 위한 당연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생존 기계의 이타적 행동의 원인은 이기심이라는 저자의 생각을 역으로 이용하여 이기적인 유전자에 의한 행동들이 결국 이타적인 결과를 낳기 때문에 좋은 것이고 생존 기계의 이기적 유전자는 종족의 번식을 위한 것으로 결국 우리의 삶의 유지와 번식을 위함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사람들은 읽기 전에 가치관과 신념이 많이 변할 것 같다. 나도 이 책의 전부를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성악설에 근거하여 쓰여진듯한 내용 때문에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생각이 들고 충격에 휩싸일 것이다. 나는 평소에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이 책의 내용은 너무 충격적 이였다. 유전자의 대한 내용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충실해 보이게 쓰여 있기 때문에 책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이 필요한 것 같고 내용을 바로 이해하되 맹목적으로 믿거나 신념마저 붕괴시키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이 책은 충분히 사람을 혼란에 빠트리고 자신의 이기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할 소지가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다시 한 번 나의 생각을 짧고 간단히 정리하면 ‘이기심을 나쁜 뜻으로 해석하지 말자’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경쟁 사회인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기적인 행동은 사회가 유지되기 위한 당연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생존 기계의 이타적 행동의 원인은 이기심이라는 저자의 생각을 역으로 이용하여 이기적인 유전자에 의한 행동들이 결국 이타적인 결과를 낳기 때문에 좋은 것이고 생존 기계의 이기적 유전자는 종족의 번식을 위한 것으로 결국 우리의 삶의 유지와 번식을 위함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난 후의 사람들은 읽기 전에 가치관과 신념이 많이 변할 것 같다. 나도 이 책의 전부를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성악설에 근거하여 쓰여진듯한 내용 때문에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생각이 들고 충격에 휩싸일 것이다. 나는 평소에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이 책의 내용은 너무 충격적 이였다. 유전자의 대한 내용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충실해 보이게 쓰여 있기 때문에 책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이 필요한 것 같고 내용을 바로 이해하되 맹목적으로 믿거나 신념마저 붕괴시키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이 책은 충분히 사람을 혼란에 빠트리고 자신의 이기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할 소지가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