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운송] 복합운송의 기본요건과 프레이트 포워더, 지역별 국제복합일관운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복합운송

Ⅰ. 복합운송의 기본요건

1. 일관된 운송책임
2. 통일된 일관운임의 설정
3. 복합운송증권의 발행

Ⅱ. 프레이트 포워더

1. 복합운송주선업
2. 포워더의 기능
3. 복합운송인의 유형
1) 실제운송인형(캐리어형)
2) 계약운송인형(포워더형)

Ⅲ. 지역별 국제복합일관운송

1. S&A 복합운송
2. 한국-미국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3. 미국 내 내륙운송 사정
1) 철도운송
2) 트럭운송
4. 한국-유럽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5. 유럽 내 내륙운송 사정
6. 한국-아시아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7. 한국-기타 지역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본문내용

컨테이너를 직접 철도대차에 싣고 수송하는 방식)수송이 증가하였다. 1981년 미국선사 APL이 철도의 Flat-Car를 직접 소유하고, 전용열차의 운행을 개시하여 수송시간을 단축하였고, 1984년에는 경제적 효율성이 뛰어났던 컨테이너 2단적재 철도대차(double stacker)를 유닛 트레인(컨테이너 등 특정화물을 정하여 열차운행시간에 따라 운행하는 화물전용열차)을 도입하고 2단 적재열차(Double Stack Train : DST)의 수송이 시작되었다. 더욱이 1985년 이후에는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의 선사들도 DST를 이용하는 복합일관운송의 서비스(북미 서안에서 내륙지역의 운송서비스)를 개시하였다.
DST의 운행방법은 유닛 트레인 방식(선사가 전용열차를 마련하는 방식)과 블록 트레인 방식(철도회사가 마련한 열차일부차량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선사가 유및 트레인을 마련하는 데는 최저 150개 이상의 40피트 컨테이너(40피트 컨테이너 2단 적재차량의 DST 최저단위를 웰이라고 부르고, 웰이 5개가 모여야 독립 유닛(unit)이 구성되고 15-30개 정도의 유닛(unit)으로서 1열차가 형성됨)화물을 정기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이 곤란한 선사는 통상 블록 트레인을 이용하게 된다.
(2) 트럭운송
미국의 트럭수송은 하이웨이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크게 발전하고 있으며 트럭업자는 소규모사업자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그들의 영업을 주(州) 내 영업과 타주(他州)에 걸치는 영업으로 대별되고 있다. 주 내 영업은 그 주의 운수담당국의 면허를, 타주에 걸치는 영업은 1CC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철도운송은 장거리를 담당하고 트럭운송은 중 근거리를 담당하고 있다.
트럭운송의 경제적인 한계는 약 300-400마일 정도가 일반적이다. 1980년 자동차운송사업법시행에 따르는 트럭영업면허의 규제완화가 되어 TL(truck load : 차량단위가 큰 화물) 수송업자의 신규 참여가 늘어나고 있으며, LTL(less than truck load : 소량의 혼재화물)수송업자도 기존 루트 확장을 진척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운임에 대하여도 대폭적인 자유화 조치로 인해, 트럭 업계 신규참여의 증가에 따른 경쟁의 격화 등으로 인해 도산하는 수송업자도 증가하고 있다.
4) 한국 -유럽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1) 아메리카 랜드브리지(ALB)
(2) 캐나다 랜드브리지(CLB)
(3) 유럽항로경유 복합일관운송
(4) 시베리아 랜드브리지(SLB)
(5) 차이나 랜드브리지(CLB)
5) 유럽 내 내륙운송 사정
(1) 철도운송
유럽에 있어서는 철도가 잘 정비되어 있고 컨테이너 수송은 각국의 철도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컨테이너 전용열차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영국 국철(BR)의 자회사 Railfreight Distribution의 일부분인 Freight Liner에 따라 컨테이너 운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독일에서는 국철(DB)의 자회사 Transfracht에 따라 컨테이너 운송을 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국철(SNCF)이 64%, 포워더가 36%를 출자하여 설립한 CNC(compagnie nouvellede conteneurs)가 컨테이너 운송을 운영하고 있다. 유럽 역 내 국제컨테이너운송을 각국 국철의 공동출자에 따라 설립되었던 인터 컨테이너(international Transport by Transcontainer)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인터컨테이너는 1967년에 유럽 11개국(영국, 서독,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프랑스, 스웨덴, 덴마크, 헝가리)의 철도와 INTERFRIGO에 따라 설립되어 1968년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 본사는 브뤼셀이며 영업본부는 스위스 바이젤에 있다. 현재 유럽 22개국과 INTERFRIGO가 참가하고 있다. 인터컨테이너의 멤버인 각국 국철이 대리점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트랜스컨테이너(transcontainer)의 국제운송을 하고 있다. 즉 멤버가 각국 국철의 서비스를 구입하여 그것을 기능적으로 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수요자인 화주, 포워더, 선사에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국 국철을 인터컨테이너의 하청운송업자로서 뿐 아니라 동시에 판매 대리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인터컨테이너의 판매운임은 각국 국철로부터 제시한 구간마다 운임을 집약하여 거기서 일정 수수료를 가산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트럭과의 경쟁사정 등을 감안하여 설정되고 있다.
인터컨테이너는 트랜스컨테이너의 국제운송에서의 운송인으로서 특별한 경우에는 통일적인 계약조건으로 그 수송을 보증하고 있으며 국제철도물품운송조약에 근거하여 운송책임을 진다. 이러한 인터컨테이너 서비스는 국제간 컨테이너수송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고속화물열차로서 'Terminal to Terminal" 또는 각국 도로 운송업자와의 제휴로 'Door to Door'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Intercontainer Unit Train(국제컨테이너전용열차)
주요 항부터 내륙 주요 도시에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서비스, 로테르담-바제루 -밀라노(주 5편, 36시간 소요), 함부르크 -코펜하겐(주 5편, 18시간 소요)
2> TEEM(trans europe express merchundiae)
유럽 각국의 주요 도시를 통상의 화물급행열차로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3> TECE(trans europe container express)
유럽 각국의 주요 도시를 컨테이너 급행열차를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며 인터컨테이너 취급 실적은 1989년에는 1,120천TEU에 달했으며, 이 중 해상 컨테이너가 약 55%이며 영국, 아일랜드 및 SLB로부터의 컨테이너는 약 4%, 나머지는 유럽 역 내 컨테이너 수송이 41%를 차지하고 있다.
6) 한국-아시아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1) 한국 -중국 간 복합일관운송
(2) 한국 - 일본 간 복합일관운송
(3) 한국 -몽골 간 복합일관운송
(4) 한국-동남아지역 간 복합일관운송
7) 한국 -기타 지역 간 해륙복합일관운송
(1) 한국 -호주 복합일관운송
(2) 한국 - 아프리 카 복합일관운송
(3) 한국 -중남미 복합일관운송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1.10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