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 장애인복지
1) 일제강점기(1910~1945)
2) 미군정 이후 1960년대 말까지
3) 1970년대
4) 1980년대
5) 1990년대 이후
2. 최근 장애인복지계의 최대이슈
1) 일제강점기(1910~1945)
2) 미군정 이후 1960년대 말까지
3) 1970년대
4) 1980년대
5) 1990년대 이후
2. 최근 장애인복지계의 최대이슈
본문내용
에 의하면 장애아동의 국내 입양비율은 1%를 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문제를 외국에 떠넘기려 하고 문제의 해결을 다른 곳에서 찾으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복지의 의의를 생각해야 하며 일반인과 장애인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장애인도 인간이기에 그 무엇과도 비교 할 수 없는 존엄성이 있는 존재임을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때이다. 우리는 하나의 대안을 마련하고 혹시 있을지 모를 위기 또한 대비해야한다. 재방이 무너졌다면 빨리 재방을 다시 쌓아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재방을 쌓기는 고사하고 다른 물길을 내고 있다. 물길은 또 다른 대안이 되어야지 당장의 해결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 재방을 쌓고도 충분히 다른 물길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후손들은 의문을 가질지 모른다. ‘우리의 부모세대들은 모두 멍청한 사람들이었나? 어떻게 문제를 이렇게 악화시키게 된 것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봐야한다. 당장이라도 우리주위에 장애인이 항상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그리고 함께 해야 한다고 말해야 한다. 함께할 수 있다고 말해야 한다. 장애인이 나서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나서야 한다. 더 이상의 희생자는 없어야겠다.
추천자료
한국농업 변천과정 연구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과정에 대해
2007년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및 청소년복지 발전방향
특수교육정책
장애인당사자주의
장애인 생활체육 진흥 방안
장애인복지시설의 유형, 장애인복지시설의 법적근거, 장애인복지시설의 4대특별지원사업, 장...
[장애인복지관][재활서비스][주말이용프로그램]장애인복지관의 이념, 장애인복지관의 기본방...
저출산
2013년 1학기 청소년육성제도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청소년육성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청소년육성제도론] 한국사회에서 해방이후 현재까지 청소년육성정책이 형성되고 변화되어온 ...
김대중정부(국민의 정부) 언론개혁,경영개혁, 김대중정부(국민의 정부) 경제개혁(경제혁신),...
[고급아동청소년복지세미나] 영유아보육사업과 불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