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품 해제
1. 1. 작품의 서사 구조
Ⅱ. 작품 분석
2. 1. 비슷한 이야기 구조
2. 2. 다른 이야기 내용
Ⅲ. 결론
<참고 문헌>
1. 1. 작품의 서사 구조
Ⅱ. 작품 분석
2. 1. 비슷한 이야기 구조
2. 2. 다른 이야기 내용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전소설들처럼 죽임을 당하지도 않는다.
Ⅲ. 결론
『월영낭자전』은 적강 모티프, 만득의 아들딸,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난을 겪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점에서 여타의 고전소설과 비슷한 내용과 이야기 구조를 띠고 있다. ‘월영’의 시련과 그것을 극복하고 누리는 행복은 당시 유교적 질서 속에서 고통 받는 여성들을 대리만족시키는 것이었다. 그런데 ‘월영’의 행복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었고, 역설적으로 유교적 질서를 지켰기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천상계가 직접 개입하여 주인공을 고난에서 구하는 내용이나 악인인 ‘설앵’의 자살 등은 다른 고전소설과 차이가 나는 점이다.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에서 서술자가 개입하여 소설의 주제를 직접 말하는 것도 특징이다.
“적선지가(積善之家)의 필유여경(必有餘慶)이요, 적악지가(積惡之家)의 필유여악(必有餘惡)이라. 후세상 사람이 이를 본받아 남자 되거든 충효를 힘쓰고 여자 되거든 정렬(貞烈)을 힘써 오륜삼강(五倫三綱)에 벗어나지 말면 인도 밝고 자연 부귀영화를 보는지라. 이러므로 후인이 충효열(忠孝烈行)을 본받기를 원하노라.”
<참고 문헌>
『월영낭자전, 장경전, 흥부전』, 김기동전규태 편, 1984, 서문당
Ⅲ. 결론
『월영낭자전』은 적강 모티프, 만득의 아들딸,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난을 겪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점에서 여타의 고전소설과 비슷한 내용과 이야기 구조를 띠고 있다. ‘월영’의 시련과 그것을 극복하고 누리는 행복은 당시 유교적 질서 속에서 고통 받는 여성들을 대리만족시키는 것이었다. 그런데 ‘월영’의 행복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었고, 역설적으로 유교적 질서를 지켰기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천상계가 직접 개입하여 주인공을 고난에서 구하는 내용이나 악인인 ‘설앵’의 자살 등은 다른 고전소설과 차이가 나는 점이다.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에서 서술자가 개입하여 소설의 주제를 직접 말하는 것도 특징이다.
“적선지가(積善之家)의 필유여경(必有餘慶)이요, 적악지가(積惡之家)의 필유여악(必有餘惡)이라. 후세상 사람이 이를 본받아 남자 되거든 충효를 힘쓰고 여자 되거든 정렬(貞烈)을 힘써 오륜삼강(五倫三綱)에 벗어나지 말면 인도 밝고 자연 부귀영화를 보는지라. 이러므로 후인이 충효열(忠孝烈行)을 본받기를 원하노라.”
<참고 문헌>
『월영낭자전, 장경전, 흥부전』, 김기동전규태 편, 1984, 서문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