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세력이 존재하지 않고, 국가를 시련에 빠뜨리는 간신의 음해와 임금의 과오도 없는 것은 이 소설의 주제와도 관련이 있다.
3인칭 서술자에 의해 서술되는 ‘경작’은 온후하고 관대한 인물이다. 비범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장우’ 집의 종 생활에 대해서 불평하지 않고, 처가 사람들의 잦은 박대에도 마음을 두지 않는다. 그는 처가(妻家)에서 쫓겨날 때에도 결코 화내지 않았며, 전 재산이 은자 삼백 냥도 더 어려운 사람에게 줘 버린다. 또한 자객 ‘요방’이 목을 베러 왔을 때에도 온화함으로 굴복시킨다. 그래서 서술자는 “사람이 너르고 순하면 복종한다.”라고 말한다. 한편 ‘번왕’의 항복을 받은 후, 다시 만난 ‘경작’과 ‘설태수’가 주고받는 대화는 다른 고대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경작’이 공을 이룬 후에도 청렴 강직한 삶을 살면서 친구들과 함께 술과 가무, 바둑 등으로 소일하는 모습을 장황하게 묘사하는 것도 ‘경작’의 성격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하늘이 어진 사람을 복을 주신다 함이 진실로 허언이 아니다.”라고 결말을 맺는다. 소설의 초점이 ‘경작’의 관대하고 호탕한 성격에 있기에 존재를 위협하는 적대 세력을 등장시킬 수가 없다.
3인칭 서술자에 의해 서술되는 ‘경작’은 온후하고 관대한 인물이다. 비범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장우’ 집의 종 생활에 대해서 불평하지 않고, 처가 사람들의 잦은 박대에도 마음을 두지 않는다. 그는 처가(妻家)에서 쫓겨날 때에도 결코 화내지 않았며, 전 재산이 은자 삼백 냥도 더 어려운 사람에게 줘 버린다. 또한 자객 ‘요방’이 목을 베러 왔을 때에도 온화함으로 굴복시킨다. 그래서 서술자는 “사람이 너르고 순하면 복종한다.”라고 말한다. 한편 ‘번왕’의 항복을 받은 후, 다시 만난 ‘경작’과 ‘설태수’가 주고받는 대화는 다른 고대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경작’이 공을 이룬 후에도 청렴 강직한 삶을 살면서 친구들과 함께 술과 가무, 바둑 등으로 소일하는 모습을 장황하게 묘사하는 것도 ‘경작’의 성격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하늘이 어진 사람을 복을 주신다 함이 진실로 허언이 아니다.”라고 결말을 맺는다. 소설의 초점이 ‘경작’의 관대하고 호탕한 성격에 있기에 존재를 위협하는 적대 세력을 등장시킬 수가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 「박씨전」에 나타나는 사상 - 민간신앙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심청전을 읽고
고전소설 - 방한림전
고전소설의 문화컨텐츠 활용 방안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