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티프
2. 고전 소설의 주요 모티프
2. 1. 만득(晩得)의 외아들 모티프와 적강(謫降) 모티프
2. 2. 혼사 장애 모티프
2. 3. 죽음과 환생
2. 4. 군담 모티프와 영웅의 모습
3. 맺음말
2. 고전 소설의 주요 모티프
2. 1. 만득(晩得)의 외아들 모티프와 적강(謫降) 모티프
2. 2. 혼사 장애 모티프
2. 3. 죽음과 환생
2. 4. 군담 모티프와 영웅의 모습
3. 맺음말
본문내용
랑을 이루고, ‘산백’은 큰 공을 세워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작품의 서두에 등장하는 적강이나 말미에 등장하는 ‘군담(軍談)’은 원래 설화에는 없던 것이다.
여기서 고전소설의 유형인 ‘영웅 소설’과 비교된다.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은 일반적으로 적강한 인물이, 만득의 외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난을 당하다가 구원자를 만나 시련을 극복한다. 이어 도승으로 대표되는 조력자를 만나 비범한 능력을 배우고, 국가적 시련을 극복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그런데 『양산백전』에서는 적강과 만득의 아들딸, 국가적 시련 극복, 부귀영화와 귀천(歸天)은 같지만 다른 부분은 차이가 있다. 부모를 잃고 고난을 당하는 것은 ‘양대’와의 결혼에 실패하는 혼사 장애 모티프로 변했고, 국가적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 조력자를 만나는 이야기도 빠져 있다.
그것은 원작이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조선의 독자층도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조선의 독자층들에게 익숙한 적강과 군담 모티프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은 이런 익숙한 것을 이야기하면서 주인공의 죽음과 환생이라는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원작에서는 ‘양산백’과 ‘축영대’가 두 마리의 나비로 쌍쌍이 날아다니며 춤을 추었다고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죽어서 사랑을 이루고,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귀천(歸天)한다는 행복한 결말로 끝난다.
김기동, 전규태 편저, 『양산백전, 양풍전, 반씨전, 낙성비룡』, 1984, 서문당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1996, 지식산업사
한용환 『소설학 사전』, 1999, 문예출판사
여기서 고전소설의 유형인 ‘영웅 소설’과 비교된다.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은 일반적으로 적강한 인물이, 만득의 외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난을 당하다가 구원자를 만나 시련을 극복한다. 이어 도승으로 대표되는 조력자를 만나 비범한 능력을 배우고, 국가적 시련을 극복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그런데 『양산백전』에서는 적강과 만득의 아들딸, 국가적 시련 극복, 부귀영화와 귀천(歸天)은 같지만 다른 부분은 차이가 있다. 부모를 잃고 고난을 당하는 것은 ‘양대’와의 결혼에 실패하는 혼사 장애 모티프로 변했고, 국가적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 조력자를 만나는 이야기도 빠져 있다.
그것은 원작이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조선의 독자층도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조선의 독자층들에게 익숙한 적강과 군담 모티프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은 이런 익숙한 것을 이야기하면서 주인공의 죽음과 환생이라는 낯선 경험을 하게 된다. 원작에서는 ‘양산백’과 ‘축영대’가 두 마리의 나비로 쌍쌍이 날아다니며 춤을 추었다고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죽어서 사랑을 이루고,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귀천(歸天)한다는 행복한 결말로 끝난다.
김기동, 전규태 편저, 『양산백전, 양풍전, 반씨전, 낙성비룡』, 1984, 서문당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1996, 지식산업사
한용환 『소설학 사전』, 1999, 문예출판사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 「박씨전」에 나타나는 사상 - 민간신앙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심청전을 읽고
고전소설 - 방한림전
고전소설의 문화컨텐츠 활용 방안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