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Ⅱ. 서사 구조 분석
Ⅲ. 맺음말
Ⅱ. 서사 구조 분석
Ⅲ. 맺음말
본문내용
주거나 다음에 일어날 일을 알려준다. 이것은 조력자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과 관련된다. 즉, 조력자에 의해 주인공이 탁월한 능력을 전수받아 스스로 고난을 해결해 나가지 못하기에 꿈을 통해 천상의 예언을 실행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반씨전(潘氏傳)』은 한 가정에서 일어난 비극이 정치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왕은 선악을 분별하지 못했고, 다른 신하들은 ‘채영’ 부자의 지록위마(指鹿爲馬)의 권력에 눌려 바른말을 하지 못한다. 또한 ‘채씨’와 ‘맹씨’의 남편들은 두 악인에게 이끌리기만 할 뿐, 선악을 판별할 능력도 없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것은 남성 위주 사회에 대한 간접적 비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의 비극은 ‘낙포선녀’로 설정된 ‘양부인’의 혼령이 주인공들을 보호하고, ‘위흥’의 입신양명으로 해결된다. 그런 만큼 비현실적인 부분이 강하게 작용한다. 악인들은 개과천선(改過遷善)하기보다는 철저히 응징당하는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을 전달한다. 또한 ‘이적선’, ‘반도’ 등의 인물과 소재로 볼 때, 도교적 색채가 강하다.
<참고 문헌>
『양산백전, 양풍전, 반씨전, 낙성비룡』한국고전문학 100, 김기동전규태 편, 서문당1984
지금까지 살펴본 『반씨전(潘氏傳)』은 한 가정에서 일어난 비극이 정치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왕은 선악을 분별하지 못했고, 다른 신하들은 ‘채영’ 부자의 지록위마(指鹿爲馬)의 권력에 눌려 바른말을 하지 못한다. 또한 ‘채씨’와 ‘맹씨’의 남편들은 두 악인에게 이끌리기만 할 뿐, 선악을 판별할 능력도 없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것은 남성 위주 사회에 대한 간접적 비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의 비극은 ‘낙포선녀’로 설정된 ‘양부인’의 혼령이 주인공들을 보호하고, ‘위흥’의 입신양명으로 해결된다. 그런 만큼 비현실적인 부분이 강하게 작용한다. 악인들은 개과천선(改過遷善)하기보다는 철저히 응징당하는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을 전달한다. 또한 ‘이적선’, ‘반도’ 등의 인물과 소재로 볼 때, 도교적 색채가 강하다.
<참고 문헌>
『양산백전, 양풍전, 반씨전, 낙성비룡』한국고전문학 100, 김기동전규태 편, 서문당1984
추천자료
[고전문학] 「박씨전」에 나타나는 사상 - 민간신앙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심청전을 읽고
고전소설 - 방한림전
고전소설의 문화컨텐츠 활용 방안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