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tep1. <뉴미디어를 어떻게 수용해야 하나?>
1. 뉴미디어를 어떻게 수용해야 하나?
2. 뉴미디어의 특성
3. 뉴미디어의 수용성
4. 뉴미디어의 능동성
5. 자본주의 사회의 기업적 분업에 의해 노동자가 겪는 4가지 소외
6. 뉴미디어의 정보 및 다양성
7. 뉴미디어의 문제점
Step2. <방송과 뉴미디어>
1. 뉴미디어를 어떻게 수용해야 하나?
2. 뉴미디어의 특성
3. 뉴미디어의 수용성
4. 뉴미디어의 능동성
5. 자본주의 사회의 기업적 분업에 의해 노동자가 겪는 4가지 소외
6. 뉴미디어의 정보 및 다양성
7. 뉴미디어의 문제점
Step2. <방송과 뉴미디어>
본문내용
춤을 춥니다. 인터넷뉴스와 포털사이트에선 매일 여자 연예인의 화보, 선정적인 안무나 의상에 대해 떠들고, 드라마에서도 극의 전개와는 무관한 노출, 베드신 등을 만들어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고자 합니다. 불륜과 출생의 비밀, 얽힐대로 얽힌 막장드라마의 선정성이 흥미성으로 둔갑하기도 합니다. 늦은 저녁, 리모컨을 돌리다보면 제 눈을 의심하게 되는 장면들이 방명되고 있곤 합니다.
이런 TV의 선정성 때문에 가족들과 함께 TV를 시청하는 것이 어느 새 부터인가 민망해졌습니다. 성적인 발언을 서슴치 않는 연예인들을 보다보면 제 스스로가 수치심이 들 정도입니다. 또 이러한 것들이 흔히 말하는 ‘19금’의 내용들이기에 정신적으로 보다 성숙한 성인들보다 아직 가치관이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굉장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실례로 청소년들은 방송에 나오는 연예인들의 노출이 심한 의상 등을 여과없이 따라하고, 드라마에 나오는 성인 주인공들의 개방적인 성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또 주로 케이블에서 방영되던 선정적인 프로그램들이 선전하자, 지상파에서까지도 그 형식을 가져와 방영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방송이 진정성보다는 선정성을 추구하게 된 것입니다.
사실 방송국의 입장에선 프로그램에 선정적 장면을 끼워넣을 수 밖에 없습니다. 선정적이면 자연스레 시청률이 높아지고 홍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이 점점 선정적으로 변해가는 것은 비단 방송국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새 부턴가 우리 사회는, 그리고 시청자들은 더욱 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걸 원하게 되었습니다. 선정적인 프로그램들을 가리켜 ‘욕하면서도 보게된다’고 표현합니다. 물론 방송의 표현이 자유로울 수 있고, 선정적 방송을 좋아하고 요구하는 시청자들이 적은 것도 아닙니다. 그들은 그들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볼 권리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런 프로그램 및 방송에 의해 사회적으로 자꾸만 문제가 발생하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면 귀를 기울여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송국뿐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시청자들도 각성하고 깨우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송을 단순히 보면서 웃고 즐기는 수단으로 치부하기 보다는,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들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을 단순히 노출이 아닌 진정성으로 걸러내고 선택할 때야 비로소 방송이 건강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TV의 선정성 때문에 가족들과 함께 TV를 시청하는 것이 어느 새 부터인가 민망해졌습니다. 성적인 발언을 서슴치 않는 연예인들을 보다보면 제 스스로가 수치심이 들 정도입니다. 또 이러한 것들이 흔히 말하는 ‘19금’의 내용들이기에 정신적으로 보다 성숙한 성인들보다 아직 가치관이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굉장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실례로 청소년들은 방송에 나오는 연예인들의 노출이 심한 의상 등을 여과없이 따라하고, 드라마에 나오는 성인 주인공들의 개방적인 성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또 주로 케이블에서 방영되던 선정적인 프로그램들이 선전하자, 지상파에서까지도 그 형식을 가져와 방영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방송이 진정성보다는 선정성을 추구하게 된 것입니다.
사실 방송국의 입장에선 프로그램에 선정적 장면을 끼워넣을 수 밖에 없습니다. 선정적이면 자연스레 시청률이 높아지고 홍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송이 점점 선정적으로 변해가는 것은 비단 방송국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느 새 부턴가 우리 사회는, 그리고 시청자들은 더욱 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걸 원하게 되었습니다. 선정적인 프로그램들을 가리켜 ‘욕하면서도 보게된다’고 표현합니다. 물론 방송의 표현이 자유로울 수 있고, 선정적 방송을 좋아하고 요구하는 시청자들이 적은 것도 아닙니다. 그들은 그들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볼 권리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그런 프로그램 및 방송에 의해 사회적으로 자꾸만 문제가 발생하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면 귀를 기울여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송국뿐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시청자들도 각성하고 깨우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송을 단순히 보면서 웃고 즐기는 수단으로 치부하기 보다는,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들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을 단순히 노출이 아닌 진정성으로 걸러내고 선택할 때야 비로소 방송이 건강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천자료
뉴 미디어와 인간
스포츠산업에서 캐릭터의 효용성
인터넷 신문(개념과 사례,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인터넷 방송의 개념 및 현황, 문제점, 미래와 전망
[인터넷방송][인터넷방송프로그램][온라인방송][인터넷방송정책]인터넷방송의 개념, 인터넷방...
[인터넷방송][인터넷방송환경][인터넷방송컨텐츠][콘텐츠]인터넷방송의 개념, 인터넷방송의 ...
온라인신문(인터넷신문)의 배경 및 유형, 온라인신문(인터넷신문)의 특성, 온라인신문(인터넷...
[홈쇼핑][홈쇼핑시장][홈쇼핑 사례][충동구매][사회적 행위로서 홈쇼핑 의미]홈쇼핑의 개념, ...
광고 매체 연구 분석(매체별 단가, 특징, 장단점, 역사 총망라 50여 페이지 )
[특허정보][특허자료]특허정보의 가치, 특허정보의 특성, 특허정보의 분석, 특허정보의 수집...
[원격교육][원격교육 시스템][원격교육 시스템 사례]원격교육의 의미, 원격교육의 특성, 원격...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정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특성, 인터...
[교수설계][문학교육][직업교육][자기조절학습][웹기반가상수업]교수설계 개념, 교수설계 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사례 SWOT분석 및 발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