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나 좌절하는 모습들을 보이는데 비해 김정한 소설에서는 자신의 삶의 모습을 긍정하면서 현실의 모순과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려고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사하촌」의 등장 인물들은 현실의 상황에 좌절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같은 시기의 김유정 소설의 등장인물인 「금 따는 콩밭」,「만무방」의 ‘영식’이나 ‘응오’처럼 금과 도박 등 부정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극복하지 않는다. 물론 이 두 인물은 나름대로 당시 농촌 사회의 절박함을 대변하고 있다. 마치 “타락한 세상에서 타락한 방법으로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다.
둘째, 어느 한 인물이 주도 아래 이루어진다고 하기보다는 구성원들 모두의 힘을 모아 행동으로 옮기고 있다. 이 소설에서 ‘들깨’는 중심인물로 행동하지만 영웅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으면 인간적인 한계까지 보이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셋째, 이들이 모순된 현실을 인식하고 그들의 힘을 모으는 과정 역시 지식인의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야학당’에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스스로 깨닫는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사하촌」의 등장 인물들은 현실의 상황에 좌절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같은 시기의 김유정 소설의 등장인물인 「금 따는 콩밭」,「만무방」의 ‘영식’이나 ‘응오’처럼 금과 도박 등 부정적인 방법으로 현실을 극복하지 않는다. 물론 이 두 인물은 나름대로 당시 농촌 사회의 절박함을 대변하고 있다. 마치 “타락한 세상에서 타락한 방법으로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다.
둘째, 어느 한 인물이 주도 아래 이루어진다고 하기보다는 구성원들 모두의 힘을 모아 행동으로 옮기고 있다. 이 소설에서 ‘들깨’는 중심인물로 행동하지만 영웅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으면 인간적인 한계까지 보이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셋째, 이들이 모순된 현실을 인식하고 그들의 힘을 모으는 과정 역시 지식인의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야학당’에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스스로 깨닫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