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전
2.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후
3.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 퀴즈 01 ~ 03
2.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후
3.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 퀴즈 01 ~ 03
본문내용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비싼 보육료로 인하여 저소득층보다는 중산층이 주로 이용하여, 실제로 보육시설이라기보다는 유치원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 퀴즈
문제 1>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전의 탁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전통적으로 자녀의 양육은 조부모의 몫으로 여겨져 왔다.
2) 우리나라 최초의 탁아사업은 1921년 태화기독교사회관에서 시작되었다.
3) 6.25 전쟁이후 고아, 미아 등 요보호 아동에 대한 구호적 차원에서 탁아가 이루어졌다.
4) 광복이후 1960년대까지는 사후처리적이고 구호적인 성격을 띠고 탁아사업이 시행되었다.
정답) 답은 1번
전통적으로 자녀의 양육은 가정 특히 어머니의 몫으로 여겨져 왔다.
문제 2>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이후 보육사업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최초로 보육시설에 대한 설치근거가 마련된 법은 1961년에 제정된 아동복리법이다.
2) 아동복리법 제정이후 민간탁아시설은 ‘어린이집’이라고 칭하였다.
3) 1977년 사회복지사업법에는 모든 탁아시설을 법인화하도록 장려하였다.
4) 1970년대 취업모의 증가로 탁아시설이 부족하게 되자 입소대상을 빈민가정의 아동들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였다.
정답) 답은 4번
경제개발에 따른 취업모의 증가로 빈곤층 아동뿐 아니라 일반가정의 아동이 보육시설에 입소하는 비율이 증가하게 되자 1978년 보건복지부는 ‘탁아시설 운영개선안’을 발표하여 어린이집 입소대상을 일반아동으로 확대하고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제시하게 되었다.
문제 3>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이후 보육사업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으로 어린이집, 농번기 탁아소, 새마을 협동 유아원등의 보육관련 시설이 내무부가 주관하는 ‘새마을 유아원’으로 통합되었다.
2)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과 동시에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탁아에 관한 규정이 강화되었다.
3) 새마을 유아원은 종일제와 도시 빈민지역 영세민 자녀와 맞벌이 자녀를 우선 취원시키도록 하였다.
4) 새마을 유아원은 비싼 보육료와 반일반 운영 등과 같이 주로 유치원의 기능을 수행하여 저소득 취업여성이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정답) 답은 2번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과 동시에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탁아에 관한 규정이 삭제되었다.
- 퀴즈
문제 1>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전의 탁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전통적으로 자녀의 양육은 조부모의 몫으로 여겨져 왔다.
2) 우리나라 최초의 탁아사업은 1921년 태화기독교사회관에서 시작되었다.
3) 6.25 전쟁이후 고아, 미아 등 요보호 아동에 대한 구호적 차원에서 탁아가 이루어졌다.
4) 광복이후 1960년대까지는 사후처리적이고 구호적인 성격을 띠고 탁아사업이 시행되었다.
정답) 답은 1번
전통적으로 자녀의 양육은 가정 특히 어머니의 몫으로 여겨져 왔다.
문제 2>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이후 보육사업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최초로 보육시설에 대한 설치근거가 마련된 법은 1961년에 제정된 아동복리법이다.
2) 아동복리법 제정이후 민간탁아시설은 ‘어린이집’이라고 칭하였다.
3) 1977년 사회복지사업법에는 모든 탁아시설을 법인화하도록 장려하였다.
4) 1970년대 취업모의 증가로 탁아시설이 부족하게 되자 입소대상을 빈민가정의 아동들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였다.
정답) 답은 4번
경제개발에 따른 취업모의 증가로 빈곤층 아동뿐 아니라 일반가정의 아동이 보육시설에 입소하는 비율이 증가하게 되자 1978년 보건복지부는 ‘탁아시설 운영개선안’을 발표하여 어린이집 입소대상을 일반아동으로 확대하고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제시하게 되었다.
문제 3>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이후 보육사업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으로 어린이집, 농번기 탁아소, 새마을 협동 유아원등의 보육관련 시설이 내무부가 주관하는 ‘새마을 유아원’으로 통합되었다.
2)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과 동시에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탁아에 관한 규정이 강화되었다.
3) 새마을 유아원은 종일제와 도시 빈민지역 영세민 자녀와 맞벌이 자녀를 우선 취원시키도록 하였다.
4) 새마을 유아원은 비싼 보육료와 반일반 운영 등과 같이 주로 유치원의 기능을 수행하여 저소득 취업여성이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정답) 답은 2번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과 동시에 아동복리법이 아동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탁아에 관한 규정이 삭제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