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용
: 주어를 “나”로 하여 표현하고 그런 느낌을 가지게 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것,
사례> 아들 민수는 오늘도 늦게 일어난다.
-상황 : 민수야 네가 늦게 일어나는 것을 보니
-결과 : 나는 네가 오늘도 늦어서 밥을 먹지 못하고 유치원에 가면 배가 고플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느낌 : 나는 매우 걱정스럽다.
(연습) 5살 지희가 아침에 유치원 버스가 오니까 안 간다고 떼를 쓴다.
상황 :
결과 :
느낌 :
(4) 너 -전달법(You-Message)의 사용과 결과 : 상대방에게 자존심을 상하게 한다.
배려 받지 못하고 무시당한다는 생각을 갖기 쉽다. 반항심과 공격성을 갖게 하여 자성적인 태도를 길러주기 보다 행동 변화를 거부하게 만든다.
라. “칭찬하기” 의 생활화
(1) 구체적인 행동에 대해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한다.
(2) 사랑하는 마음은 자주 표현한다.
(3) 칭찬은 씨를 뿌리는 것과 같다.
예> ①장난감을 스스로 치우다니 대단하다. 잘했구나.
②목욕탕 불을 잊지 않고 껐구나. 고맙다.
마. 실제 사례를 통한 지도
(1) 5세된 아들이 아침에 학원버스만 오면 과자를 사달라고 조른다. 힘이 세서 감당이 안되고 좋게 타일러도 잘 듣지 않는다. 야단을 계속 하면 버릇이 더 나빠질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지도 :
(2) 4살짜리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고 스트레스를 너무 받고 있다. 고집을 피우고 동생이 밉고 싫다며 응석이 너무 심하다.
지도 :
(3) 유치원 다니는 아이를 데리고 물건을 사러 갈 수가 없다. 비교적 자신이 원하는 것은 사주는 편이다. 하지만 끝이 없어서 통제를 하려고 하는데 도무지 말을 듣지 않는다. 정말 난감한 일은 원하는 것을 사주지 않는다고 그곳에서 울고 바닥에 구르기도 한다. 창피해서 얼른 사주고 나와 버렸는데 앞으로 참 걱정이다.
지도 :
<참고자료> “자녀를 꾸짖을 때”
1.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자녀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해 잘못된 행동을 꾸짖을 수밖에 없음을 이해시킨다.
2. 자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부모와 갈등을 경험하는 것은 가족관계와 자녀의 성장을 위한 것임을 이해시킨다.
3. 비난을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잘못을 끄집어내지 않는다.
5.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말해준다.
6. 자녀가 거짓말을 할 때 :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자녀의 두려움을 공감한다.
(진실을 말하는 게 참 어렵지? 그 마음을 엄마도 알 것 같다.)
: 주어를 “나”로 하여 표현하고 그런 느낌을 가지게 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는 것,
사례> 아들 민수는 오늘도 늦게 일어난다.
-상황 : 민수야 네가 늦게 일어나는 것을 보니
-결과 : 나는 네가 오늘도 늦어서 밥을 먹지 못하고 유치원에 가면 배가 고플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느낌 : 나는 매우 걱정스럽다.
(연습) 5살 지희가 아침에 유치원 버스가 오니까 안 간다고 떼를 쓴다.
상황 :
결과 :
느낌 :
(4) 너 -전달법(You-Message)의 사용과 결과 : 상대방에게 자존심을 상하게 한다.
배려 받지 못하고 무시당한다는 생각을 갖기 쉽다. 반항심과 공격성을 갖게 하여 자성적인 태도를 길러주기 보다 행동 변화를 거부하게 만든다.
라. “칭찬하기” 의 생활화
(1) 구체적인 행동에 대해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한다.
(2) 사랑하는 마음은 자주 표현한다.
(3) 칭찬은 씨를 뿌리는 것과 같다.
예> ①장난감을 스스로 치우다니 대단하다. 잘했구나.
②목욕탕 불을 잊지 않고 껐구나. 고맙다.
마. 실제 사례를 통한 지도
(1) 5세된 아들이 아침에 학원버스만 오면 과자를 사달라고 조른다. 힘이 세서 감당이 안되고 좋게 타일러도 잘 듣지 않는다. 야단을 계속 하면 버릇이 더 나빠질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지도 :
(2) 4살짜리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고 스트레스를 너무 받고 있다. 고집을 피우고 동생이 밉고 싫다며 응석이 너무 심하다.
지도 :
(3) 유치원 다니는 아이를 데리고 물건을 사러 갈 수가 없다. 비교적 자신이 원하는 것은 사주는 편이다. 하지만 끝이 없어서 통제를 하려고 하는데 도무지 말을 듣지 않는다. 정말 난감한 일은 원하는 것을 사주지 않는다고 그곳에서 울고 바닥에 구르기도 한다. 창피해서 얼른 사주고 나와 버렸는데 앞으로 참 걱정이다.
지도 :
<참고자료> “자녀를 꾸짖을 때”
1.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자녀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해 잘못된 행동을 꾸짖을 수밖에 없음을 이해시킨다.
2. 자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부모와 갈등을 경험하는 것은 가족관계와 자녀의 성장을 위한 것임을 이해시킨다.
3. 비난을 하지 않는다.
4. 과거의 잘못을 끄집어내지 않는다.
5.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말해준다.
6. 자녀가 거짓말을 할 때 :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자녀의 두려움을 공감한다.
(진실을 말하는 게 참 어렵지? 그 마음을 엄마도 알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