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게 읽을 수 있도록 전위차에 해당하는 pH 척도가 그려져 있다.
3) 지시약의 변색원리를 설명하라.
지시약은 수용액의 액성에 따라 즉, 산성이냐 중성이냐 염기성이냐에 따라 그 색깔이 변함으로써 중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끔 해 주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런 지시약은 대개 약한 산성 또는 약한 염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지시약의 산성형을 HIn, 그 짝염기형을 iN-라고 표시하면 그것의 산염기 평형은 Ka는 지시약의 산 이온화 상수이다.
만약 [H3O+]가 Ka보다 상대적으로 크면 이 비율은 크게 되므로 [HIn]이 [iN-]에 비해 클 것이다. 이 용액의 대부분은 지시약 분자가 산성형이므로 지시약을 산성형 색을 띠게 된다. [H3O+]가 감소하면 르 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산성형의 지시약 분자는 더욱 많이 이온화 되어 염기성형으로 된다. [H3O+]가 Ka에 접근하면 지시약의 두 가지 형태는 거의 같은 양으로 존재하게 되며 색상은 두 가지 지시약의 색이 혼합된 색이 된다. [H3O+]가 Ka보다 훨씬 적을 정도까지 감소하면 염기성형이 더 많아지게 되므로 염기성형의 색이 관찰된다.
4)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록 지시약이 약한 산과 약한 염기지만 적정 실험 시 과량 사용하게 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대표적인 지시약인 산염기 지시약을 이용하여 pH가 각각 1~9인 용액에 넣어서 그 색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그 지시약들을 아세트산에 넣어서 변한 색깔들을 좀 전에 실험한 pH가 각각 1~9인 용액의 색깔들과 비교하여 아세트산이 pH가 몇 인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pH 1 같은 강산도 사용하는 실험이어서 신중해야하고 조심해야하는 실험이었다. 게다가 시험관 수도 상당히 많아서 상당히 오래 걸릴 것 같은 실험이었다. 다행히 우리 조는 차분히 실험을 해서 그런지 아무런 사고 없이 무사히 실험을 끝마칠 수는 있었고 실험 시간도 그렇게 많이 걸리지 않았다. 이번 실험에서도 상당히 힘들었던 부분은 저번 실험과 마찬가지로 색깔을 쓰는 실험이었다. 나는 적록색약이라 그다지 색깔에 대해서 자신감이 없어서 그런지 이번 실험에서 색을 보고 그 색깔을 쓰는 것이 상당히 힘들었던 것 같다. 아무튼 이 부분은 다행히 조원들하고 서로 의견을 맞추면서 썼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쓸 수는 있었지만 오차가 있기는 한 것 같다. 역시 사람의 눈으로 보고 쓰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색깔은 정확한 정의를 내리기 힘들고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니 이러한 오차가 생기는 거라고 생각된다. 아무튼 이번 실험에서도 배운 게 많은 것 같고 실험관이 지시약에 의해서 변한 색깔들이 멋졌기 때문에 신기하고 재미도 있었던 실험이었던 것 같다.
7. References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in
-재미있는 일반화학 실험책
3) 지시약의 변색원리를 설명하라.
지시약은 수용액의 액성에 따라 즉, 산성이냐 중성이냐 염기성이냐에 따라 그 색깔이 변함으로써 중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끔 해 주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런 지시약은 대개 약한 산성 또는 약한 염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지시약의 산성형을 HIn, 그 짝염기형을 iN-라고 표시하면 그것의 산염기 평형은 Ka는 지시약의 산 이온화 상수이다.
만약 [H3O+]가 Ka보다 상대적으로 크면 이 비율은 크게 되므로 [HIn]이 [iN-]에 비해 클 것이다. 이 용액의 대부분은 지시약 분자가 산성형이므로 지시약을 산성형 색을 띠게 된다. [H3O+]가 감소하면 르 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산성형의 지시약 분자는 더욱 많이 이온화 되어 염기성형으로 된다. [H3O+]가 Ka에 접근하면 지시약의 두 가지 형태는 거의 같은 양으로 존재하게 되며 색상은 두 가지 지시약의 색이 혼합된 색이 된다. [H3O+]가 Ka보다 훨씬 적을 정도까지 감소하면 염기성형이 더 많아지게 되므로 염기성형의 색이 관찰된다.
4)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록 지시약이 약한 산과 약한 염기지만 적정 실험 시 과량 사용하게 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시험관에 지시약을 같은 비율로 첨가해야 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대표적인 지시약인 산염기 지시약을 이용하여 pH가 각각 1~9인 용액에 넣어서 그 색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그 지시약들을 아세트산에 넣어서 변한 색깔들을 좀 전에 실험한 pH가 각각 1~9인 용액의 색깔들과 비교하여 아세트산이 pH가 몇 인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pH 1 같은 강산도 사용하는 실험이어서 신중해야하고 조심해야하는 실험이었다. 게다가 시험관 수도 상당히 많아서 상당히 오래 걸릴 것 같은 실험이었다. 다행히 우리 조는 차분히 실험을 해서 그런지 아무런 사고 없이 무사히 실험을 끝마칠 수는 있었고 실험 시간도 그렇게 많이 걸리지 않았다. 이번 실험에서도 상당히 힘들었던 부분은 저번 실험과 마찬가지로 색깔을 쓰는 실험이었다. 나는 적록색약이라 그다지 색깔에 대해서 자신감이 없어서 그런지 이번 실험에서 색을 보고 그 색깔을 쓰는 것이 상당히 힘들었던 것 같다. 아무튼 이 부분은 다행히 조원들하고 서로 의견을 맞추면서 썼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쓸 수는 있었지만 오차가 있기는 한 것 같다. 역시 사람의 눈으로 보고 쓰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색깔은 정확한 정의를 내리기 힘들고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니 이러한 오차가 생기는 거라고 생각된다. 아무튼 이번 실험에서도 배운 게 많은 것 같고 실험관이 지시약에 의해서 변한 색깔들이 멋졌기 때문에 신기하고 재미도 있었던 실험이었던 것 같다.
7. References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in
-재미있는 일반화학 실험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