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1-예비] 다이오드의 특성 (예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1) 반도체[semiconductor]란?
(2)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3) p-n 접합 다이오드
(4) 다이오드의 저항

3. 예비보고사항
(1)다음 개념들을 간단히 설명하여라.
(i) 가전자대(valence band).
(ii) 전도대(Conduction band)
(iii) Pauli의 배타원리(Pauli's exclusion principle)
(iv) 공유결합
(v) 반송자(carrier)
(vi) 부피저항(bulk resistance)
(2) 반도체소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분류하여 간단히 설명하라.
(4) 그림 7, 8의 회로도에서, , 가 왜 필요한가? 또 의 저항 값이 의 저항 값보다 월등히 큰 까닭은 무엇인가?
(5) 사용 다이오드의 정격 사양에서 각양들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여라.
(6) 멀티미터로 다이오드의 극성을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문내용

등이 있고 3단자 소자에는 트랜지스터, 접합형 트랜지스터, 달링턴 트랜지스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절연게이트 접합형 트랜지스터 (IGBT), 단접합 트랜지스터, 광트랜지스터,c정전유도 트랜지스터 (SI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SCR), 게이트분기 사이리스터 (GTO), 트라이액(triac), 광트리거 사이리스터 (LTT), 정전유도 사이리스터 (SI 사이리스터)등이 있다.
(3) 2극 진공관의 전류-전압특성을 알아보고, 이것을 그림 4의 다이오드 특성과 비교하라.
2극 진공관을 발명한 사람은 포레스트라는 미국 사람인데, 그리드에 캐소드로부터 마이너스 전압 V를 걸어주면 열전자가 그리드에서 반발되기 때문에 플레이트에는 전자가 조금 밖에 튀지 않게 된다. 그러나 V를 조금 늦추면 열전자의 양은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 V와 I의 그림을 살펴보면 아래의 그림처럼 된다.
아래 그림에서 살펴보면 2극 진공관과 다이오드의 전류-전압특성과는 다른 모형을 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극 진공관> <다이오드>
(4) 그림 7, 8의 회로도에서, , 가 왜 필요한가? 또 의 저항 값이 의 저항 값보다 월등히 큰 까닭은 무엇인가?
저항이 없다면 가변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가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비교했을 때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가 높게 된다. 그래서 다이오드가 break down 현상(역방향으로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불안정한 회로이므로 안정된 회로로 실험을 하기위해서 저항을 넣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두 번째 경우는 역방향 바이어스회로로써 전류를 차단해야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낮은 전류를 흘려보내기 위해 더 높은 저항을 사용했다고 생각한다.
(5) 사용 다이오드의 정격 사양에서 각양들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여라.
1N은 하나의 접합을 갖는 반도체를 나타내며, 그 다음의 번호는 특정한 소자를 표시한다. 다른 다이오들은 A14F, MR2271처럼 제조회사의 번호로 표시하는 것도 있다.
(6) 멀티미터로 다이오드의 극성을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기 때문에 순방향 쪽으로 저항을 측정하면 전류가 흘러야 되기 때문에 저항이 낮게 측정되며, 반대로 역방향 쪽으로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해야 되기 때문에 저항이 거의 무한대거나 높은 저항이 측정되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2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