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우리나라(한국)의 광고발달과정
Ⅰ. 근대광고 출현 이전기
Ⅱ. 근대광고 태동기(1886~1968년)
Ⅲ. 광고 현대화기
Ⅳ. 광고산업의 급성장기(1980년 이후)
Ⅰ. 근대광고 출현 이전기
Ⅱ. 근대광고 태동기(1886~1968년)
Ⅲ. 광고 현대화기
Ⅳ. 광고산업의 급성장기(1980년 이후)
본문내용
조되어 1985년 KBS 1 TV는 술과 유흥업의 광고를 전면 폐지하였다.
1984년 6월에는 제14차 아시아 광고회의가 서울 힐튼호텔에서 개최되었고, 이를 계기로 한국 광고계가 대외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987년 가을에는 언론기본법이 폐지되었고 언론자유화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 결과 1989년 초까지는 일간신문이 60개로 늘어났고, 수백 종의 잡지가 생겼다.
신문 발행면수도 1988년도에는 16면에서 20면으로 증가했고 완전 자유화되었다. 1987년 12월의 대통령선거에는 일책이 유례없는 정치광고, 판촉전을 가져왔으며, 광고회사가 정치 광고에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의견광고의 물꼬를 터놓게 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은 광고, 판촉행사가 대단히 성행하였다. 88 올림픽을 계기로 북방정책이 표면화되었고, 중국 소련 등 공산권 국가와의 교역가능성이 부상했으며, 그 후 1990년 아시안 게임 주최를 앞두고 중국에 진출하려는 광고계의 움직임도 생겼다.
1989년에는 인쇄매체의 판매부수공사 실시를 준비하는 한국 ABC(Audit Bureau of Circulation)가 발족하였다. 1991년에는 국내 광고시장이 국제적으
로 완전히 개방되었다. 또 이 해에는 SBS TV 방송이 광고방송을 개시하여 TV 광고물량의 극심한 적체현상을 완화하는 데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총 광고비가 급격히 성장하여 1981년 국내 약 3, 200억 원 정도의 규모였던 것이 1987년에는 1조억 원을 돌파하고, 1990년에는 2조억 원을 돌파하여 세계 13위의 광고시장 규모로 집계되었다.
1991년에는 광고대행업이 외국인 투자 자유 업종으로 전환되어 국내광고시장이 완전 개방되었다. 1996년 총광고비가 5조 6천억 원에 이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세계 6위, 아시아 2위의 강대국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한국의 광고시장은 1998년 경제위기로 침체를 겪었으나, 2005년에는 7조 원을 넘어 세계 9위 규모로 회복되었다. 광고회사도200여 개에 이르고 해외진출도 활발하여 제일기획이 동경에 사무소를 설치한 이래 LG 애드는 1995년 북경, 1996년 뉴욕과 싱가포르에 진출하는 등 금강기획, 대홍기획, 동방기획, 오리콤 등이 해외 22개의 사무소 및 현지법인을 신설하여 진출하고 있다. 또한 1996년 서울에서 제35차 세계 광고대회는 한국광고의 눈부신 발전상을 세계에 소개, 한국광고의 위상을 확실하게 세계 선진대열에 올려놓았을 뿐 아니라 우리 광고 산업의 세계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WPP그룹을 비롯한 세계적인 다국적 광고회사들이 국내에 진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한국의 광고는 위성방송시대 개막, 디지털 매체의 등장, 인터넷 인구의 급증 등 미디어환경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도전을 맞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도 시장세분화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소비자 성향도 바뀌어 가고 있다. 광고를 단순히 마케팅의 도구로 여기는 인식에서 제도로써의 광고, 책임 있는 광고를 사회가 요구하고 있다.
1984년 6월에는 제14차 아시아 광고회의가 서울 힐튼호텔에서 개최되었고, 이를 계기로 한국 광고계가 대외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987년 가을에는 언론기본법이 폐지되었고 언론자유화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 결과 1989년 초까지는 일간신문이 60개로 늘어났고, 수백 종의 잡지가 생겼다.
신문 발행면수도 1988년도에는 16면에서 20면으로 증가했고 완전 자유화되었다. 1987년 12월의 대통령선거에는 일책이 유례없는 정치광고, 판촉전을 가져왔으며, 광고회사가 정치 광고에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의견광고의 물꼬를 터놓게 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은 광고, 판촉행사가 대단히 성행하였다. 88 올림픽을 계기로 북방정책이 표면화되었고, 중국 소련 등 공산권 국가와의 교역가능성이 부상했으며, 그 후 1990년 아시안 게임 주최를 앞두고 중국에 진출하려는 광고계의 움직임도 생겼다.
1989년에는 인쇄매체의 판매부수공사 실시를 준비하는 한국 ABC(Audit Bureau of Circulation)가 발족하였다. 1991년에는 국내 광고시장이 국제적으
로 완전히 개방되었다. 또 이 해에는 SBS TV 방송이 광고방송을 개시하여 TV 광고물량의 극심한 적체현상을 완화하는 데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에 총 광고비가 급격히 성장하여 1981년 국내 약 3, 200억 원 정도의 규모였던 것이 1987년에는 1조억 원을 돌파하고, 1990년에는 2조억 원을 돌파하여 세계 13위의 광고시장 규모로 집계되었다.
1991년에는 광고대행업이 외국인 투자 자유 업종으로 전환되어 국내광고시장이 완전 개방되었다. 1996년 총광고비가 5조 6천억 원에 이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세계 6위, 아시아 2위의 강대국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한국의 광고시장은 1998년 경제위기로 침체를 겪었으나, 2005년에는 7조 원을 넘어 세계 9위 규모로 회복되었다. 광고회사도200여 개에 이르고 해외진출도 활발하여 제일기획이 동경에 사무소를 설치한 이래 LG 애드는 1995년 북경, 1996년 뉴욕과 싱가포르에 진출하는 등 금강기획, 대홍기획, 동방기획, 오리콤 등이 해외 22개의 사무소 및 현지법인을 신설하여 진출하고 있다. 또한 1996년 서울에서 제35차 세계 광고대회는 한국광고의 눈부신 발전상을 세계에 소개, 한국광고의 위상을 확실하게 세계 선진대열에 올려놓았을 뿐 아니라 우리 광고 산업의 세계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WPP그룹을 비롯한 세계적인 다국적 광고회사들이 국내에 진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한국의 광고는 위성방송시대 개막, 디지털 매체의 등장, 인터넷 인구의 급증 등 미디어환경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도전을 맞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도 시장세분화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소비자 성향도 바뀌어 가고 있다. 광고를 단순히 마케팅의 도구로 여기는 인식에서 제도로써의 광고, 책임 있는 광고를 사회가 요구하고 있다.
추천자료
[마케팅관리] 마케팅관리의 의의와 과정
[재무관리] 재무관리의 의의(개념, 기능, 중요성)와 체계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의의(유형, 중요성)
[해외파견자관리] 문화환경과 해외파견자의 관리
아동 및 청소년복지 정책의 과제와 전망
[다문화가정] 다문화 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지원의 개선방안,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의 문제...
[고용보장정책] 고령사회와 노인고용의 필요성, 노인고용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
지역사회복지실천분야(지역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지역자...
[노인 여가활동] 여가의 개념과 유형, 여가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우리나라(한국) 노인의 여...
[고용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의 목표,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원, 문제점 및 향후과제
[국민건강보험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목표,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원, 문제점 및 ...
[중소기업과 경영전략] 경영전략의 의의와 중요성, 기본요소와 기능, 수립과정과 유형
[기술혁신] 기술혁신의 의의, 기업규모 및 시장구조와 기술혁신, 특허제도와 사회후생
[소비자교육] 소비자교육의 의의와 목표 및 유형(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