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언어의 구성요소
1) 음운론적 발달
2) 형태론적 발달
3) 구문론적 발달
4) 의미론적 발달
2. 언어발달의 이론
1) 학습이론
2) 생득이론
3) 상호작용이론
3. 언어발달단계
1) 언어발달특징
2) 언어발달단계
1) 음운론적 발달
2) 형태론적 발달
3) 구문론적 발달
4) 의미론적 발달
2. 언어발달의 이론
1) 학습이론
2) 생득이론
3) 상호작용이론
3. 언어발달단계
1) 언어발달특징
2) 언어발달단계
본문내용
발달
미분화된 울음: 초기의 울음, 왜 우는지 알 수 없음
분화된 울음: 고조, 강도, 패턴에 따라 왜 우는지 알 수 있음
-보다 정확한 의사전달의 수단
(2) 옹알이
① 4-5개월에 나타남
② 언어와 유사한 최초의 말소리
③ 옹알이의 기제
신체적 성숙으로 인해 나타나는 근육활동의 결과
농아도 처음에는 옹알이 함
만족스러운 상태에서 많이 나타남
④ 옹알이의 발달
처음에는 옹알이하는 즐거움으로 옹알이함-놀이의 기능
옹알이가 환경에 주는 영향으로 옹알이 하게 됨
-주변사람의 반응에 따라 더 빈번해지고 다양해 지거나, 횟수가 줄어듬
모국어 습득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
-생후 1년까지 옹알이는 전세계적으로 동일. 영아들은 어떤 언어든지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
단어의 의미는 모르지만, 단어의 강세에 따라 계속적인 소리에서 분리된 개별적인 단어를 식별해 냄
-이러한 경로를 통해 영아가 내는 소리는 점차 다양해지며, 인간이 내는 소리를 거의 모두 낼 수 있을 정도로 음소를 확장
-모국어와 음소가 유사한 것만 강화를 받게 되면 외국어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모국어와 유사한 음만 습득하게 되는 음소의 축소현상 발생
(3) 한단어 문장
① 생후 1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음
② 특징:
자음 하나와 모음 하나가 합쳐진 말의 반복
성인의 발음과는 차이가 있음
하나의 단어가 전체 문장을 대신하므로, 영아는 그들 부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사용-사물이나 사건지칭, 자신의 기분이나 욕구를 표현
(4) 두 단어 문장
① 24개월: 문장을 사용
② 단어의 연결
한 단어 문장에 비해 정교하고 명료
강세 위치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바를 강조
5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할 수 있을 때 가능
③ 두 단어 시기의 특징
전문식 문장: 명사와 동사의 결합
자기중심적인 특성
단어로부터 일정한 규칙을 추론
-어떤 단어는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 어떤 것은 동작을 지칭하는데 사용
-단어의미를 알기 전에 문장구성이나 단어배열과 같은 문법적 규칙을 추론
(5) 언어능력과 뇌발달
① 8-9개월: 뇌는 거의 제 기능을 다함-이 시기는 단어의 의미에 관심을 갖는 시기와 일치
② 단어를 빨리 인식하는 능력의 발달
15개월: 친숙한 단어를 인식하는데에도 1초 이상 필요
24개월: 0.6초 내에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언어관련 기능을 뇌의 양반구에서 담당하다가 좌반구가 관장하면서 가능해 짐
미분화된 울음: 초기의 울음, 왜 우는지 알 수 없음
분화된 울음: 고조, 강도, 패턴에 따라 왜 우는지 알 수 있음
-보다 정확한 의사전달의 수단
(2) 옹알이
① 4-5개월에 나타남
② 언어와 유사한 최초의 말소리
③ 옹알이의 기제
신체적 성숙으로 인해 나타나는 근육활동의 결과
농아도 처음에는 옹알이 함
만족스러운 상태에서 많이 나타남
④ 옹알이의 발달
처음에는 옹알이하는 즐거움으로 옹알이함-놀이의 기능
옹알이가 환경에 주는 영향으로 옹알이 하게 됨
-주변사람의 반응에 따라 더 빈번해지고 다양해 지거나, 횟수가 줄어듬
모국어 습득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
-생후 1년까지 옹알이는 전세계적으로 동일. 영아들은 어떤 언어든지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
단어의 의미는 모르지만, 단어의 강세에 따라 계속적인 소리에서 분리된 개별적인 단어를 식별해 냄
-이러한 경로를 통해 영아가 내는 소리는 점차 다양해지며, 인간이 내는 소리를 거의 모두 낼 수 있을 정도로 음소를 확장
-모국어와 음소가 유사한 것만 강화를 받게 되면 외국어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모국어와 유사한 음만 습득하게 되는 음소의 축소현상 발생
(3) 한단어 문장
① 생후 1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음
② 특징:
자음 하나와 모음 하나가 합쳐진 말의 반복
성인의 발음과는 차이가 있음
하나의 단어가 전체 문장을 대신하므로, 영아는 그들 부모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얼굴표정이나 몸짓을 사용-사물이나 사건지칭, 자신의 기분이나 욕구를 표현
(4) 두 단어 문장
① 24개월: 문장을 사용
② 단어의 연결
한 단어 문장에 비해 정교하고 명료
강세 위치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바를 강조
5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할 수 있을 때 가능
③ 두 단어 시기의 특징
전문식 문장: 명사와 동사의 결합
자기중심적인 특성
단어로부터 일정한 규칙을 추론
-어떤 단어는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 어떤 것은 동작을 지칭하는데 사용
-단어의미를 알기 전에 문장구성이나 단어배열과 같은 문법적 규칙을 추론
(5) 언어능력과 뇌발달
① 8-9개월: 뇌는 거의 제 기능을 다함-이 시기는 단어의 의미에 관심을 갖는 시기와 일치
② 단어를 빨리 인식하는 능력의 발달
15개월: 친숙한 단어를 인식하는데에도 1초 이상 필요
24개월: 0.6초 내에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언어관련 기능을 뇌의 양반구에서 담당하다가 좌반구가 관장하면서 가능해 짐
추천자료
[구성주의] 구성주의와 언어학습경험
[하이퍼텍스트학습][하이퍼텍스트]하이퍼텍스트의 개념, 하이퍼텍스트의 기원, 하이퍼텍스트...
[티비토론]TV토론(TV선거토론)의 개념, TV토론(TV선거토론)의 형식과 구성요소, TV토론(TV선...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기본요소,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성격과 목표, 유아언...
[광고언어][광고언어 구성요소][광고언어 표현법][외래어][독자반응][광고언어순화][광고][언...
[의사소통][비언어적 의사소통][촉진적 의사소통]의사소통 의의, 의사소통 구성요소, 의사소...
언어교육을위한환경구성
유아 언어교육 환경구성의 원리, 언어환경 구성요소,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