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적유통관리] 물적유통의 개념과 중요성, 영역, 기능, 물류관리 최근추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물적유통관리

Ⅰ. 물적유통의 개념

Ⅱ. 물적유통의 중요성

Ⅲ. 물적유통의 영역과 기능

Ⅳ. 물류관리의 최근 추세

본문내용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의뢰하였다. 커트컨설팅에 의한 조사결과 의류제품이 원재료에서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66주 정도 걸리는데, 이 중 실제 제조가공 시간은 11주(16.7%)이고 나머지 55주는 창고에서 재고형태로 기다리는 시간임이 밝혀졌다.
- 미국 의류제조 업체의 패션제품의 흐름 및 소요기간 -
이를 개선하기 위해 미국의 의류업체들은 원부자재업체, 소매업체, 그리고 물류서비스
기관과의 전략적 제휴를 바탕으로 한 QRS를 도입함으로써 이 기간을 21주로 단축시켰다.
따라서 QRS는 미국 내 소비자의 취향변화나 재주문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함으로써 수입
의류에 대한 경쟁적 우위를 구축하게 해주었다. 특히 QRS는 이미 시장에 나와 있는 패션
상품을 재주문할 경우 보충 사이클(replenishment cycle)을 과거의 25주에서 6주로 단축
시킴으로써,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상품을 소량으로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QRS의 핵심은 공급자와 고객기업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켜 판매시점에 가장 가까운 지점(real time)에서 수요를 예측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최대한 반영하는 것이다. QRS가 공급연쇄(원부자재 조달-> 생산-> 배송) 전체에 걸쳐 채택된다면, 공급사슬상의 모든 경로구성원들은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패션소매상은 QRS를 통해 제품을 주문한 시점에서 상품 인도시점까지의 리드타임을 단축함으로써 재고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상치 못한 유행품목에 대해 신속한 재주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이 품절되어 추가 판매를 하지 못하는 기회손실의 발생을 적게 해준다. 따라서 소매상단계에 있어서 QRS는 매출 수익증대, 물류비용의 절감, 고객서비스 개선, 높은 상품회전율과 같은 이점을 제공해준다. 제조업자의 경우 QRS는 주문량에 따른 생산과 수요예측이 용이하고 원가절감과 납품기일의 단축으로 재고율 감소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QRS는 최종 소비자에게 다양한 상품구색과 낮은 가격, 서비스 향상 등을 제공하고 이는 소비자만족으로 이어진다.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무선통신과 결합한 무선바코드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물류관리의 혁신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흔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라고 불리우는 이 전자바코드는 이미 미국의 Wal-Mart에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각국의 유통 및 물류 분야의 가장 큰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