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시회 개최 기획
Ⅰ. 전시회 개최 기획의 의의
Ⅱ. 전시회 목표와 예산
Ⅲ. 전시회 개최 준비기간
Ⅰ. 전시회 개최 기획의 의의
Ⅱ. 전시회 목표와 예산
Ⅲ. 전시회 개최 준비기간
본문내용
한다. 이러한 계획기간 동안의 업무는 전시주최자 단독으로 할 수 없으며 전시 장치업체, 비품 및 의상 렌트 업체, 장식 및 음식 서비스업체, 운송업체 등 전시 협력업체, 전시장운영업체, 전시 홍보 마케팅 업체 그리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의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전시장 가용여부는 발리 확인하여 확정 짓는 것이 좋다. 크고 작은 전시회가 수시로 열리는 현실에 비추어보아 전시주최자가 원하는 일정에 전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빨리 선점해 두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시회를 독자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가에 대해서도 깊이 고려해 보아야 한다. 독자적으로 개최할 능력이 있을 때는 상관없겠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다른 협력기관이나 후원기관을 선정하여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도 모색해 보아야 한다. 현재 국내 전시회의 경우 현실적으로 정부 및 관련 협조기관이 없이는 전시회 개최가 쉽지 않은 실정임을 감안해볼 때 후원 및 협력 기관에 대한 선정이 빨리 결정 될수록 전시회 개최 준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시 선진국의 경우 전시기획은 개최 예정일보다 적어도 5년 전에 준비해서 시스템 식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기껏해야 1년 전부터, 심지어 7-8개월 전에 전시회 기획을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전시회가 선진 전시회로 되기 위해서는 전시기획을 개최일 몇 딘 전부터 시작해서 적어도 1년 전까지는 완성되어야 한다. 전시기획이 빨리 완성될수록 그만큼 전시개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므로 치밀하면서도 합리적인 전시 준비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전시 선진국의 경우 전시기획은 개최 예정일보다 적어도 5년 전에 준비해서 시스템 식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기껏해야 1년 전부터, 심지어 7-8개월 전에 전시회 기획을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전시회가 선진 전시회로 되기 위해서는 전시기획을 개최일 몇 딘 전부터 시작해서 적어도 1년 전까지는 완성되어야 한다. 전시기획이 빨리 완성될수록 그만큼 전시개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므로 치밀하면서도 합리적인 전시 준비가 가능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