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날짜
2. 공동 실험자
3. 실험 부품
4.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론
2. 공동 실험자
3. 실험 부품
4.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론
본문내용
기준으로 0000-> 1111로 업 카운트를 하였으며 세그먼트도 이와 마찬가지로 0->15으로 업 계수 카운트 하였다 이때 여기에서 10-15까지의 두 자리 십진수를 가지는 숫자는 세그먼트 출력범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세그먼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았다.
※을 개방 했을 때
그림(6) , 파형
그림(7) , 파형
그림(8) , 파형
- 전체적으로 오실로스코프 그림(6)-(8) 파형을 보았을 때 파형은 2진수 기준으로 1111-> 0000로 다운 카운트를 하였으며 세그먼트도 이와 마찬가지로 15->0으로 다운 계수 카운트 하였다 이때 여기도 역시 10-15까지의 두 자리 십진수를 가지는 숫자는 세그먼트 출력범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세그먼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았다.
③ 입력을 접지로 단락시키고 MC1408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단계 당 전압을 결정하면 표(1)과 같다.
양
측정값
DAC 풀 스케일 출력 전압
-1.8V
Volt / Step
-0.12V
④ 이제 접지로 단락된 입력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펄스발생기를 1kHz로 높인 후 오실로 스코프를 이용하여 DAC의 아날로그 출력을 관찰하면 그림(9)와 그림(10)과 같다.
※을 개방 했을 때
그림(9)
※을 닫았을 때
그림(10)
- 을 개방 했을 때는 그림(6)-(8)의 디지털 파형이 DAC에 입력 단에 입력되자 DAC 출력 단에는 그림(9)와 같이 풀 스케일 전압이 -1.8V이고 -0.12V 간격의 하강 계단형식으로 아날로그와 흡사한 파형이 출력되었다. 또 을 닫았을 때는 그림(3)-(5)의 디지털 파형이 DAC에 입력 단에 입력되자 DAC 출력 단에는 그림(10)과 같이 풀 스케일 전압이 -1.8V이고 -0.12V 간격의 상승 계단형식으로 아날로그와 흡사한 파형이 출력되었다.
※ 추가조사
⑤ 그림(11)과 같은 회로를 실제로 구성한 것은 그림(12)이다.
그림(11)
그림(12)
⑥ 가변저항의 조절기를 회전시킴에 따라 출력숫자가 변경되는 입력전압을 기록하면 표(2)와 같다.
상태
입력 전압
상태
입력 전압
0V
2.45V
0.31V
2.7V
0.62V
3.06V
0.9V
3.37V
1.23V
3.6V
1.5V
3.98V
1.84V
4.2V
2.1V
4.59V
- 표(2)와 같이 세그먼트 상태에 따른 입력전압은 분포했으며 세그먼트 출력은 입력에 대해서 선형적으로 변함을 확인할 수 있다.
5. 결론
-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ADC와 DAC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DAC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IC소자이며 ADC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IC소자입니다. 실험을 하기 전 MC1408의 소자 특성을 잘 파악하지 못해서 예상 결과 값에서 나온 파형을 잘못 기술하였는데 입력 핀 번호가 반전 되서 입력된다고는 생각하지 못해서 나온 실수였습니다. DAC는 실험을 통해 안 사실이지만 입력을 받아서 양단 입력에 가장 큰 수 1111이 들어간다면 풀 스케일 전압이 나오며 그 밑의 수 1110이나 1010등이 들어가면 디지털입력에서 입력 가능한 숫자만큼을 나누어서 아날로그 같이 단위 계단 전압이 출력되어서 아날로그와 거의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이와 다르게 ADC는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해주는 소자였으며 DAC와는 완전히 정반대의 기능을 가진 소자였습니다. 이번 실험을 하는 동안에 큰 문제는 없었으나 실험을 하면서 소자가 고장 난 것이 너무 많아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실험실 소자에 불량품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 외에 다른 문제는 없었으며 이번실험을 통해 ADC와 DAC특성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을 개방 했을 때
그림(6) , 파형
그림(7) , 파형
그림(8) , 파형
- 전체적으로 오실로스코프 그림(6)-(8) 파형을 보았을 때 파형은 2진수 기준으로 1111-> 0000로 다운 카운트를 하였으며 세그먼트도 이와 마찬가지로 15->0으로 다운 계수 카운트 하였다 이때 여기도 역시 10-15까지의 두 자리 십진수를 가지는 숫자는 세그먼트 출력범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세그먼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았다.
③ 입력을 접지로 단락시키고 MC1408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단계 당 전압을 결정하면 표(1)과 같다.
양
측정값
DAC 풀 스케일 출력 전압
-1.8V
Volt / Step
-0.12V
④ 이제 접지로 단락된 입력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펄스발생기를 1kHz로 높인 후 오실로 스코프를 이용하여 DAC의 아날로그 출력을 관찰하면 그림(9)와 그림(10)과 같다.
※을 개방 했을 때
그림(9)
※을 닫았을 때
그림(10)
- 을 개방 했을 때는 그림(6)-(8)의 디지털 파형이 DAC에 입력 단에 입력되자 DAC 출력 단에는 그림(9)와 같이 풀 스케일 전압이 -1.8V이고 -0.12V 간격의 하강 계단형식으로 아날로그와 흡사한 파형이 출력되었다. 또 을 닫았을 때는 그림(3)-(5)의 디지털 파형이 DAC에 입력 단에 입력되자 DAC 출력 단에는 그림(10)과 같이 풀 스케일 전압이 -1.8V이고 -0.12V 간격의 상승 계단형식으로 아날로그와 흡사한 파형이 출력되었다.
※ 추가조사
⑤ 그림(11)과 같은 회로를 실제로 구성한 것은 그림(12)이다.
그림(11)
그림(12)
⑥ 가변저항의 조절기를 회전시킴에 따라 출력숫자가 변경되는 입력전압을 기록하면 표(2)와 같다.
상태
입력 전압
상태
입력 전압
0V
2.45V
0.31V
2.7V
0.62V
3.06V
0.9V
3.37V
1.23V
3.6V
1.5V
3.98V
1.84V
4.2V
2.1V
4.59V
- 표(2)와 같이 세그먼트 상태에 따른 입력전압은 분포했으며 세그먼트 출력은 입력에 대해서 선형적으로 변함을 확인할 수 있다.
5. 결론
-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ADC와 DAC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DAC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IC소자이며 ADC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IC소자입니다. 실험을 하기 전 MC1408의 소자 특성을 잘 파악하지 못해서 예상 결과 값에서 나온 파형을 잘못 기술하였는데 입력 핀 번호가 반전 되서 입력된다고는 생각하지 못해서 나온 실수였습니다. DAC는 실험을 통해 안 사실이지만 입력을 받아서 양단 입력에 가장 큰 수 1111이 들어간다면 풀 스케일 전압이 나오며 그 밑의 수 1110이나 1010등이 들어가면 디지털입력에서 입력 가능한 숫자만큼을 나누어서 아날로그 같이 단위 계단 전압이 출력되어서 아날로그와 거의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이와 다르게 ADC는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해주는 소자였으며 DAC와는 완전히 정반대의 기능을 가진 소자였습니다. 이번 실험을 하는 동안에 큰 문제는 없었으나 실험을 하면서 소자가 고장 난 것이 너무 많아서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실험실 소자에 불량품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 외에 다른 문제는 없었으며 이번실험을 통해 ADC와 DAC특성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추천자료
인터렉티브(INTERACTIVE) TV에 대한 논의
555 타이머
세계 각국의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동향에 관한 보고
'포스코' 멈추지 않는 신화
유비쿼터스정의와 국내외동향
반기독교운동과 치유방안
[인간복제]인간복제의 가능성과 이점, 인간복제의 문제점에 따른 인간복제의 긍정론 및 신중...
[디지털오실로스코프][디지털오실로스코프와 디지털기기의 응용]디지털오실로스코프의 구성, ...
복지재정확충과 사회보장제도 개혁의 과제에 관한 연구
정보화시대 매스커뮤니케이션 개념의 재해석
호텔의 리더십, 인적자원, 조직몰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결과) 실험 10: 온도 센서
[디지털통신] AD 변환기
AVR을 이용하여 광센서(CDS) 제어 및 취침등 만들기 (광센서 제어,CDS,취침등,LED야간등,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