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신학과 종교교육 (Black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 그랜트 S. 쇼클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흑인신학의 기원
제2부 새로운 흑인교회 패러다임
제3부 흑인교회의 해방교육 설계

본문내용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크록킷은 더불어 세 가지의 일반적 원칙들을 제시했다.
① 아프리카계 아메리카인의 종교적 경험의 원천 자원들간의 불가분리성과 구별성
② 개방성을 가지고 해석의 과제에 접급해야 할 필요성
③ 아프리카계 아메리카인들의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감정, 사고,
삶의 과제들과 관련지어 비교하기
* 해방을 위한 (인종 문화적인) 흑인교회 교육의 패러다임 *
도전: 흑인교회는 20세기의 마지막 10년 동안 몇 가지의 주요한 이슈들을 다루는 일에 착수해야 한다.
사명: 흑인교회는 그 구성원들이 개인의 삶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혁명적인 원동력이 되는데 보편적으로 기여하는 교회의 중심적인 신조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지침: 흑인신학과 종교교육을 지역교회에 접목시켜 지침들을 제시해야 한다.
교회의 참여: 교회들은 해방을 위한 흑인들의 투쟁에 동참해야 한다. 즉 교회의 구성원 전체가 그들의 온전한 인격으로 그들의 전체 삶의 정황 속에서 같이 동참해야 한다.
교수-학습: 흑인의 해방 지향적인 종교교육을 위한 교육적인 기초는 실천학습 즉 현실적 상황의 실제적인 변화를 향한 상호작용적인 성찰이다.
커리큘럼 구성: 해방의 교육적 경험을 지향하는 인종 문화적인 흑인교회의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구성해야 한다.
커리큘럼 구성의 주요한 목적
① 성서적/신학적/역사적 통전성: 하나님은 역사에 관심을 가질뿐 아니라 참여한다. 그리고 하나님은 모든 억압당하는 자들과 억압하는 자들을 해방하기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라는 역사적 인물을 통하여 오셨다.
② 상황적 현실: 커리큘럼 구성은 흑인의 종교적 경험의 배경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③ 구조적인 참여: 억압적인 혹은 파괴적인 구조들, 그리고 체제들을 확인하고 분석하고 교정하고 제거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④ 지도력 개발: 인종 문화적인 흑인교회의 해방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교사들과 지도자들을 발굴하고 명단을 작성하고 훈련시키고 지원해야 한다. 덧붙여 해방을 지향하는 지도자-교육자들은 여러 가지 능력들을 더욱 갖추어야 할 것이다.
토의주제
1. 지금 현시대는 흑인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얘기해 보고 흑인신학에 대해 얼마나 들어봤고 알고 있는지 토의해보고 싶습니다.
2. 흑인신학이 특별히 이론적으로 어떠한 부분에 중점을 두어야 할지 생각해보고
흑인신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토의해보고 싶습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0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