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서의 발달
1) 영아기 정서발달
2) 정서발달의 접근법-생물학적 성숙, 인지발달, 사회적 경험
3) 정서표현의 발달
4) 정서이해능력
5) 정서규제능력
2. 기질의 발달
1) 기질의 특성
2) 기질의 구성요소
1) 영아기 정서발달
2) 정서발달의 접근법-생물학적 성숙, 인지발달, 사회적 경험
3) 정서표현의 발달
4) 정서이해능력
5) 정서규제능력
2. 기질의 발달
1) 기질의 특성
2) 기질의 구성요소
본문내용
게 적응, 좌절에 순응
까다로운(difficult) 영아
ⅰ. 전체 연구대상의 10% 차지
ⅱ. 눈을 뜨기 전부터 울고, 생물학적 기능이 불규칙
ⅲ. 적대적이며 작은 좌절에도 강한 반응을 보이며, 새로운 사람이나 상황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
반응이 느린(slow-to-warm-up) 영아
ⅰ. 전체 연구대상의 15% 차지
ⅱ. 수동적이고 새로운 상황에 대해 움츠러드는 경향 보임
ⅲ. 새로운 상황을 좋아하지 않지만, 다시 기회가 주어지면 결극 흥미를 가지고 이에 참여
④ 초기의 기질은 이후에도 지속
까다로운 기질을 보였던 아동은 이후의 학교생활에서도 또래와의 관계나 주의집중에 문제 보임
반응이 느린 아동은 새로운 환경에 빨리 적응하는데 문제를 보임
⑤ 모든 영아를 이런 세가지 분류로 구분할 수 없음- 35%정도의 영아는 어느 집단에도 속하지 않음
(2) EAS 모형
① NYLS 모형에서 35%정도의 영아가 어느 유형에도 분류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여 영아의 기질 구성요소를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의 3가지로 보고 EAS모형을 제시
② 영아의 기질 구성요소
정서성(Emotionality: E)
ⅰ. 정서적 반응 강도: 영아가 자극에 대해 얼마나 빨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가
ⅱ. 정서성이 높은 영아는 쉽게 놀라거나 쉽게 잠에서 깨어나고 큰 소리로 우는 반응을 보임
ⅲ. 정서성에서의 개인차: 영아의 신경계의 차이에서 기인. 어떤 영아는 유전적으로 더 빨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되어 있음
활동성(Activity: A)
ⅰ. 영아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행동의 속도와 강도
ⅱ. 활동성이 높은 영아는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격렬한 활동을 추구
ⅲ. 활동수준은 영아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가를 결정하지만,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는 환경이 결정
사회성(Sociability: S)
ⅰ. 영아가 얼마나 다른 사람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는가를 의미
ⅱ. 사회성이 높은 영아는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하고, 낯선 사람에게도 쉽게 접근
ⅲ. 영아가 양육자와 얼마나 친밀한 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아가 얼마나 사람들로부터의 자극을 좋아하는가를 의미
(3) Rothbart 모형
① 기질의 구성요소로 반응성(reactivity), 자기조절(self-regulation)으로 제시
② 기질의 구성요소 특징
반응성:
ⅰ. EAS모형의 정서성과 유사
ⅱ. 자극에 대해 영아가 얼마나 쉽게 그리고 얼마나 강렬하게 반응하는가
ⅲ. 반응성과 정서성의 차이
ⅰ) 반응성은 긍정적인 반응도 포함
ⅱ) 새로운 장난감을 보고 미소짓기 등
자기조절:
ⅰ. 영아가 스스로 자신의 반응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통제능력을 의미
ⅱ. 새로운 장난감을 보고서 어떻게 접근하며, 어떻게 탐색하는지, 그리고 다른 곳으로 고개를 돌리기 전에 얼마 오래 그 장난감을 보는가 등
(4) 최근의 기질의 연구
① NYLS모형, EAS모형, Rothbart모형들은 기질의 구성요소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함
② 최근의 기질 구성요소
ⅰ. 활동수준: 얼마나 몸을 많이 움직이고 격렬한 활동을 하는가
ⅱ. 접근/긍정적 정서성:
ⅰ)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긍정적 정서반응을 보이는 것
ⅱ) EAS모형의 사회성과 유사
ⅲ. 억제:
ⅰ) 낯선 사람, 낯선 상황, 새로운 물체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회피반응을 보이는 것
ⅱ) 일상생활에서 수줍음과 유사함
ⅳ. 부정적 정서성
ⅰ) 쉽게 화를 내고 짜증을 잘 내고, 좌절을 견디지 못하는 것
ⅱ) EAS모형의 정서성과 유사, NYLS모형에서 ‘까다로운’ 영아가 주로 갖는 특성
ⅴ. 지구력/끈기: 주의를 집중하고 계속 노력하는 능력
까다로운(difficult) 영아
ⅰ. 전체 연구대상의 10% 차지
ⅱ. 눈을 뜨기 전부터 울고, 생물학적 기능이 불규칙
ⅲ. 적대적이며 작은 좌절에도 강한 반응을 보이며, 새로운 사람이나 상황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
반응이 느린(slow-to-warm-up) 영아
ⅰ. 전체 연구대상의 15% 차지
ⅱ. 수동적이고 새로운 상황에 대해 움츠러드는 경향 보임
ⅲ. 새로운 상황을 좋아하지 않지만, 다시 기회가 주어지면 결극 흥미를 가지고 이에 참여
④ 초기의 기질은 이후에도 지속
까다로운 기질을 보였던 아동은 이후의 학교생활에서도 또래와의 관계나 주의집중에 문제 보임
반응이 느린 아동은 새로운 환경에 빨리 적응하는데 문제를 보임
⑤ 모든 영아를 이런 세가지 분류로 구분할 수 없음- 35%정도의 영아는 어느 집단에도 속하지 않음
(2) EAS 모형
① NYLS 모형에서 35%정도의 영아가 어느 유형에도 분류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여 영아의 기질 구성요소를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의 3가지로 보고 EAS모형을 제시
② 영아의 기질 구성요소
정서성(Emotionality: E)
ⅰ. 정서적 반응 강도: 영아가 자극에 대해 얼마나 빨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가
ⅱ. 정서성이 높은 영아는 쉽게 놀라거나 쉽게 잠에서 깨어나고 큰 소리로 우는 반응을 보임
ⅲ. 정서성에서의 개인차: 영아의 신경계의 차이에서 기인. 어떤 영아는 유전적으로 더 빨리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되어 있음
활동성(Activity: A)
ⅰ. 영아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행동의 속도와 강도
ⅱ. 활동성이 높은 영아는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격렬한 활동을 추구
ⅲ. 활동수준은 영아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가를 결정하지만,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는 환경이 결정
사회성(Sociability: S)
ⅰ. 영아가 얼마나 다른 사람과 함께 있기를 좋아하는가를 의미
ⅱ. 사회성이 높은 영아는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하고, 낯선 사람에게도 쉽게 접근
ⅲ. 영아가 양육자와 얼마나 친밀한 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아가 얼마나 사람들로부터의 자극을 좋아하는가를 의미
(3) Rothbart 모형
① 기질의 구성요소로 반응성(reactivity), 자기조절(self-regulation)으로 제시
② 기질의 구성요소 특징
반응성:
ⅰ. EAS모형의 정서성과 유사
ⅱ. 자극에 대해 영아가 얼마나 쉽게 그리고 얼마나 강렬하게 반응하는가
ⅲ. 반응성과 정서성의 차이
ⅰ) 반응성은 긍정적인 반응도 포함
ⅱ) 새로운 장난감을 보고 미소짓기 등
자기조절:
ⅰ. 영아가 스스로 자신의 반응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통제능력을 의미
ⅱ. 새로운 장난감을 보고서 어떻게 접근하며, 어떻게 탐색하는지, 그리고 다른 곳으로 고개를 돌리기 전에 얼마 오래 그 장난감을 보는가 등
(4) 최근의 기질의 연구
① NYLS모형, EAS모형, Rothbart모형들은 기질의 구성요소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함
② 최근의 기질 구성요소
ⅰ. 활동수준: 얼마나 몸을 많이 움직이고 격렬한 활동을 하는가
ⅱ. 접근/긍정적 정서성:
ⅰ)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긍정적 정서반응을 보이는 것
ⅱ) EAS모형의 사회성과 유사
ⅲ. 억제:
ⅰ) 낯선 사람, 낯선 상황, 새로운 물체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회피반응을 보이는 것
ⅱ) 일상생활에서 수줍음과 유사함
ⅳ. 부정적 정서성
ⅰ) 쉽게 화를 내고 짜증을 잘 내고, 좌절을 견디지 못하는 것
ⅱ) EAS모형의 정서성과 유사, NYLS모형에서 ‘까다로운’ 영아가 주로 갖는 특성
ⅴ. 지구력/끈기: 주의를 집중하고 계속 노력하는 능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