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숙인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센터의 장기적 이용, 쉼터에서의 고착화, 임시주거지원 프로그램의 주거에서 이후 주거안정성 상승의 단절 등은 일반화된 사실이다. 이는 한국에서 암묵적으로 전제되었던 주거준비 전략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해보고 이제는 주거우선 접근방식에 대해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해보아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출처: 2010 복지동향>
위 기사에서 보듯이 최종적으로 장기적인 목표는 ‘클라이언트의 주거 안정성 확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보호시설 하나로 끝내면 되는 것이 아니라 상담치료 등 복합적이고 단계적인 해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노숙인들이 최종적으로 임대주택을 구하는 상황까지 가서도 다시 노숙을 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게 많은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상담보호센터의 장기적 이용, 쉼터에서의 고착화, 임시주거지원 프로그램의 주거에서 이후 주거안정성 상승의 단절 등은 사회에서 노력도 필요하지만 노숙인들도 많이 노력을 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을 한다.
***- 일문화 카페는 올해 여성가족부가 (사)노숙인복지회에 위탁, 운영하는 노숙 여성들을 위한 사업장이다. 김 소장은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노숙 여성들에게 무턱대고 일자리를 알선하고 취직시키는 것보다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활을 돕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남성 노숙인들을 위한 재활 쉼터는 있어요. 그러나 여성 노숙인들은 소수자들의 문제라고 생각하죠. 쉼터에 머무를 수 있는 기간은 최장 3년입니다. 이들이 사회에 나가 자립하려면 이들을 가족처럼 꾸준히 지원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합니다."
<출처: 우먼타임즈 주목>
위처럼 우리는 여성 노숙인, 정신지체를 가진 노숙인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시사 프로그램이나, 다큐 등을 즐겨보는 편인데 여성노숙인 (특히 정신지체를 가진 어린 여성)이 다른 같이 노숙하는 남성들 여러명에게 성폭행을 당하는 내용을 정말 많이 보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신체적으로 약자이고 쉽게 범죄의 표적이 되는 것을 생각한다면 여성 노숙인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실제로 노숙인들 사이에서 조사를 하고 그들의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론
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 중 하나가 사회의 노숙인에 대한 시선도 많이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나도 직접 노숙인을 보기 전과 이 조사를 하기 전까지만 해도 노숙인들은 자신들이 노력하지 않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었다. 물론 노숙인들 사이에서 범죄가 많이 일어나고 그들에 대한 인식이 안 좋은 것이 당연하지만 사실 그 사람들이 노력을 하지 않은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경제위기가 오고 실직을 하고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힘들어진 아저씨들도 있을것이고, 그게 우리아버지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었다. 또한 정신지체로 가족들이 돌보아 주지 않아서 할 수 없이 길거리로 나앉게 된 사람들도 분명히 많을 것이다. 적절한 사회복지를 통해서 주거지원을 좀 더 늘리고 쉽게 해 줬으면 하는 바램이 많이 들었다.

키워드

한국,   노숙인,   복지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12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