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담의 의미
2. 프로이트의 생애
3. 프로이트의 이론 - 전의식, 의식, 무의식
4. 프로이트의 이론 - 원초아, 자아, 초자아
5. 프로이트의 이론 - 성격의 발달
2. 프로이트의 생애
3. 프로이트의 이론 - 전의식, 의식, 무의식
4. 프로이트의 이론 - 원초아, 자아, 초자아
5. 프로이트의 이론 - 성격의 발달
본문내용
젖의 양이 부족하거나 인위적으로 수유시간을 엄격하게 통제할 경우 유아는 불만족이 생겨 고착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 때의 고착 현상으로는 과음, 과식, 손가락 빨기, 과도한 흡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나친 구강만족은 자기만족으로 애착의 방향이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이가 나면서 깨물어 뜯음으로써 불쾌 또는 불만족을 표시한다. 논쟁적이고 비판적이며 비꼬기를 잘 하며 타인을 이용하려 하는 성격으로 바뀐다.
2) 항문기
빨아들이는데서 만족을 취하고 긴장해소를 했던 리비도의 영향이 항문으로 이동하는 발달단계로 대소변을 가리는 훈련이 시작되는 18개월부터 3세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배설물을 보유하거나 배설함으로서 만족감을 얻는다. 항문기에는 배변훈련과정에서 배설물을 보유, 배설하려는 유아와 배변훈련을 통해 통제하려는 부모 내지는 사회와 갈등을 겪게 된다. 즉, 본능적 충동은 외부와 관섭과 통제의 경험을 싫어하여 일부러 더 어지럽히거나 지저분하게 함으로써 부모에게 반항하는 것이다.
배변훈련의 또 다른 저항의 형태는 변을 보유하는 것이다. 변을 방출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은 부모를 기다리게 하고 애태우게 하는 수단이 된다. 이 방법이 성공하면 아이는 이런 행동 유형을 반복하게 되어 항문 보유적 성격이 될 수 있다. 이 때 성격은 질서정연하고 깔끔하게 체계적이나 이 배설을 참는 만족을 강하게 경험할 경우 구두쇠나 수전노와 같은 인색함이 고착된 성격으로 나타난다. 반면 배변훈련이 너무 엄격하면 유아는 일부러 지저분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성인이 되면 권위에 대한 불만을 불결, 무책임, 무질서, 고집, 인색, 난폭, 분노, 적개심을 보이는 행동을 한다.
3) 남근기
남근기는 3~6세까지 아동이 자신의 성기를 만지고 자극하는데서 쾌락을 느끼는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부모에게 성적 호기심을 갖게 되면서 동성인 부모에게 성적 동일시를 하므로 남자아이는 남자답게, 여자아이는 여자답게 행동하려고 애쓰며, 아동은 자기중심적 성향이 있더라고 사랑하고 사랑받기를 원하며 특히 칭찬을 갈망한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들 수 있다. 남자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인한 거세불안이 있으며,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하여 아버지의 태도, 가치, 행동패턴을 닮으려고 노력한다. 반면 여자아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로 인해 거세에 대한 믿음이 있고, 남근 선망을 갖는데 프로이트는 이러한 여아의 콤플렉스 극복 과정을 제시하지 않는다.
아빠
엄마
딸
애착
적대
적대
남근기에 고착된 성인 남성은 대부분 경솔하며 과장되고 야심적이며 자부심, 난잡한 성행위, 자기 증오 등의 성격 유형을 나타낸다. 특히 남성의 성적 무기력과 여성의 불감증의 원
인도 남근기의 고착에서 온다.
아들
4) 잠복기
오이디푸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극복한 후에 아동들은 리비도의 활동이 잠잠한 시기에 들어선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성적 욕구가 철저히 억압되므로 리비도가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된다. 이 시기는 학교에 입학하는 시기여서 내부에너지가 외부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과도한 성적 억압을 하면 수치심, 도덕적 반동 형성, 혐오감에 빠질 수 있다. 잠복기에 고착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이성에 대한 정상적인 친밀감을 갖지 못한다.
5) 생식기
생식기는 사춘기로부터 성적으로 성숙되는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이 때는 심한 생리적 변화가 특징이다. 이 시기에 이르면 이성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게 된다. 남녀에게 모두 2차 성징이 일어나며 이전 시기에 확립했던 성적인 주체성에 의해 성인으로 성장한다.
또한 이가 나면서 깨물어 뜯음으로써 불쾌 또는 불만족을 표시한다. 논쟁적이고 비판적이며 비꼬기를 잘 하며 타인을 이용하려 하는 성격으로 바뀐다.
2) 항문기
빨아들이는데서 만족을 취하고 긴장해소를 했던 리비도의 영향이 항문으로 이동하는 발달단계로 대소변을 가리는 훈련이 시작되는 18개월부터 3세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배설물을 보유하거나 배설함으로서 만족감을 얻는다. 항문기에는 배변훈련과정에서 배설물을 보유, 배설하려는 유아와 배변훈련을 통해 통제하려는 부모 내지는 사회와 갈등을 겪게 된다. 즉, 본능적 충동은 외부와 관섭과 통제의 경험을 싫어하여 일부러 더 어지럽히거나 지저분하게 함으로써 부모에게 반항하는 것이다.
배변훈련의 또 다른 저항의 형태는 변을 보유하는 것이다. 변을 방출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은 부모를 기다리게 하고 애태우게 하는 수단이 된다. 이 방법이 성공하면 아이는 이런 행동 유형을 반복하게 되어 항문 보유적 성격이 될 수 있다. 이 때 성격은 질서정연하고 깔끔하게 체계적이나 이 배설을 참는 만족을 강하게 경험할 경우 구두쇠나 수전노와 같은 인색함이 고착된 성격으로 나타난다. 반면 배변훈련이 너무 엄격하면 유아는 일부러 지저분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성인이 되면 권위에 대한 불만을 불결, 무책임, 무질서, 고집, 인색, 난폭, 분노, 적개심을 보이는 행동을 한다.
3) 남근기
남근기는 3~6세까지 아동이 자신의 성기를 만지고 자극하는데서 쾌락을 느끼는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부모에게 성적 호기심을 갖게 되면서 동성인 부모에게 성적 동일시를 하므로 남자아이는 남자답게, 여자아이는 여자답게 행동하려고 애쓰며, 아동은 자기중심적 성향이 있더라고 사랑하고 사랑받기를 원하며 특히 칭찬을 갈망한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들 수 있다. 남자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인한 거세불안이 있으며,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하여 아버지의 태도, 가치, 행동패턴을 닮으려고 노력한다. 반면 여자아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로 인해 거세에 대한 믿음이 있고, 남근 선망을 갖는데 프로이트는 이러한 여아의 콤플렉스 극복 과정을 제시하지 않는다.
아빠
엄마
딸
애착
적대
적대
남근기에 고착된 성인 남성은 대부분 경솔하며 과장되고 야심적이며 자부심, 난잡한 성행위, 자기 증오 등의 성격 유형을 나타낸다. 특히 남성의 성적 무기력과 여성의 불감증의 원
인도 남근기의 고착에서 온다.
아들
4) 잠복기
오이디푸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극복한 후에 아동들은 리비도의 활동이 잠잠한 시기에 들어선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성적 욕구가 철저히 억압되므로 리비도가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된다. 이 시기는 학교에 입학하는 시기여서 내부에너지가 외부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과도한 성적 억압을 하면 수치심, 도덕적 반동 형성, 혐오감에 빠질 수 있다. 잠복기에 고착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이성에 대한 정상적인 친밀감을 갖지 못한다.
5) 생식기
생식기는 사춘기로부터 성적으로 성숙되는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이 때는 심한 생리적 변화가 특징이다. 이 시기에 이르면 이성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있게 된다. 남녀에게 모두 2차 성징이 일어나며 이전 시기에 확립했던 성적인 주체성에 의해 성인으로 성장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이론비교 (정신분석,자아심리,분석심리 이론)
프로이드 발달 이론을 통한 나의 성격 분석
프로이드 스키너 발달이론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방송대)인간과심리_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5단계와에릭슨심리사회적발달8단계비교설명
연령에 따른 아동발달의 특성은 무엇이며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 단계론의 차이에 대해 논...
★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비교 분석★
정신분석이론에 있어서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을 비교하고, 각 이론들의 시사점과 비판점을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이론을 비교분석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역동적 모델(정신에너지 본능이론) 지형학적 모델(의식수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