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용광로란?
Ⅱ. 본 론
1. 유도로
2. 아크용해로
3. 전기로
Ⅲ. 고 찰
Ⅳ. 참고자료
1. 용광로란?
Ⅱ. 본 론
1. 유도로
2. 아크용해로
3. 전기로
Ⅲ. 고 찰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규모이므로 내열강, 고속도강 등의 고급 특수강이나 주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하는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유도로와 저주파유도로로 구분한다. 그러나 아크로만큼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전기로라고 할 때에는 아크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전기로 평면도
2) 전기로 종류
가. Arc로
전극 사이 또는 전극과 피가열물 사이에 전기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목적물을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로, 전호로(電弧爐)라고도 한다. 전극간 아크에서 생기는 복사열로 가열하는 것은 간겁가열식 아크로라 하고, 피가열물에도 전류가 흘러 그 저항발열로 가열에 관여하는 것은 직접가열식 아크로라 한다. 이들 종래의 아크로와 원리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아크방전의 양광주(陽光柱) 주위를 기류로 조일 때 발생하는 고온의 플라스마열을 이용한 플라스마 아크로라는 것도 있다. 아크로는 온도제어가 쉬워 고온을 얻기 쉬우며, 열원(熱源)으로부터 불순물도 섞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강이나 합금철제조, 각종 합금의 용해, 고온화학반응용의 전기로로서 널리 사용된다. 제장에는 3상전력(三相電力)에 의한 에루식 아크로가 사용되며, 근래에 와서 대형화 및 곤전력조업(HP, UHP=Ultra High Power)으로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1, 직접 Arc로
전극과 장입재료간에 발생되는 Arc를 열원으로 하여 장입재료를 용해 시키는 로.
2, 간전 Arc로
2개의 전극사이에 Arc를 발생시켜 그 복사열 및 로내의 반사열로 용해시키는 로.
나. 유도로
피가열물에 교루자기장을 가하여, 이 자기장에 의해 피가열물 속으로 전류가 흘러 용융하는 로 로서 금속을 정제하는데 사용함.
1, 고주파 유도로 (1만 Hz 이상)
1차 코일에 고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생기는 저전압 유도전류를 재료에 전도하여 그 저항열로 재료를 가열, 용해시키는 로.
2, 중주파 유도로 (1만 Hz 이하)
3, 저주파 유도로 (50 ~ 60 Hz)
1차측을 통하는 저주파 전류에 의하여 2차측에 넣어진 용융금속이 유도 가열되어 재룔르 용해시키는 로.
다. 저항로
정항체를 통하여 전류의 저항열을 이용하여 재료를 용융시키는 전기로.
구분
발열방법
발열체
전원
직접로
전열선의 발열
철크롬선,니크롬선
3상 200v
단상 100v
간접로
피가열물에 통전
탄화규소, 캔탈선
사용처 : 용해, 가열, 소결, 어닐링, 담금질, 도자기등의 소성 등
3) 전기로 제강의 특징
① 용탕의 온도조절과 성분조절이 쉽다.
② 열효율이 가장 좋다.
③ 사용원료에 제약이 적고, 모든 강종의 정련에 적합하다.
④ 로내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다.
⑤ 주조용 금속의 용해손실이 적다.
⑥ 회수울이 좋고 정련에 적합하다.
⑦ 불순물의 혼입이 적다.
⑧ 인, 황, 비금속 개재물 및 함유가스의 제거가 쉽다.
⑨ 탈산, 탈황을 동시에 할 수 있다.
⑩ 작은 용량에서 큰 용량까지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다.
Ⅲ. 고 찰
용광로, 유도로, 전기로 그 밖에 다른 로 조사하면서, 내가 모르는 부분까지 알수 있었다. 특히, 용광로에서 무수히 많은 사실을 알았다. 용광로를 찾아 보는 동안 철에도 화학반응식이랑, 더 좋은 철을 생성 하기 위해 어떤 광석, 들어 가는것이 너무 나 신기 했다. 그리고 철의 제조(제철공정)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포스코 홈페이지에 철의 공정 모습도가 너무나 쉽게 설명하는 것을 보고 내가 잘못 이해한 부분도 있었고, 좀 더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너무나 좋았다. 전기로 아크로 그 밖에 많은 로 를 알면서, 비슷하면서도, 각각의 로들의 특성에 따라 다른 점도 있었다. 내가 알지 못한 철강에 대해서도 알았고, 전공 공부도 많은 도움이 될것 같다.
Ⅳ. 참고자료
http://www.samvac.co.kr/sam3.htm
http://www.naver.com
http://kr.blog.yahoo.com/poh0602/31
www.coretech21.co.kr
http://imginde.wisecart.co.kr/co_img006/gwsit/html/steel_education.html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userId=pha38&logId=2511426
http://blog.naver.com/hero5550/60043503327
http://blog.daum.net/_blog/BlogView.do?blogid=0PPwd&articleno=14&admin=
http://blog.daum.net/skgoky119/2
전기로 평면도
2) 전기로 종류
가. Arc로
전극 사이 또는 전극과 피가열물 사이에 전기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목적물을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로, 전호로(電弧爐)라고도 한다. 전극간 아크에서 생기는 복사열로 가열하는 것은 간겁가열식 아크로라 하고, 피가열물에도 전류가 흘러 그 저항발열로 가열에 관여하는 것은 직접가열식 아크로라 한다. 이들 종래의 아크로와 원리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아크방전의 양광주(陽光柱) 주위를 기류로 조일 때 발생하는 고온의 플라스마열을 이용한 플라스마 아크로라는 것도 있다. 아크로는 온도제어가 쉬워 고온을 얻기 쉬우며, 열원(熱源)으로부터 불순물도 섞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강이나 합금철제조, 각종 합금의 용해, 고온화학반응용의 전기로로서 널리 사용된다. 제장에는 3상전력(三相電力)에 의한 에루식 아크로가 사용되며, 근래에 와서 대형화 및 곤전력조업(HP, UHP=Ultra High Power)으로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1, 직접 Arc로
전극과 장입재료간에 발생되는 Arc를 열원으로 하여 장입재료를 용해 시키는 로.
2, 간전 Arc로
2개의 전극사이에 Arc를 발생시켜 그 복사열 및 로내의 반사열로 용해시키는 로.
나. 유도로
피가열물에 교루자기장을 가하여, 이 자기장에 의해 피가열물 속으로 전류가 흘러 용융하는 로 로서 금속을 정제하는데 사용함.
1, 고주파 유도로 (1만 Hz 이상)
1차 코일에 고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생기는 저전압 유도전류를 재료에 전도하여 그 저항열로 재료를 가열, 용해시키는 로.
2, 중주파 유도로 (1만 Hz 이하)
3, 저주파 유도로 (50 ~ 60 Hz)
1차측을 통하는 저주파 전류에 의하여 2차측에 넣어진 용융금속이 유도 가열되어 재룔르 용해시키는 로.
다. 저항로
정항체를 통하여 전류의 저항열을 이용하여 재료를 용융시키는 전기로.
구분
발열방법
발열체
전원
직접로
전열선의 발열
철크롬선,니크롬선
3상 200v
단상 100v
간접로
피가열물에 통전
탄화규소, 캔탈선
사용처 : 용해, 가열, 소결, 어닐링, 담금질, 도자기등의 소성 등
3) 전기로 제강의 특징
① 용탕의 온도조절과 성분조절이 쉽다.
② 열효율이 가장 좋다.
③ 사용원료에 제약이 적고, 모든 강종의 정련에 적합하다.
④ 로내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다.
⑤ 주조용 금속의 용해손실이 적다.
⑥ 회수울이 좋고 정련에 적합하다.
⑦ 불순물의 혼입이 적다.
⑧ 인, 황, 비금속 개재물 및 함유가스의 제거가 쉽다.
⑨ 탈산, 탈황을 동시에 할 수 있다.
⑩ 작은 용량에서 큰 용량까지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다.
Ⅲ. 고 찰
용광로, 유도로, 전기로 그 밖에 다른 로 조사하면서, 내가 모르는 부분까지 알수 있었다. 특히, 용광로에서 무수히 많은 사실을 알았다. 용광로를 찾아 보는 동안 철에도 화학반응식이랑, 더 좋은 철을 생성 하기 위해 어떤 광석, 들어 가는것이 너무 나 신기 했다. 그리고 철의 제조(제철공정)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포스코 홈페이지에 철의 공정 모습도가 너무나 쉽게 설명하는 것을 보고 내가 잘못 이해한 부분도 있었고, 좀 더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너무나 좋았다. 전기로 아크로 그 밖에 많은 로 를 알면서, 비슷하면서도, 각각의 로들의 특성에 따라 다른 점도 있었다. 내가 알지 못한 철강에 대해서도 알았고, 전공 공부도 많은 도움이 될것 같다.
Ⅳ. 참고자료
http://www.samvac.co.kr/sam3.htm
http://www.naver.com
http://kr.blog.yahoo.com/poh0602/31
www.coretech21.co.kr
http://imginde.wisecart.co.kr/co_img006/gwsit/html/steel_education.html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userId=pha38&logId=2511426
http://blog.naver.com/hero5550/60043503327
http://blog.daum.net/_blog/BlogView.do?blogid=0PPwd&articleno=14&admin=
http://blog.daum.net/skgoky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