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대장의 구조와 생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小腸

[1] 소장의 구조

[2] 소장의 생리

(1) 양방생리

(2) 한방생리

2. 大腸

[1] 대장의 구조

[2] 대장의 생리

본문내용

고 있다.
종말회장에 병변이 있던가, 수술절제 되었을 경우, 수분운반에도 담즙산이 중요
한 역할을 하며 담즙산이 대장내 박테리아에 의해 가수분해됨으로서 설사를 조
장시킬 수 있으며 광범위 항생제로 인해 발효기능 억제로도 수분흡수나 Na 흡수
저하를 시킴으로서 설사를 조장시킬수 있다.
2) 분비기능
칼륨은 대장의 표피세포에서 분비되는데 대장의 수분과 전해질의 변동은 궤양성
대장염, 변비약 등 질병의 상태에 따라 다를수 있다. 이들의 조절도 호르몬 기
능에 의해 조절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3) 운동기능
대변은 발효후 형태가 이루어진다. 대장을 기능상으로 분리하면 우측대장은 발효
하는 방이고 좌측대장은 저장과 탈수기능을 가지며 직장은 변을 저장,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신경과 근육간의 자동조절에 의하여 조절된다.
실제 우측 대장운동은 역연동작용이 있고 좌측대장은 원부위쪽으로 강력한 연동
운동을 한다. 식사후에는 이 운동이 강력하게 일어나며 일어나는 간격은 일정
하지 않다.
이렇게 변을 전진시키고 직장에 도달시키며 여기에 대변이 모이게 된다.
이때 직장 내용물이 가스인지, 액체같이 묽은지, 고형인지를 인식하여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는 직장의 저장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방사선 치료나 질병 등으
로 직장의 저장능력이 줄어들면 항문 괄약근의 상태가 좋다 하더라도 변실금 현
상이 생기게 된다.
수술 등으로 항문 외괄약근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반드시 변실금이 오는 것은 아
니며 직장이 확장되면 내괄약근이 먼저 확장되고 다음 외괄약근이 확장되면서 배
변하게 된다.
이는 많은 신경과 골반 기저부의 여러 근육사이에 호환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2) 한방생리
대장은 腎陰之竅이며, 傳導之官으로 비위의 영향을 받아 수곡운화를 완성한다. 폐와 표리관계를 이루어 대장의 기능은 폐기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역으로 장액이 적으면 폐 역시 건조해지며 아울러 연계가 되는 코 또한 마르게 되고 호흡운동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로 소장과 아래로는 穀道와 연접되어 있는 형태로 通의 특징이 있게 되며, 諸泄氣之門이라 칭한다.
1) 대장의 부위
대장은 회장과 광장 및 항문을 포함하여 위로는 蘭門에서 소장과 연접하고 아래는 광장과 상통하는데 광장의 끝을 항문이라고 한다. 회장은 배꼽에 접하고 우측으로 돌면서 소장을 둘러싸고 있다. 脂로 쌓여있는데, 厚하면 장이 實하고 평안하다.
2) 생리적 기능
水穀 傳導
소장이 수곡을 소화시켜 精微를 흡수하고 남은 濁物을 전도받아 수분을 흡수하고 대변을 생성, 배설하는 역할을 한다. 腎膀胱과 연계되어 진액대사를 일부 담당하고 있으므로 적당한 수분 흡수와 운동을 통하여 대변을 형성한다. 폐와 표리관계가 있어 폐의 靑肅 下降 기능이 대장에 전달되므로 대장의 배변기능은 肺氣의 협조를 받아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主津
液은 津에 비하여 체외의 肌育과 皮膚 등을 자양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대장에서 흡수된 진액이 인체의 肌育과 皮膚를 자양하는 역할을 소장이 液을 주하는 기능에 비교하여 대장이 인체 외부의 진액을 주관한다고 한다.

키워드

소장,   대장,   구조,   생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1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