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정의
► 1. 미디어
► 2. K-League
2. 미디어와 K-리그
1. 스포츠에서의 미디어법
2.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기대와 우려
3. 2009년 실제 사례
3. K-리그의 미디어 노출 현황
1. 인터넷 포털 사이트
2. TV 중계
3. 관중 점유율 분석
4. 칼럼들이 보는 시각 - 전문가의 눈
1. 존 듀어든
2. 김현회
5. 결론
6. Q & A
► 1. 미디어
► 2. K-League
2. 미디어와 K-리그
1. 스포츠에서의 미디어법
2.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기대와 우려
3. 2009년 실제 사례
3. K-리그의 미디어 노출 현황
1. 인터넷 포털 사이트
2. TV 중계
3. 관중 점유율 분석
4. 칼럼들이 보는 시각 - 전문가의 눈
1. 존 듀어든
2. 김현회
5. 결론
6. Q & A
본문내용
미디어와 K-League
- 미디어가 K-League에 미친 영향
(K-리그)
┃ 주제 정의
┗━━━━━━━━━━─────────…
► 1. 미디어
◦ TV 중계 현황 / TV News
◦ 인터넷 - 신문
► 2. K-League
◦ K-League
◦ 컵 대회 제외
┃ 스포츠에서의 미디어법
┗━━━━━━━━━━─────────…
┌──────────────────────────────────────────────────
│ 구분 │ Rights Holders │ Contents Providers │ Cable Providers │ Subscribers
├──────────────────────────────────────────────────
│ 종류 │ 각 스포츠 단체 및 │ 스포츠 전문 채널 │ 각 지역 케이블 │ 매달 방송시청을 위해
│ │ 협회 (KFA, KBO, │ (KBSN, MBC-ESPN, │ 방송사 │ 케이블 방송사에
│ │ KBL, KVO 등) │ SBS-SPORTS) │ │ 요금을 납부하는 가구
├──────────────────────────────────────────────────
│ 역할 │ 방송 중계권을 가진 자가 이벤트를 개최 │ ⇐구매 │ ⇐구매 │ ⇐시청료 지급
└──────────────────────────────────────────────────
┃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기대
┗━━━━━━━━━━─────────…
1. 미디어 노출 편향성의 재편 가능성 증대
2. 다양한 컨텐츠 제공에 따른 타 스포츠 미디어 노출의 증가
✔ 비인기 종목의 관심 증대 및 저변 확대 가능
3. 스포츠 미디어의 인프라 구조 변형
1) 스포츠 방송 인력 및 제반 시설 확대
2) 고용확대, 실업해소, 다양한 진로모색
4. Rights Holders의 미디어 의존성 탈피 가능
1) 프로스포츠 수입 구조의 개선
2) Rights Holders = Contents Providers
✔ Ex) MUTV, MLB.COM, NBA.COM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우려
┗━━━━━━━━━━─────────…
1. 방송사 이윤창출을 위한 인기 컨텐츠 확보 과다 경쟁
✔ 메이저 스포츠의 독점 및 인기의 양극화 가능성
2. 해외 스포츠 미디어의 국내 진출 확대
1) 컨텐츠 경쟁력의 비교
2) 시청자의 높아진 눈높이에 따른 국내 스포츠에 대한 관심 저하
3) 국내 스포츠 단체 및 리그 발전의 저해 가능성
3. 거대 미디어의 지역 방송 진출
✔ 지역 방송사 고사 우려 → 시청 유료 전환의 가능성
- 미디어가 K-League에 미친 영향
(K-리그)
┃ 주제 정의
┗━━━━━━━━━━─────────…
► 1. 미디어
◦ TV 중계 현황 / TV News
◦ 인터넷 - 신문
► 2. K-League
◦ K-League
◦ 컵 대회 제외
┃ 스포츠에서의 미디어법
┗━━━━━━━━━━─────────…
┌──────────────────────────────────────────────────
│ 구분 │ Rights Holders │ Contents Providers │ Cable Providers │ Subscribers
├──────────────────────────────────────────────────
│ 종류 │ 각 스포츠 단체 및 │ 스포츠 전문 채널 │ 각 지역 케이블 │ 매달 방송시청을 위해
│ │ 협회 (KFA, KBO, │ (KBSN, MBC-ESPN, │ 방송사 │ 케이블 방송사에
│ │ KBL, KVO 등) │ SBS-SPORTS) │ │ 요금을 납부하는 가구
├──────────────────────────────────────────────────
│ 역할 │ 방송 중계권을 가진 자가 이벤트를 개최 │ ⇐구매 │ ⇐구매 │ ⇐시청료 지급
└──────────────────────────────────────────────────
┃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기대
┗━━━━━━━━━━─────────…
1. 미디어 노출 편향성의 재편 가능성 증대
2. 다양한 컨텐츠 제공에 따른 타 스포츠 미디어 노출의 증가
✔ 비인기 종목의 관심 증대 및 저변 확대 가능
3. 스포츠 미디어의 인프라 구조 변형
1) 스포츠 방송 인력 및 제반 시설 확대
2) 고용확대, 실업해소, 다양한 진로모색
4. Rights Holders의 미디어 의존성 탈피 가능
1) 프로스포츠 수입 구조의 개선
2) Rights Holders = Contents Providers
✔ Ex) MUTV, MLB.COM, NBA.COM
┃미디어법 통과에 따른 우려
┗━━━━━━━━━━─────────…
1. 방송사 이윤창출을 위한 인기 컨텐츠 확보 과다 경쟁
✔ 메이저 스포츠의 독점 및 인기의 양극화 가능성
2. 해외 스포츠 미디어의 국내 진출 확대
1) 컨텐츠 경쟁력의 비교
2) 시청자의 높아진 눈높이에 따른 국내 스포츠에 대한 관심 저하
3) 국내 스포츠 단체 및 리그 발전의 저해 가능성
3. 거대 미디어의 지역 방송 진출
✔ 지역 방송사 고사 우려 → 시청 유료 전환의 가능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