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주의 개념
2. 자주 덕목의 교육 필요성
3. 이야기
4. 선정이유 및 내용 분석
5. 수업에서의 적용 및 발문
2. 자주 덕목의 교육 필요성
3. 이야기
4. 선정이유 및 내용 분석
5. 수업에서의 적용 및 발문
본문내용
해요.
③ 발문2 - 곰 이야기
먹보는 어떤 곰인가요?
- 게으른 곰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기 위한 발문
먹보는 왜 꿀 따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나요?
먹보는 왜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나요?
- 어렵고 싫은 일이기 때문에, 귀찮았기 때문에, 엄마가 꿀을 항상 따다 주었기 때문에,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먹보는 엄마의 충고를 듣고 어떻게 행동했나요?
- 여전이 꿀을 따는 방법과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기서 엄마의 충고는 흔히 아이들이 잔소리라고 느끼는 선생님의 충고와 비슷하다는 점을 은연중에 상기시켜 줄 수 있다. 즉, 선생님의 충고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은연중에 심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먹보가 꿀 따는 방법과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아서 나중에 어떻게 됐나요?
-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주저앉아 울었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러분도 먹보처럼 스스로 배우거나 해야 할일을 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어떻게 될까요?
- 먹보처럼 된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러분들은 먹보처럼 하기 싫고, 귀찮다고 해서 여러분들이 스스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다면 안 되겠지요?
③ 발문2 - 곰 이야기
먹보는 어떤 곰인가요?
- 게으른 곰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기 위한 발문
먹보는 왜 꿀 따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나요?
먹보는 왜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나요?
- 어렵고 싫은 일이기 때문에, 귀찮았기 때문에, 엄마가 꿀을 항상 따다 주었기 때문에,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먹보는 엄마의 충고를 듣고 어떻게 행동했나요?
- 여전이 꿀을 따는 방법과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기서 엄마의 충고는 흔히 아이들이 잔소리라고 느끼는 선생님의 충고와 비슷하다는 점을 은연중에 상기시켜 줄 수 있다. 즉, 선생님의 충고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은연중에 심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먹보가 꿀 따는 방법과 사냥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아서 나중에 어떻게 됐나요?
-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주저앉아 울었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러분도 먹보처럼 스스로 배우거나 해야 할일을 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어떻게 될까요?
- 먹보처럼 된다. 라는 답변을 기대하는 발문
여러분들은 먹보처럼 하기 싫고, 귀찮다고 해서 여러분들이 스스로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다면 안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