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자원봉사의 인정범위에 대한 연구사례
*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증·보상
1. 자원봉사자 인증·보상의 개념
2. 자원봉사 보상의 실태
3. 자원봉사 보상에 대한 연구사례
마. 자원봉사보상에 따른 문제점
*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증·보상
1. 자원봉사자 인증·보상의 개념
2. 자원봉사 보상의 실태
3. 자원봉사 보상에 대한 연구사례
마. 자원봉사보상에 따른 문제점
본문내용
공되는 보상에도 문제가 있다. 보상제도가 아직까지는 실험적 단계이고 주로 민간자원을 이용한 보상을 하고 있지만 활동시간에 비례하지 않고 자원봉사자라면 누구에게나 보상하는 방식은 보상자체의 소중함을 상실하게 한다. 또한 일부에서는 공영주차장 등 공공시설물 이용권 등 금전적 효과를 수반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을 이용하여 보상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더더욱 공정성을 생각해야 한다. 즉, 모든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차별 없이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개별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한 시간만큼 나중에 자원봉사로 돌려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함으로써 언젠가는 보상이 주어지리라는 기대를 제공하는 사례도 있는데, 이는 관공서가 주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책임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실적이 공식적인 보상의 대상이 됨에 따라 자원봉사의 민간성과 자발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사회운동적 속성을 가진 활동을 배척하는 경향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강현·천희·최유진 공저, 『자원봉사센터운영매뉴얼』, 볼런티어21,행정자치부(공편), 2001
김영호·오정옥·전형미 공저, 『자원봉사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2
또한 개별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한 시간만큼 나중에 자원봉사로 돌려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함으로써 언젠가는 보상이 주어지리라는 기대를 제공하는 사례도 있는데, 이는 관공서가 주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책임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실적이 공식적인 보상의 대상이 됨에 따라 자원봉사의 민간성과 자발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사회운동적 속성을 가진 활동을 배척하는 경향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강현·천희·최유진 공저, 『자원봉사센터운영매뉴얼』, 볼런티어21,행정자치부(공편), 2001
김영호·오정옥·전형미 공저, 『자원봉사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