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빨리
교사: 분홍색 문을 두드 린다~ 똑똑똑 똑똑똑 여기 누구 있어요? 어? 아무도 없네~<아무도 없는 화장실 인걸 확인하고 화장실 위에 아이 사진을 올려 놓고 쉬 하는 흉내를 낸다.> 쉬~쉬~ 나왔다~ 야호~~
<자기의 사진이 화장실에서 쉬 한다 는걸 보면 웬지 모를 자신감이 생길 것 같아서 준비해 보았다. 사랑반 모든 친구들의 사진을 들고 사진으로 자신이 쉬하는 모습을 보이게 한다.>
교사: <문 열기 놀이에는 모든 유아들이 참여 할 수 있도록 모든 유아들을 상대로 직접 참여 시킨다. 그렇게 모든 유아들이 참여하고 난 후~>
여러분~ 우리 뽀로로 친구들과 우리 사랑반 친구들이 화장실에서 쉬랑 응가를 너무너무 잘 했죠?
유아: 네~~
교사: 여러분도 쉬랑 응가가 마려우면 어떻게 해야죠?
유아: 화장실에서 해요~~
교사: 맞아요~ 우와~~ 우리 친구들 정말 잘 했어요 사랑해요~<두 팔을 벌려 사랑반 친구들을 꼭 안아 준다>
마무리
교사: 여러분 그리고 화장실에 다녀오면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해요. 우리 친구들 손 씻기 잘 할 수 있어요?
유아: 네~ 할 수 있어요~
교사: <어린이집 화장실 세면대 앞엔 손 씻기 그림판이 있다>
손은 흐르는 물에서 뽀득 뽀득 깨끗하게 잘 씻어야 해요~ 알았죠~
유아: 네~네~네네네~
학습 놀이를 하고 난 뒤에 아이들에 배변가리기의 영상물을 보여준다.
미리 놀이 학습을 통해 인지한 아이들에게 영상을 보여 줌으로써 훨씬 더 이해하기 쉬울 것 이며 알고 있는 내용이 나와서 아이들 역시 발표 하고 이야기 하면서 재밌게 영상을 시청 할 수 있다. 영상에는 화장실 가고 싶은 전 단계 표현부터 바지 벗기, 쉬와 응가를 하고, 엉덩이를 닦고, 화장실 변기 물을 내리고, 옷을 입고, 손 씻기 까지 의 내용을 담은 아이들의 좋아하는 뽀로로가 등장하는 영상물 이다.
그리고 저의 짧은 나의 생각입니다.
쉬를 가리기 위해 선생님들이 시간을 맞추어 쉬를 누게 하는 방법도 많다. 그 방법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이 아니지만 신나게 놀고 있는 아이들에겐 잦은 질문이 스트레스로 다가 올 수 있다. 아이들이 자주 쉬를 싸서 옷을 자주 갈아 입혀도 선생님은 아이들 스스로 방광에 쉬가 차는 것을 느껴서 눌 수 있는 시기를 기다려 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 한다. 또한 쉬를 먼저 가린 친구들이 있기 때문에 모방심리를 이용해 아이들 스스로 터득해 나갈 수 있도록 조금 기다려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교사: 분홍색 문을 두드 린다~ 똑똑똑 똑똑똑 여기 누구 있어요? 어? 아무도 없네~<아무도 없는 화장실 인걸 확인하고 화장실 위에 아이 사진을 올려 놓고 쉬 하는 흉내를 낸다.> 쉬~쉬~ 나왔다~ 야호~~
<자기의 사진이 화장실에서 쉬 한다 는걸 보면 웬지 모를 자신감이 생길 것 같아서 준비해 보았다. 사랑반 모든 친구들의 사진을 들고 사진으로 자신이 쉬하는 모습을 보이게 한다.>
교사: <문 열기 놀이에는 모든 유아들이 참여 할 수 있도록 모든 유아들을 상대로 직접 참여 시킨다. 그렇게 모든 유아들이 참여하고 난 후~>
여러분~ 우리 뽀로로 친구들과 우리 사랑반 친구들이 화장실에서 쉬랑 응가를 너무너무 잘 했죠?
유아: 네~~
교사: 여러분도 쉬랑 응가가 마려우면 어떻게 해야죠?
유아: 화장실에서 해요~~
교사: 맞아요~ 우와~~ 우리 친구들 정말 잘 했어요 사랑해요~<두 팔을 벌려 사랑반 친구들을 꼭 안아 준다>
마무리
교사: 여러분 그리고 화장실에 다녀오면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해요. 우리 친구들 손 씻기 잘 할 수 있어요?
유아: 네~ 할 수 있어요~
교사: <어린이집 화장실 세면대 앞엔 손 씻기 그림판이 있다>
손은 흐르는 물에서 뽀득 뽀득 깨끗하게 잘 씻어야 해요~ 알았죠~
유아: 네~네~네네네~
학습 놀이를 하고 난 뒤에 아이들에 배변가리기의 영상물을 보여준다.
미리 놀이 학습을 통해 인지한 아이들에게 영상을 보여 줌으로써 훨씬 더 이해하기 쉬울 것 이며 알고 있는 내용이 나와서 아이들 역시 발표 하고 이야기 하면서 재밌게 영상을 시청 할 수 있다. 영상에는 화장실 가고 싶은 전 단계 표현부터 바지 벗기, 쉬와 응가를 하고, 엉덩이를 닦고, 화장실 변기 물을 내리고, 옷을 입고, 손 씻기 까지 의 내용을 담은 아이들의 좋아하는 뽀로로가 등장하는 영상물 이다.
그리고 저의 짧은 나의 생각입니다.
쉬를 가리기 위해 선생님들이 시간을 맞추어 쉬를 누게 하는 방법도 많다. 그 방법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이 아니지만 신나게 놀고 있는 아이들에겐 잦은 질문이 스트레스로 다가 올 수 있다. 아이들이 자주 쉬를 싸서 옷을 자주 갈아 입혀도 선생님은 아이들 스스로 방광에 쉬가 차는 것을 느껴서 눌 수 있는 시기를 기다려 주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 한다. 또한 쉬를 먼저 가린 친구들이 있기 때문에 모방심리를 이용해 아이들 스스로 터득해 나갈 수 있도록 조금 기다려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유치원 교육과정에 교수설계모형 적용
삼성어린이집 프로그램 조사
어린이집운영계획안
<(만1세) 주간계획안 및 일일보육일지> 4월 3째주 - 주제 : 새로운 것이 낯설어요Ⅱ / 소주제 ...
[영유아교사론 A형] 발달이론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 수행...
[일일 활동계획안](우리가족 학습지도안)
일일활동계획안(만4세) 생활주제 : 겨울 | 소주제 : 기다리던 눈 (겨울 학습지도안)
손가락가족-조형활동 수업계획안
2016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J형(누리과정 생활주제 &quot;봄여름가을겨울&a...
2016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누리과정 생활주제 &quot;나와 가족&qu...
2017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누리과정 생활주제 - 봄여름가을겨울)
2017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G형(누리과정 생활주제 - 나와 가족)
2018년 2학기 교과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누리과정 생활주제 - 환경과 생활)
(영유아교수방법론 A 형)발달이론에 따른 영유아 교수학습의 유형을 설명하고 그 유형 중 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