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삶의 질 향상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노년기 성 생활 실태
2.1. 노년기 성 욕구 및 능력
2.2. 노년기 성에 대한 인식

3. 노년기 삶의 질
3.1. 노년기 삶의 질의 구성요소
3.2. 노년기 성 생활과 삶의 질의 연관성

4. 노년기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4.1 노년기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고의 필요성
4.2 노년기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고의 방법

5. 결론

참고자원

본문내용

정신적 건강이나 생활만족도, 그리고 자아존중감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노년기의 성역할 태도나 가사 노동 분담 등은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이나, 생활 만족도 등에 높은 수준의 만족을 준다. 그것은 노년의 삶이 심리적으로나 질적으로 보다 풍요롭기 위해서는 부부관계를 위시한 가족관계가 특히 원만해야 하는데, 근대적 성 역할 태도와 이런 태도가 반영된 가사 노동 분담은 원만한 부부관계 및 가족관계의 유지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4. 노년기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4.1 노년기 성에 대한 인식 재고의 필요성
노년기의 성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은 노인 스스로 성을 배척하거나 성 욕구를 애써 잠재우는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 노년기의 성은 정상적일 뿐 아니라 정기적인 성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 결과를 낳는다. 연구 결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노인에게 있어 성 욕구는 일반적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출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노년기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사회적 무관심으로 인해 행복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기회를 잃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인간을 노년기를 거쳐 죽음에 이른다. 이렇듯 누구든지 노년기를 겪게 되기에 노년기의 성에 대한 인식 재고는 더더욱 필요한 것이다. 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노년기 이하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년에 대해 그다지 관심 있게 살펴보지 않는다.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만을 바라보며 노년에 대한 준비는 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확장되어 노인에 대한 사회적인 홀대나 따돌림을 야기하는 것이다. 그러다 자신들이 노인이 되어서야 노년기에 대한 특수성과 소중함을 알게 되지만 이미 자신들이 닦아 놓은 사회적 편견의 길은 자신의 힘으로는 갈아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년기의 성에 대한 인식은 제고 되어야 한다.
4.2 노년기 성에 대한 인식의 재고 방법
노년기 성에 대한 인식을 재고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백석대학교 나임순 교수는 의하면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노인 성문제 전문 상담소 설치, 노년 성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노인 성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연합뉴스, 2010.10.). 나교수가 제안한 여러 가지 방법은 이미 실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사안을 보다 많은 노인들이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안은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이다. 충남 천안시는 노인들이 성(性)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 인식을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로당 140곳을 순회하며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천안시는 노인복지기금을 활용해 4월부터 연말까지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학교수와 성폭력 상담소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강사진이 경로당을 방문해 교육을 추진한다. 홍보물과 교재를 활용해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성(性)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전립선 비대, 야뇨증, 성병, 식이요법, 성 질환 등에 대한 설명과 무료검진 및 상담 등을 안내 한다.
5. 결론
노인들의 성은 존중받아야 마땅하다. 존중받지 못함은 곧 부정적 결과를 낳는다. 노인들의 성이 존중받지 못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문제가 생겨나가 시작했다. ‘박카스 아줌마’들의 출현이 그것이다. 노인이 모여 있는 공원 등지에서 작은 손가방에 박카스를 담아 들고 성 매매를 하는 것이다. 국가에서 이들을 제지하자 도리어 노인들이 자신들의 해방구를 막는다며 소란을 피우기도 했다. 누구나 행복한 삶을 꿈꾼다. 또한 삶의 마지막을 건강하고 순탄하게 맞이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노인들의 성에 대해 보다 열린 마음으로 대하며, 잘못된 인식이나 낭설을 배제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노인이 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 있는 젊은이들이 나서서 노인의 성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야 할 것이다.
참고 자원
장연집 외(2008). 정신건강.
한정화(2010). 노년기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 대구한의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지은(2009). 노년기의 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 연세대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노원 (2007). 노년기 성생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609270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2407&docId=51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1.03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4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