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상을 감지하기 : 몇 가지 기본 원리
시각
기타 감각들
지각적 조직
지각적 해석
시각
기타 감각들
지각적 조직
지각적 해석
본문내용
세상을 감지하기 : 몇 가지 기본 원리
감각(sensation)은 우리가 우리의 머릿속에서 세상을 표상하기 위해 환경으로부터 물리적 에너지를 탐지하고 그것을 신경 신호로 부호화하는 과정이다. 그 다음 순서로 우리는 감각을 선택, 조직, 해석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지각(perception)이라고 한다. 감각 분석 중 상향처리(bottom-up processing)는 감각 수용기에서 시작하는 감각 분석이며 반대로 하향처리(top-down processing)는 경험과 기대에 기초해 지각을 구축하는 형태의 감각 분석이다.
정신 물리학(psychophysics)은 물리적 에너지가 우리의 심리적 경험과 어떻게 관련 되어 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는 절대역(absolute threshold), 식역하(subliminal) 자극, 그리고 차이역(difference threshold)이 있다. 절대역은 빛, 소리, 압력, 맛, 냄새 등 어떤 특별한 자극을 탐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 강도이다. 우리의 절대역은 50-50지점인데 이는 우리가 감각을 정확하게 탐지한 시기의 절반과 탐지하지 못한 시기의 절반인 지점이다. 식역하 자극은 고도의 암시력을 발휘하며 우리는 이러한 식역하 자극을 무의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때때로 알지 못하거나 기술할 수 없는 것도 느낄 수 있다. 차이역은 두 자극을 구분할 수 있는 시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최소 차이이며 자극들의 크기와 함께 증가한다. 이는 우리에게 자극 간의 작은 차이를 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적용되는 베버의 법칙은 두 자극의 차이가 지각되기 위해서는 두 자극이 일정한 비율만큼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이란 변하지 않는 자극에 대해 민감도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우리의 신경세포는 적게 발화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감각순응에 의해 유익하지 않은 일정한 복장, 냄새, 거리의 소음 등과 같은 자극에 의해 산만해지지 않으면서 유용한 환경의 변화에 집중할 수 있다. 감각들 간의 공통점은 모든 감각은 감각 자극을 수용하고, 이를 신경 정보로 전환시키며 그 정보를 뇌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각
우리는 한 종류의 에너지를 다른 종류의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감각계는 자극 에너지를 신경 메시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감각(sensation)은 우리가 우리의 머릿속에서 세상을 표상하기 위해 환경으로부터 물리적 에너지를 탐지하고 그것을 신경 신호로 부호화하는 과정이다. 그 다음 순서로 우리는 감각을 선택, 조직, 해석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지각(perception)이라고 한다. 감각 분석 중 상향처리(bottom-up processing)는 감각 수용기에서 시작하는 감각 분석이며 반대로 하향처리(top-down processing)는 경험과 기대에 기초해 지각을 구축하는 형태의 감각 분석이다.
정신 물리학(psychophysics)은 물리적 에너지가 우리의 심리적 경험과 어떻게 관련 되어 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는 절대역(absolute threshold), 식역하(subliminal) 자극, 그리고 차이역(difference threshold)이 있다. 절대역은 빛, 소리, 압력, 맛, 냄새 등 어떤 특별한 자극을 탐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 강도이다. 우리의 절대역은 50-50지점인데 이는 우리가 감각을 정확하게 탐지한 시기의 절반과 탐지하지 못한 시기의 절반인 지점이다. 식역하 자극은 고도의 암시력을 발휘하며 우리는 이러한 식역하 자극을 무의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때때로 알지 못하거나 기술할 수 없는 것도 느낄 수 있다. 차이역은 두 자극을 구분할 수 있는 시기의 절반에 해당되는 최소 차이이며 자극들의 크기와 함께 증가한다. 이는 우리에게 자극 간의 작은 차이를 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적용되는 베버의 법칙은 두 자극의 차이가 지각되기 위해서는 두 자극이 일정한 비율만큼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이란 변하지 않는 자극에 대해 민감도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일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우리의 신경세포는 적게 발화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감각순응에 의해 유익하지 않은 일정한 복장, 냄새, 거리의 소음 등과 같은 자극에 의해 산만해지지 않으면서 유용한 환경의 변화에 집중할 수 있다. 감각들 간의 공통점은 모든 감각은 감각 자극을 수용하고, 이를 신경 정보로 전환시키며 그 정보를 뇌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각
우리는 한 종류의 에너지를 다른 종류의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감각계는 자극 에너지를 신경 메시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추천자료
[심리학][심리학이론][심리학자][심리학 접근 방법][심리학 제관점][심리학파]심리학의 어원,...
[심리학][인간심리변화][분석심리학][과학이론][심리학적 연구가 과학이론에 주는 의의]심리...
[심리학 유형][개인심리학][건강과 심리학][공포와 불안 심리학][우울증과 심리학][개의 행동...
[심리학][심리학이론][분트][에릭슨][프로이드]심리학의 정의, 발달, 심리학의 필요성, 관점,...
[심리학][분석심리학과 구비문학][분석심리학적 놀이치료]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의 목적, 심...
[심리학의 개념][심리학의 분야][심리검사의 기능][이상행동의 종류][정신장애 이상행동의 예...
심리학의본질과이해-심리학개론-심리학이론-심리학역사-심리학의 정의-심리학자
[스포츠심리학][스포츠][심리학][성격측정][관중][스포츠와 성격측정]스포츠와 성격측정, 스...
[스포츠심리학][스포츠][심리학][심리][스포츠심리]스포츠심리학의 정의, 스포츠심리학의 분...
교육심리(교육심리학)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 자아와 본능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