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장 연습문제 1,4
3장 연습문제 1,2
4장 연습문제 2,3
5장 연습문제 1,7
6장 연습문제 1,6
7장 연습문제 1,2
8장 연습문제 1,2
9장 연습문제 3,5
10장 연습문제 4,6
11장 연습문제 5,6
3장 연습문제 1,2
4장 연습문제 2,3
5장 연습문제 1,7
6장 연습문제 1,6
7장 연습문제 1,2
8장 연습문제 1,2
9장 연습문제 3,5
10장 연습문제 4,6
11장 연습문제 5,6
본문내용
국제경제학 One Page Report
2장 연습문제 1,4
1. 캐나다와 호주의 무역량 차이나는 이유는?
무역의 장애물 : 거리, 무역장벽, 국경
이 중에서 거리 라는 장애물을 생각해보면, 캐나다는 NAFTA로 경제 규모가 큰 미국과 멕시코와 관세나 국제구멱의 다른 장벽이 없는 편한 교역길을 개척해놓았다. 즉 무역협정 효과가 있다면, 국가들의 GDP와 국가 간의 거리가 동일할 경우 무역협정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무역상대국들 간에 상당히 더 많은 무역을 유발한다.
중력모형 : 여타의 조건이 같을 때 두 국가 간의 무역은 그들의 GDP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
모든 추정된 중력모형은 국제무역에서 거리는 강한 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추정치는 두 국가 간의 거리가 1% 멀어지면 국가 간의 무역은 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송비의 증가를 부분적으로 반영한다. 국가들의 밀접한 인적 접촉이 무역을 강화하고 인적 접촉은 거리가 멀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미로 남부의 홀로 떨어진 호주는 무역규모가 작을 수 밖에 없다.
4. 동아시아 국가들의 무역비중 증가이유
≪ 표 - 그 림 ≫
동아시아 국가들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큰 동아시아 국가 들과의 무역 관계를 만들었다.
예전에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는 시장이 상당한 금액을 가져오려면 매우 작아서 불가피하게 더 먼 곳의 선진국과의 교역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가 점점 성장함에 따라 서민들의 전체적인 소비 수요가 상승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전에는 부유한 선진국들에게 수출의 포커스가 맞춰졌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아시아 국가들도 부유한 선진국대열에 많이 쫓아감으로써, 서로가 또 다른 수출 목표가 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력모형은 두 국가간의 무역은 그들의 GDP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고 하였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GDP는 상승하였고, 거리는 서양의 다른 여타 국가들보다 가깝다.
그러므로 굳이 운송비와 시간을 들여가며 먼 곳까지 가지 않고, 같은 값이라면 소비 여력이 생긴 가까운 인근의 동아시아 국가와 거래하게 된 것이다.
2장 연습문제 1,4
1. 캐나다와 호주의 무역량 차이나는 이유는?
무역의 장애물 : 거리, 무역장벽, 국경
이 중에서 거리 라는 장애물을 생각해보면, 캐나다는 NAFTA로 경제 규모가 큰 미국과 멕시코와 관세나 국제구멱의 다른 장벽이 없는 편한 교역길을 개척해놓았다. 즉 무역협정 효과가 있다면, 국가들의 GDP와 국가 간의 거리가 동일할 경우 무역협정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무역상대국들 간에 상당히 더 많은 무역을 유발한다.
중력모형 : 여타의 조건이 같을 때 두 국가 간의 무역은 그들의 GDP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
모든 추정된 중력모형은 국제무역에서 거리는 강한 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추정치는 두 국가 간의 거리가 1% 멀어지면 국가 간의 무역은 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송비의 증가를 부분적으로 반영한다. 국가들의 밀접한 인적 접촉이 무역을 강화하고 인적 접촉은 거리가 멀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미로 남부의 홀로 떨어진 호주는 무역규모가 작을 수 밖에 없다.
4. 동아시아 국가들의 무역비중 증가이유
≪ 표 - 그 림 ≫
동아시아 국가들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큰 동아시아 국가 들과의 무역 관계를 만들었다.
예전에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는 시장이 상당한 금액을 가져오려면 매우 작아서 불가피하게 더 먼 곳의 선진국과의 교역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가 점점 성장함에 따라 서민들의 전체적인 소비 수요가 상승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전에는 부유한 선진국들에게 수출의 포커스가 맞춰졌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아시아 국가들도 부유한 선진국대열에 많이 쫓아감으로써, 서로가 또 다른 수출 목표가 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력모형은 두 국가간의 무역은 그들의 GDP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고 하였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GDP는 상승하였고, 거리는 서양의 다른 여타 국가들보다 가깝다.
그러므로 굳이 운송비와 시간을 들여가며 먼 곳까지 가지 않고, 같은 값이라면 소비 여력이 생긴 가까운 인근의 동아시아 국가와 거래하게 된 것이다.
추천자료
국제경제학의 분석도구 체계
국제경제학 비교우위 제품선정 한 국가와 자국간 교역
[국제금융론/국제경제학]약 달러 기조의 원인분석과 외환시장 안정화와 금융선진화 대응방안
[국제금융론/경제학A+] 엔화가치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치경제학][정치경제학 모델]정치경제학의 특징, 정치경제학의 접근, 정치경제학의 관련도...
[경제학]국제경제, 부동산, 국내경제등 기본개념정리
[국제경제학] 행복, 세계화와 인생 그 마주침 속에서..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를 읽고
국제경제학 연습문제 폴 크루그먼 8판 - 10장 연습문제
국제경제학 요약 (2장~1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