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적정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료적정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환자 간호
정신과의료인
활동요법
약물
훈련, 교육

본문내용

안씀
Antihistamines
hydroxizine
Atarax
50 - 400
거의 권장 안함
β- blocker
propranolol
Inderal
30 - 660
불안예방목적
Azaspirodecanedine
buspirone Hcl
Buspar
10 - 60
남용 우려 적고 금단증상 적다
tofisofam
Grandaxin
Imidazopyridine
zolpidem
Ambien
5 - 10
범불안장애
【부작용】
비교적 안전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 - 진정작용, 현기증, weakness, 운동실조, 오심
☞ 기계적인 조작은 피한다.
건망증 - triazolam, midazolam
behavioral side effects : paradoxical agitation, violent behavior
respiratory depression - excessive dose
dysarthria
④ 항조증 약물(Antimanic drugs, Mood stabilizer)
【작용기전】
신경과 근육 세포 속에서 일시적으로 증가된 sodium을 정상화시킨다.
【 항조증 약물의 종류】
화 학 명
상 품 명
용 량
(유지용량)
부 작 용
lithium
carbonate
Lithane
1800
(900)
0.5 - 1.5mEq/L의 혈중농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2.5 mEq/L 이상 시는 치명적
Lithonate
Eskalith
【부작용】
치료용량에 의한 부작용으로 50%에서 다뇨증, 다갈증, 등 , 40%에서 손의 미세한 진전, 오심, 구토, 복통, 피부발진, 부종 및 체중증가 등
독 성 : 혈중 농도가 1.5mEq/L 이상이면 복통, 구토, 설사, 진전, 운동실조가 나타나고
심하면 건반사 증가, 무도병 같은 운동장애, 국소신경증상, 의식장애, 경련등
⑤ 항경련 약물(Anticonvulsion drugs)
화 학 명
상품명
용 량
혈중농도
비 고
cabamazepine
Tegretol
400 - 1600
8-12㎍/ml
현재 기분안정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
valproate
Depakene
750 - 2000
50-100㎍/ml
【부작용】
cabamazepine - 피부발진, 운동협응장애, 졸리움, 현운, 언어장애, 운동실조, 등
드물게 재생 불량성 빈혈
valporate - 위장관계 부작용 : 오심, 구토, 설사
신경계 부작용 : 진정, 운동실조, 구음장애, 진전
기타 : 두통, 불안, 우울, 등
드물게 혈소판 감소, 혈소판 장애
⑥ 수면제(Hypnotics)
계 열
화 학 명
상 품 명
용량
barbiturates
phenobarbital
Luminal
30 - 50
amobarbital
Amytal
65 - 200
secobarbital
Seconal
100 - 200
benzodiazepines
flurazepam
Dalmane
15 - 60
triazolam
Halcion
15 - 30
nitrazepam
Mogadone
5 - 10
temazepam
Restoril
20 - 40
비benzodiazepines
- cyclopyridine
zopiclone
Imovane
7.5 - 15
- imidazopiridine
zolpideme
Ambien
10
【부작용】
barbiturates 계열 - REM억제, 의존성, 금단증상, 독성 등으로 더 이상 사용 안함
사회기술훈련 -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을 습득하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대화기술을 훈련한다. 그 외에도 약물증상관리 훈련, 금전관리 훈련, 문제해결능력, 자신의 건강 및 일상생활을 관리하는 훈련, 여가활용 훈련등도 포함된다.
일상생활훈련 - 독립적인 기능을 유발할 수 있는 행동으로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행동이며, 신체적 기능과 관련되어 있고,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문화적인 관례를 따르게 되는 행동이다.
대인관계훈련 - 특정 대상자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여 좋은 대인관계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반적인 대인관계를 개선할 수 있게 하고자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또한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들을 언어적이고 비언어적인 반응을 통해 전달하여 다양한 대인관계의 맥락 내에서 표현할 수 있고, 상황의 현실에 따라서 대인관계기술을 조율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기능수준을 유지, 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방법이며, 환경자원의 개발과 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많은 대상자들에게 갈등이나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에서의 효과적인 적응을 돕는 중요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자기주장훈련 - 사회관계, 성적표현, 업무관련 상호작용, 기타 사회상황에서 자기주장을 하도록 돕는 행동치료법의 하나이다. 사람들이 습관이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도와주며, 이들이 자신의 권리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위해서 주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 새로운 자기주장은 반대로 자신을 더 좋게 느끼도록 만들며,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스트레스관리훈련 - 왜곡된 해석이나 부적절한 대처방법으로 인해 스트레스에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의 개념을 인지하여 각자의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끔 하는 프로그램
단주모임 - 둘 이상의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끊고자 모여서 자신의 부끄러웠던 과거를 솔직히 털어 놓고, 새로운 삶을 살기 위해 힘을 합하는 모임이다. 그리고 다른 알코올 중독자를 도우는 일이 자신의 단주를 계속하게 하는 것임을 실천하는 이타적인 모임이다.
정신건강교육 - 정신적으로 환자와 상담을 통하여 교육을 해주는 것
알코올가족모임 - 알코올 중독이라는 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환자의 단주를 위해 가족과 친구들이 무엇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도움을 드리기 위한 모임.
가족교육 - 환자가 재발하지 않고 사회에 잘 적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가족의 이해와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교육을 통해 병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치료적인 가정환경을 만들고, 가족상호 간에 협력하여 병을 이기는 힘과 용기를 북돋아 주는 시간이 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1.2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