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시아의 주요 크루즈항과 터미널
Ⅰ. 아시아의 주요 크루즈항 분석
1. 싱가폴 크루즈센터
1) 국제여객터미널(IPT) 선석 현황
2) 터미널 서비스
2. 홍콩 오션터미널
1) 선석현황
2) 터미널 시설현황
3. 일본 하카타 터미널
1) 하카타 부두
2) 중앙부두
Ⅰ. 아시아의 주요 크루즈항 분석
1. 싱가폴 크루즈센터
1) 국제여객터미널(IPT) 선석 현황
2) 터미널 서비스
2. 홍콩 오션터미널
1) 선석현황
2) 터미널 시설현황
3. 일본 하카타 터미널
1) 하카타 부두
2) 중앙부두
본문내용
터미널과 바로 연결되어 있다. 오션터미널은 5층 높이의 건물로 1층부터 3층까지는 쇼핑몰로 형성되었고, 4, 5층은 주차장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승객들은 건물 2층에서 바로 선박에 승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일본 하카타 터미널
하카타 항은 후쿠오카 시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고베를 기준으로 서족 지방에 있는 유일한 항구이며, 지정학적으로 한국과 중국으로의 접근성이 좋다.
(1) 하카타 부두
하카타 부두에서는 쓰시마 섬, 이끼섬, 그리고 교토로 향하는 페리를 운항하고 있으며, 연평균 156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 Hakata Pier의 터미널 시설현황 -
하카타 부두에는 길이 105m와 147m의 2개의 선석이 있으며, 터미널면적은 각 5,790m²와 3 600m²이고, 터미널 주변에는 3개의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2) 중앙부두
- 중앙부두 현황 -
중앙부두(Chuo Wharf)는 1993년 4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부산과 후쿠오카를 왕래하는 페리 서비스를 하고 있다. 2001년에 약 46만 명의 국제 여객을 처리했으며, 중앙부두의 선석이 12개, 수심은 5.5~10m, 선석의 길이는 130~556m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3) 일본 하카타 터미널
하카타 항은 후쿠오카 시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고베를 기준으로 서족 지방에 있는 유일한 항구이며, 지정학적으로 한국과 중국으로의 접근성이 좋다.
(1) 하카타 부두
하카타 부두에서는 쓰시마 섬, 이끼섬, 그리고 교토로 향하는 페리를 운항하고 있으며, 연평균 156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 Hakata Pier의 터미널 시설현황 -
하카타 부두에는 길이 105m와 147m의 2개의 선석이 있으며, 터미널면적은 각 5,790m²와 3 600m²이고, 터미널 주변에는 3개의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2) 중앙부두
- 중앙부두 현황 -
중앙부두(Chuo Wharf)는 1993년 4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부산과 후쿠오카를 왕래하는 페리 서비스를 하고 있다. 2001년에 약 46만 명의 국제 여객을 처리했으며, 중앙부두의 선석이 12개, 수심은 5.5~10m, 선석의 길이는 130~556m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추천자료
세계금융자유화추세와 특징
제주지역 국제금융센터 추진의 의의와 전략적 재조명
한,중,일 동아시아시아 3개국을 중심으로 유교의 형성과 영향
국제 금융․자본 시장의 변화와 아시아의 과제
[IMF경제위기][외환위기]한국의 IMF경제위기(외환위기), 일본의 IMF경제위기(외환위기), 태국...
한국의 다자안보기제 - 한미동맹
오늘날 동아사아 유교
필리핀의 경제발전, 식민지배, 성공요인, 과정,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의 비교, 특징, 경제적 ...
아시아나항공,마케팅분석,항공사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
[일본인식, 일본인식과 영국, 일본인식과 동아시아, 일본인식과 중국, 일본인식과 한국, 영국...
[한반도군비증강]한반도군비증강의 동향, 한반도군비증강의 경제효과, 한반도군비증강과 전력...
미국의 pivot to asia 정책과 중국 부상론의 마찰 가능성을 현실주의, 이상주의 관점에서 논...
[비교발전행정론] 대만의 국가발전 및 위기와 발전전략
[유학사상] 동아시아의 미학지평과 유가예술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