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장소마케팅의 정의
2.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
3. 우리나라의 지역축제 현황 및 문제점
[본론]
1. 장소마케팅 수단으로서 문학 공간
2.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경쟁력
3. 장소마케팅 사례
4. 다목리 ‘감성마을’의 장소마케팅 현황
5. 다목리 ‘감성마을’의 마케팅 전략 분석
6. 다목리 ‘감성마을’의 장소마케팅의 성과
[결론]
1. 다목리 ‘감성마을’에 대한 평가 및 개선 방안
2. 다목리 ‘감성마을’의 차별성 및 가능성
3. 결론
[참고문헌]
1. 장소마케팅의 정의
2.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
3. 우리나라의 지역축제 현황 및 문제점
[본론]
1. 장소마케팅 수단으로서 문학 공간
2.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경쟁력
3. 장소마케팅 사례
4. 다목리 ‘감성마을’의 장소마케팅 현황
5. 다목리 ‘감성마을’의 마케팅 전략 분석
6. 다목리 ‘감성마을’의 장소마케팅의 성과
[결론]
1. 다목리 ‘감성마을’에 대한 평가 및 개선 방안
2. 다목리 ‘감성마을’의 차별성 및 가능성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학관 등만 설립해서 진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위에서 제시한 차별성을 바탕으로 감성마을은 해결가능성도 제시해 준다. 이외수라는 작가가 이 장소를 배경으로 생활하면서 글을 썼듯이 독자가 직접 그 장소를 느끼면서 문학을 체험 할 수 있다. 물소리를 듣고 시원한 바람 맞으면서 또 작가가 직접 사는 곳에서 비석에 적힌 글을 읽는 것이 그냥 책을 읽는 것보다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감성마을은 생존해 있는 작가와 직접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방문객들이 감성마을에서 그의 감성을 공유하며 메말라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의 감성도 찾아갈 수 있는 공간이다.
3. 결론
“여기 오면 아무리 감성이 메마르고 녹슨 사람도 몇 시간만을 보내더라도 감성이 되살아나서 가슴이 젖은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그런 공간을 만들 작정이다. 차근차근 조금씩 해나가고 있다. … 다녀가는 분들이 잠시만이라도 행복할 수 있고 그 행복을 오래 지속 할수록 나에겐 기쁨이 되는 것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감성마을의 촌장인 이외수 작가가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가 감성마을의 촌장이 된 이유이자 화천이 감성마을을 조성한 가장 큰 이유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본다. 하지만 현재 감성마을에 방문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주로 이외수 작가가 살고 있다는 것 때문에 방문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방문객들이 이외수 작가의 강연만 듣고 가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실제적으로 얻는 이득은 미미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제부터 감성마을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자신의 메마른 감성을 깨닫고 문학과 함께 감성을 충전해가는 장소이자 지역주민들이 방문객들과 소통하며 감성마을을 더 나은 장소로 이끌어서 결국은 방문객과 지역주민들 모두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더 나은 대안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이무용, 대한지리학회지, 2006(39~57)
- 문화관광축제 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오 감사원평가연구원, 2007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 종로지역을 사례로」, 이은숙 외 2, 국토지리학회, 2007,
제41권 1호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110502005033&subctg1=&subctg2
-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9%B8%EC%88%98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742&yy=2011
- http://www.kyobobook.co.kr/author/info/AuthorInfo.laf?authorid=1000022901
- http://www.oisoo.co.kr/oisoo/oisoo_01.htm
-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9%B8%EC%88%98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27956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80247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1011650021&code=960100
- http://hcinews.co.kr/ArticleView.asp?intNum=1363&ASection=001001
- http://pann.news.nate.com/info/250371555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390338
- 다목리 이장님 인터뷰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12066
- http://maggot.prhouse.net/68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_CD=A0001249102&PAGE_CD=
- http://newsk.kr/Article/ArticlePrint.asp?ArticleId=2900&Section=03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521509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8871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84851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52150921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9804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2706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31673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02340
- http://maggot.prhouse.net/681
위에서 제시한 차별성을 바탕으로 감성마을은 해결가능성도 제시해 준다. 이외수라는 작가가 이 장소를 배경으로 생활하면서 글을 썼듯이 독자가 직접 그 장소를 느끼면서 문학을 체험 할 수 있다. 물소리를 듣고 시원한 바람 맞으면서 또 작가가 직접 사는 곳에서 비석에 적힌 글을 읽는 것이 그냥 책을 읽는 것보다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감성마을은 생존해 있는 작가와 직접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방문객들이 감성마을에서 그의 감성을 공유하며 메말라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의 감성도 찾아갈 수 있는 공간이다.
3. 결론
“여기 오면 아무리 감성이 메마르고 녹슨 사람도 몇 시간만을 보내더라도 감성이 되살아나서 가슴이 젖은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그런 공간을 만들 작정이다. 차근차근 조금씩 해나가고 있다. … 다녀가는 분들이 잠시만이라도 행복할 수 있고 그 행복을 오래 지속 할수록 나에겐 기쁨이 되는 것이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감성마을의 촌장인 이외수 작가가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가 감성마을의 촌장이 된 이유이자 화천이 감성마을을 조성한 가장 큰 이유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본다. 하지만 현재 감성마을에 방문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주로 이외수 작가가 살고 있다는 것 때문에 방문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방문객들이 이외수 작가의 강연만 듣고 가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실제적으로 얻는 이득은 미미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제부터 감성마을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자신의 메마른 감성을 깨닫고 문학과 함께 감성을 충전해가는 장소이자 지역주민들이 방문객들과 소통하며 감성마을을 더 나은 장소로 이끌어서 결국은 방문객과 지역주민들 모두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더 나은 대안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이무용, 대한지리학회지, 2006(39~57)
- 문화관광축제 지원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오 감사원평가연구원, 2007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 종로지역을 사례로」, 이은숙 외 2, 국토지리학회, 2007,
제41권 1호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110502005033&subctg1=&subctg2
-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9%B8%EC%88%98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9742&yy=2011
- http://www.kyobobook.co.kr/author/info/AuthorInfo.laf?authorid=1000022901
- http://www.oisoo.co.kr/oisoo/oisoo_01.htm
-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9%B8%EC%88%98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27956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80247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1011650021&code=960100
- http://hcinews.co.kr/ArticleView.asp?intNum=1363&ASection=001001
- http://pann.news.nate.com/info/250371555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390338
- 다목리 이장님 인터뷰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12066
- http://maggot.prhouse.net/68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_CD=A0001249102&PAGE_CD=
- http://newsk.kr/Article/ArticlePrint.asp?ArticleId=2900&Section=03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8/24/0200000000AKR20090824153400062.HTML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521509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8871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84851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52150921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9804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2706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31673
-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02340
- http://maggot.prhouse.net/681
추천자료
장소마케팅 : 지방자치시대 한국의 장소마케팅전략이 나아가야 할 방향
장소마케팅 - 동대문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본 독일 맥주축제
장소마케팅의 사례 및 이론적접근
장소마케팅에 대한 고찰(개념 및 정의, 등장배경, 유형, 문화적 함의 등)
[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전략][마케팅]장소의 정의, 장소의 정체성, 장소마케팅의 개념과 배...
[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의 개념, 장소마케팅의 도구와 영역자산, 장소마케팅의 유형별 사례, ...
[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장소마케팅 전략][장소마케팅 성공 사례][장소]장소마케팅의 정...
[장소마케팅] 리버풀(Liverpool)의 장소마케팅의 성공사례 분석 및 장소마케팅 [A+ 평가 레포트]
장소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리버풀의 장소마케팅 성공 사례 (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