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문] 카이에소바주2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문] 카이에소바주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장 뉴욕에서 베링 해협으로

2. 제1장 잃어버린 대칭성을 찾아

3. 제2장 태초에 신은 곰이었다

4. 제3장 ‘대칭성의 인류학’입문

5. 제4장 해안의 결투

6. 제5장 왕이 되지 않은 수장

7. 제6장 환태평양의 신화학으로 1

8. 제7장 환태평양의 신화학으로 2

9. 제8장 ‘식인’으로서의 왕 ㅡ 나라의 발생

10. 종장 ‘야생의 사고’로서의 불교

본문내용

부친이 공화제 국가에 가까운 작은 나라의 왕이었지만, 그 성격은 오히려 수장에 가까운 존재였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불교의 기본이 되는 것은 불, 법, 승이다. 불은 부처로, 부처는 사태가 일어난 원인과 결과를 밝힘으로써 당사자 모두의 마음을 해방시키고자 한다. 또 왕의 권력을 부정하고 오히려 대칭성 사회의 수장의 이상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법(달마)에는 이 점이 좀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자연’이 갖고 있는 이 힘을 새롭게 개념화 하는 작업 바로 ‘공’인데 존재자체를 부정함으로써 권력 자체도 모호하게 한다. 즉 권력을 부정하는 가르침을 설파한 것이다. 세 번째, 승려의 공동체 상가는 국가를 부정하는 공동체를 국가 안에 정착시키고자 했던 셈이다. 불교는 이 세 가지가 하나가 되어 권력을 무력화시켜 ‘자연’속으로 돌려보내고 권력이 낳은 야만을 소멸시키고자 했다.
‘공’에는 가공할 만한 ‘식인’으로서의 측면과 자비심 많은 ‘증여자’로서의 측면이 동거하는데 이 말에 의해 금세 떠오르는 것이 곰으로 곰의 개념 속에는 공의 개념과 구조적으로 완전히 똑같은 양면성이 숨어 있는 듯하다. 즉 불교는 곰이 갖고 있는 야생적 사고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2.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7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