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각 공정
2. 건식 식각(Dry Etching)
3.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
4.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2. 건식 식각(Dry Etching)
3.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
4.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본문내용
Dry EtchingECR-RIE
┃ 식각 공정
┗━━━━━━━━━━─────────…
식각 공정은 마스크를 사용하는 선택 식각과 그렇지 않은 전면 식각으로 나룰 수 있다.
1. 선택 식각 : 마스크 사용, 직접 회로 프로세스의 핵심 기술
초미세 가공 기술
2. 전면 식각 : 웨이퍼 표면의 청정화와 결정 결함의 평가
a. 웨이퍼 표면의 청정화
: 연마나 절삭 등의 기계적 가공으로 생긴 변형층을 제거 or
여러 단위 공정 중에 표면의 세정이나 불필요한 막을 제거할 목 적
b. 결정 결함의 평가
● 식각방법
: 건식 방식(Dry Etching) 와 습식방식(Wet Etching)으로 나누어 지며 감광막 제거 공정도 포함한다.
▶건식 방식(Dry Etching)
: 피가공 재료 위에 가스를 공급해 반응을 일으켜서 증기압이 높은 물질 또는 휘발성 물질을 생성시킴으로써 식각하는 방법, 기판 재료와 반응하여 그에 적합한 생성물이 얻어지는 가스를 사용
-기판 재료 : Si, SiO₂, Si₃N₄ 같은 실리콘 화합물
-가스 : 실리콘 화합물이기 때문에 불소등 할로겐 원소를 기본으로 하는 가스가 주
┃ 건식 식각(Dry Etching)
┗━━━━━━━━━━─────────…
1. 물리적
- Ion Beam Milling
2. 물리 화학적
- RIBE
- CAIBE
- RIE
- Magneto Microwave (ECR)
- PPE
3. 화학적
4.광화학적
┃ 물리화학적
┗━━━━━━━━━━─────────…
► 현재, 주요 소자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대분분의 건식 식각장비가 이 부류에 속한다.
► 화학적으로 증강된 물리적 스퍼터링
► 손상에 의해 증강된 화학 반응성
► 화학적 스퍼터링 (즉, 이온충격은 화학반응이 진행될 에너지를 제공) 중 어느 하나, 혹은 혼합적인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플라즈마 중에 형성된 이온과 반응성 래디칼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 식각 공정
┗━━━━━━━━━━─────────…
식각 공정은 마스크를 사용하는 선택 식각과 그렇지 않은 전면 식각으로 나룰 수 있다.
1. 선택 식각 : 마스크 사용, 직접 회로 프로세스의 핵심 기술
초미세 가공 기술
2. 전면 식각 : 웨이퍼 표면의 청정화와 결정 결함의 평가
a. 웨이퍼 표면의 청정화
: 연마나 절삭 등의 기계적 가공으로 생긴 변형층을 제거 or
여러 단위 공정 중에 표면의 세정이나 불필요한 막을 제거할 목 적
b. 결정 결함의 평가
● 식각방법
: 건식 방식(Dry Etching) 와 습식방식(Wet Etching)으로 나누어 지며 감광막 제거 공정도 포함한다.
▶건식 방식(Dry Etching)
: 피가공 재료 위에 가스를 공급해 반응을 일으켜서 증기압이 높은 물질 또는 휘발성 물질을 생성시킴으로써 식각하는 방법, 기판 재료와 반응하여 그에 적합한 생성물이 얻어지는 가스를 사용
-기판 재료 : Si, SiO₂, Si₃N₄ 같은 실리콘 화합물
-가스 : 실리콘 화합물이기 때문에 불소등 할로겐 원소를 기본으로 하는 가스가 주
┃ 건식 식각(Dry Etching)
┗━━━━━━━━━━─────────…
1. 물리적
- Ion Beam Milling
2. 물리 화학적
- RIBE
- CAIBE
- RIE
- Magneto Microwave (ECR)
- PPE
3. 화학적
4.광화학적
┃ 물리화학적
┗━━━━━━━━━━─────────…
► 현재, 주요 소자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대분분의 건식 식각장비가 이 부류에 속한다.
► 화학적으로 증강된 물리적 스퍼터링
► 손상에 의해 증강된 화학 반응성
► 화학적 스퍼터링 (즉, 이온충격은 화학반응이 진행될 에너지를 제공) 중 어느 하나, 혹은 혼합적인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플라즈마 중에 형성된 이온과 반응성 래디칼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