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2. 게슈탈트 이론의 주요개념
(1) 미해결 과제
(2) 알아차림 및 접촉
(3) 접촉
(4) 끊임없는 반복 순환
(5) 실험
3.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목적
4. 게슈탈트 프로그램 실천 방법론
(1) 미술 기법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3) 운동 및 신체작업
(4) 상상하기
5. 청소년 공격성에 대한 게슈탈트 이론의 이해
(1) 공격성에 대한 이해
(2) 공격성을 다루는 방법
III. 결론
<참고 문헌>
II. 본론
1.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2. 게슈탈트 이론의 주요개념
(1) 미해결 과제
(2) 알아차림 및 접촉
(3) 접촉
(4) 끊임없는 반복 순환
(5) 실험
3.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목적
4. 게슈탈트 프로그램 실천 방법론
(1) 미술 기법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3) 운동 및 신체작업
(4) 상상하기
5. 청소년 공격성에 대한 게슈탈트 이론의 이해
(1) 공격성에 대한 이해
(2) 공격성을 다루는 방법
III.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경의 일부분을 분해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으로 정의하며, 장애가 무엇이든 간에 이에 대항하여 행동하는 공격적 행동은 욕구화된 목적을 성취하는 한 방법으로 간주한다. Perls는 공격 과정은 자신이나 타인에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공격성 그것 자체로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공격적 행동은 유기체의 욕구를 만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공격성을 폭력 행위로서가 아니라 동화를 위해 환경을 분해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 Perls는 만일 우리가 씹고 소화시키는 과정없이 자원을 그대로 삼켜버리면 우리는 해로운 물질을 소화시킬 위험에 놓이게 되고 만일 이런 과정이 어린 시절에 일어나게 되면 해로운 물질은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폭력적인 씨앗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믿었다.
(2) 공격성을 다루는 방법
게슈탈트 이론에서 공격성은 미해결 과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완전한 게슈탈트로서, 의도적으로 타인에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 손상을 끼치려는 건강하지 못한 감정 혹은 행동을 의미한다. 때문에 공격성을 해소하기 위해 미해결 과제에 초점을 두는데, 이러한 미해결 과제를 전경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지금 - 여기의 감정 자각에 초점을 두며, 두 번째 방법은 과거의 구체적인 상황과 현재를 연결 지음으로써 미해결 과제를 전경으로 끌어들이고자 한다. 미해결 과제의 결과는 종종 신체 내부 다른 어떤 것을 봉쇄하는데, 만일 느낌이 표현되지 않으면, 이 느낌은 어떤 신체적 징후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즉, 내담자의 신체적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유기체 이론에 입각하면, 모든 심리적 문제는 반드시 신체현상과 함께 나타나며, 또한 모든 신체증상은 동시에 심리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 둘을 항상 함께 다루어야 한다. 인간은 살아오면서 감정이나 욕구를 억압해 왔기에 이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쉽지 않다. 하지만 신체현상을 알아차리는 것은 훨씬 쉬우므로, 일단 신체 상태를 먼저 알아차리고 이에 주의를 집중하면, 관련된 정서 상태를 알아차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신체 상태를 알아차리게 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정서상태를 알아차린다. 여기서 억압된 감정이나 욕구를 알아차리고 미해결 과제를 완결한다.
III. 결론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지금-여기-현재’의 알아차림과 접촉을 통하여 미해결과제를 완성하고, 스스로 깨닫고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게슈탈트 상담의 유용성은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부정적인 내적 정서인 심리적인 미해결과제를 직접적으로 다룸에 있다. 지금-여기-현재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좀 더 온전히 체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게슈탈트 상담의 목표는 알아차림과 접촉이다. 알아차림이란 개체가 유기체 - 환경의 장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을 전경으로 떠올려 게슈탈트를 형성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접촉이란 그렇게 형성된 게슈탈트를 행동을 통하여 해소하는 행위라고 볼 때,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알아차림과 접촉을 하지 못해 자신의 유기체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알아차림 - 접촉 주기의 첫 단계는, 배경으로부터 유기체 욕구나 감정이 신체감각의 형태로 느껴지는 것이다.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 기초적인 신체감각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접촉하게 되고, 신체적 에너지를 동원하여 행동을 하고, 궁극적으로 욕구를 접촉하게 된다.
<참고 문헌>
김경희(2010),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로버트 솔소 저, 신현정 외 역(2009), 시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하워드 켄들러, 이승복 외 역(2009), 심리학사, 학문사
(2) 공격성을 다루는 방법
게슈탈트 이론에서 공격성은 미해결 과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완전한 게슈탈트로서, 의도적으로 타인에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 손상을 끼치려는 건강하지 못한 감정 혹은 행동을 의미한다. 때문에 공격성을 해소하기 위해 미해결 과제에 초점을 두는데, 이러한 미해결 과제를 전경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지금 - 여기의 감정 자각에 초점을 두며, 두 번째 방법은 과거의 구체적인 상황과 현재를 연결 지음으로써 미해결 과제를 전경으로 끌어들이고자 한다. 미해결 과제의 결과는 종종 신체 내부 다른 어떤 것을 봉쇄하는데, 만일 느낌이 표현되지 않으면, 이 느낌은 어떤 신체적 징후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즉, 내담자의 신체적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유기체 이론에 입각하면, 모든 심리적 문제는 반드시 신체현상과 함께 나타나며, 또한 모든 신체증상은 동시에 심리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 둘을 항상 함께 다루어야 한다. 인간은 살아오면서 감정이나 욕구를 억압해 왔기에 이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쉽지 않다. 하지만 신체현상을 알아차리는 것은 훨씬 쉬우므로, 일단 신체 상태를 먼저 알아차리고 이에 주의를 집중하면, 관련된 정서 상태를 알아차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신체 상태를 알아차리게 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는 정서상태를 알아차린다. 여기서 억압된 감정이나 욕구를 알아차리고 미해결 과제를 완결한다.
III. 결론
게슈탈트 프로그램의 ‘지금-여기-현재’의 알아차림과 접촉을 통하여 미해결과제를 완성하고, 스스로 깨닫고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게슈탈트 상담의 유용성은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부정적인 내적 정서인 심리적인 미해결과제를 직접적으로 다룸에 있다. 지금-여기-현재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좀 더 온전히 체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게슈탈트 상담의 목표는 알아차림과 접촉이다. 알아차림이란 개체가 유기체 - 환경의 장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을 전경으로 떠올려 게슈탈트를 형성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접촉이란 그렇게 형성된 게슈탈트를 행동을 통하여 해소하는 행위라고 볼 때,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알아차림과 접촉을 하지 못해 자신의 유기체 욕구를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알아차림 - 접촉 주기의 첫 단계는, 배경으로부터 유기체 욕구나 감정이 신체감각의 형태로 느껴지는 것이다.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 기초적인 신체감각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접촉하게 되고, 신체적 에너지를 동원하여 행동을 하고, 궁극적으로 욕구를 접촉하게 된다.
<참고 문헌>
김경희(2010),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로버트 솔소 저, 신현정 외 역(2009), 시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하워드 켄들러, 이승복 외 역(2009), 심리학사, 학문사
추천자료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법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고찰
<상담심리학공통>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비교 설명&...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이해와 제언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의 비교설명과 비교표
Gestal(게슈탈트 - 형태심리학
2012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2013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실제(가상 대화록)
2018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 인간중심, 게슈탈트 상담이론)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게슈탈트 이론 (Gestalt theor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