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특징및 장점단점 분석,시장영향력, 미래전망분석,4G LTE의 특징,업계동향,향후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폰 특징및 장점단점 분석,시장영향력, 미래전망분석,4G LTE의 특징,업계동향,향후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서론
나. 본론
Ⅰ. 스마트폰이란?
1. 스마트폰의 정의
2. 스마트폰 분석
(1) 스마트폰의 특징
(2) 스마트폰의 장점
(3) 스마트폰의 단점
Ⅱ. 스마트폰과 시장
1. 스마트폰 등장에 따른 시장 변화
2. 스마트폰 발달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3. 미래의 시장 전망
다. 4G
Ⅰ. 4G이동통신이란?
1. 4G 이동통신 기술의 개념
2. 4G 이동통신 기술의 특징
3. 4G 이동통신의 적용 기술
Ⅱ. 4G의 연구개발 동향
1. 국내 동향
2. 해외 동향
Ⅲ. 4G의 시장동향 및 전망
1. 4G의 시장동향
1) 4G 도입 현황
2) 시장 전망
2. 4G의 업계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동향
라. 결론

본문내용

2년까지 73개 사업자가 LTE 서비스를 상용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반해 WiMAX는 현재 주요 대형 통신사들 보다는 중소규모 혹은 시외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사와 신흥 시장 중심으로 꾸준히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WiMAX가 활용되는 2GHz 이상의 unpaired 주파수 대역의 활용도가 선진국보다 신흥 시장에서 활발하고, 3G에서 업그레이드된 기술인 LTE 보다는 독자적으로 개발된 WiMAX 기술이 신흥 국가 입장에서 부담이 덜 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이동통신 인프라 구축 패턴이 매우 다양하고 파편화 되어 있어, 3G 네트워크를 뛰어넘고 바로 4G를 구축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유럽시장보다 빠른 4G 도입이 이뤄질 공산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3G의 다수를 이루고 있는 WCDMA의 연장선 속에 있는 LTE의 기술적 완성도가 WiMAX보다 높을 것이라는 기대와 대다수의 선진국 이통사가 4G 네 트워크로 WiMAX보다는 LTE를 선호하고 있는 점을 볼 때 LTE가 앞서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각에서는 LTE와 WiMAX의 공존을 주장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TD_LTE의 등장과WiMAX/LTE 듀얼 모드 단말 수요의 증가, WiMAX와 LTE의 시장 성장의 기반이 다른점 등을 제시하고 있다. TD-LTE는 WiMAX와 같은 TD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두 기술 사이에 구조적 공통점도 많아 인프라 측면의 전환 장벽이 높지 않은 편으로 개발업체 입장에서 손쉽게 WiMAX에서 LTE로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시장 성장 기반을 보면, 세계적으로 WiMAX는 유선사업자가 초고속인터넷 망의 무선 확장으로 도입하는 사례가 많으며,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에는 3G 환경이 충분히 구축되지 않은 국가 혹은 3G환경을 구축하지 않은 사업자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고, 반면 LTE의 경우에는 3G 이동통신 환경이 안정적으로 구축된 선진국 이동통신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기업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있어 WiMAX를 채택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4G시장은 기존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연계 하에 발전하는 LTE 영역과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신흥 국가를 중심으로 유선 브로드밴드 망과 연계하여 발전하는 WiMAX영역, 스마트 그리드 등 기업용 시장과 공공 시장을주 타겟으로 하는 WiMAX 영역으로 구분되어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2) 국내 동향
- 해외의 경우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모바일 인터넷이 활성화됨에 따라 좀 더 빠른 이동통신망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4G 구축 움직임이 활발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시작단계이다.
SK 텔레콤은 올해 3세대와 4세대 LTE 네트워크 구축에 2조 3000억 원을 투자하여 3G의 용량 증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LTE 구축한다고 발표하였다. 2011년 4월 16일 국내 최초로 LTE 시험 전파 발사 후, 오는 7월 LTE 상용 서비스를 위해 실제 무선 환경에서의 호처리, 데이터 전송속도 검증, 핸드오버 테스트, 망 최적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뒤 수도권주요 도시, 광역시 등 23개시에 조속히 망 구축을 완료하고, 2013년 까지 전국 82개 도시로 확장 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2G(CDMA)에 활용했던 800M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LTE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광범위하게 설치된 2G 중계기를 LTE망에서 활용해 초기 구축 단 계부터 음영지역 없는 촘촘한 커버리지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SK텔레콤과 더불어 국내 최고 상용화 경쟁에 나선 LG U+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LTE 구축 전략을 발표하였다. 3G망 자체를 아예 가지고 있지 않던 LG U+였기 때문에 하루 빨리 LTE를 도입하여 이제까지 고객들에게 외면 받아 소외되었던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려고 한다. 오는 7월 서울, 부산, 광주를 시작으로 LTE 서비스를 상용화 하여 내년 7월 전국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1년 총 1조 7천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인 U+zone 완성 및 LTE 전국망 조기 구축을 철저히 준비할 계획으로 올해 8500억, 내년 4000억원 등 내년까지 LTE 총 투자 규모는 1조 25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KT는 비교적 잠잠하다. 과거 조 단위 투자비를 들여 국내 이통사 최초로 3G를 도입했지만, SK 텔레콤의 1위 자리를 크게 위협하지 못하고 오히려 3G공세로 인한 마케팅비만 상승과 2010년 초부터 시작된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한 무선데이터 트래픽 폭증 때문에 당장 망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상황이어서 LTE와 중복투자 우려가 불거졌다.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와는 달리 WiBro-WiFi를 우회망으로 활용하고 있고, 3G에 대한 투자이익 회수와 WiMax 때문에 KT가 섣불리 출혈성 이미지 선점 경쟁에 뛰어들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기술 개발 측면에서는 국내에서도 4G 기술 개발에 상당부분 참여 하고 있다. 삼성전자, KT, 인텔 등이 WiMAX 기반의 와이브로 진영에 포진해 있고, 최근 LG전자가 LTE 기술 기반 단말 모뎀침을 개발하고 LTE 진영에 가세함으로써 국내 대표적인 전자기업인 삼성과 LG의 상반된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라. 결론
현재 3G 스마트폰의 인터넷 속도는 컴퓨터의 인터넷에 비해 속도가 현저히 느린 것이 사실이다. 최근 출시된 3G 스마트폰 중 최고사향을 자랑하는 갤럭시S2는 3G 스마트폰의 성능을 극대화했지만, 4G 스마트폰의 속도를 따라가기엔 한계가 있다. 해외에 비해 국내시장은 LTE 망의 설비와 투자가 미흡하기 때문에 4G 스마트폰의 국내 출시는 2012년 이후로 미뤄질 전망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3G 스마트폰의 속도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3G 최신 기술인 HSPA+와 5GHz 와이파이 지원 여부를 체크해볼 필요가 있으며 KT에서 6월 경 출시될 HTC 에보 4G 등 3W(와이브로 지원) 스마트폰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키워드

스마트폰,   lte,   4g,   마케팅,   애플,   아이혼,   갤럭시,   와이브로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2.1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