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견문록과 표해록간의 상세비교와 관찰자의 관점 및 묘사 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방견문록과 표해록간의 상세비교와 관찰자의 관점 및 묘사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을 뿐이었다. 이런 중세 유럽인들에게 동방견문록은 미지의 동방 세계에 대한 놀라운 지식의 보고(寶庫)였던 것이다. 결국 동방견문록으로 인하여 서구세계는 동양에 대한 지식이 늘어나게 됨과 동시에 세계를 정복할 수 있을 수 있었다. 그런 반면 표해록은 어떠한가? 조선인들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더 넓은 세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폭제가 되었기는커녕, 당파싸움이라는 하잘것없는 관리들의 이익다툼으로 인해서 하마터면 영원히 사장될 뻔할 정도로 조선사회의 변혁과 민중들의 시야의 확대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잘 인식하고 좀 더 실리적인 생각의 추구를 통하여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漂海錄再評 : 葛振家授//北京大學校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2.21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