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데이터
(1) 실험결과
(3) 오차원인
5. 토의
2. 데이터
(1) 실험결과
(3) 오차원인
5. 토의
본문내용
들어오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계기이다. 즉 오실로스코프는 신호의 파형을 관찰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비이기 때문에 좋은 오실로스코프의 경우라도 오차가 ±5%정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5. 토의
이번 실험은 지금까지 했던 실험들 중 가장 오차율이 작았다. 실험에서는 그리 어려운 점 없이 수월하게 진행했지만 실효전압의 이론값을 구할 때 왜 정현파와 톱니파, 사각파의 최대 전압에 각각 ,,1을 곱해야 하는지를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실험이 끝난 후 추가 조사에 의해서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교류의 전력은 시간에 따라 일정치 않으므로 평균전력을 생각할 때 평균전력과 같은 값을 내는 직류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값들을 교류의 실효값이라 하는데 실효전압은 그중 전압의 실효값을 말하는 것이다.
최대전압을 , 실효전압을 라 할 때 최대전압과 실효전압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이를 토대로 정현파의 실효전압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실효전압은 주기 를 로 하여도 같은 값이 나오는데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서 톱니파의 실효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파의 경우는 제곱을 하게 되면 항상 최대전압의 값을 가지므로 실효전압과 최대전압의 값은 같게 된다.
5. 토의
이번 실험은 지금까지 했던 실험들 중 가장 오차율이 작았다. 실험에서는 그리 어려운 점 없이 수월하게 진행했지만 실효전압의 이론값을 구할 때 왜 정현파와 톱니파, 사각파의 최대 전압에 각각 ,,1을 곱해야 하는지를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실험이 끝난 후 추가 조사에 의해서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교류의 전력은 시간에 따라 일정치 않으므로 평균전력을 생각할 때 평균전력과 같은 값을 내는 직류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값들을 교류의 실효값이라 하는데 실효전압은 그중 전압의 실효값을 말하는 것이다.
최대전압을 , 실효전압을 라 할 때 최대전압과 실효전압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이를 토대로 정현파의 실효전압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실효전압은 주기 를 로 하여도 같은 값이 나오는데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서 톱니파의 실효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파의 경우는 제곱을 하게 되면 항상 최대전압의 값을 가지므로 실효전압과 최대전압의 값은 같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