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암페어의 법칙
* 실험목표
* 실험 원리
⑴ 홀 센서의 원리
⑵ 직선도선에서의 자기장
⑶ 원형도선에서의 자기장
* 실험 기구
* 주의사항
* 실험 방법
⑴ 직선 도선에서의 자기장
⑵ 원형 도선에서의 자기장
⑶ 솔레노이드 코일에서의 자기장
-결과보고서-
3.10 암페어의 법칙
◉개요목표
◉실험결과
⊙결과분석
⊙오차가 발생한 이유
⊙의견
* 실험목표
* 실험 원리
⑴ 홀 센서의 원리
⑵ 직선도선에서의 자기장
⑶ 원형도선에서의 자기장
* 실험 기구
* 주의사항
* 실험 방법
⑴ 직선 도선에서의 자기장
⑵ 원형 도선에서의 자기장
⑶ 솔레노이드 코일에서의 자기장
-결과보고서-
3.10 암페어의 법칙
◉개요목표
◉실험결과
⊙결과분석
⊙오차가 발생한 이유
⊙의견
본문내용
.1013
0.0914
9
1A
-0.060
-0.059
-0.054
-0.0577
0.0183
68
1.5A
-0.022
-0.015
-0.023
-0.0200
0.0274
37
2A
-0.035
-0.037
-0.032
-0.0347
0.0365
5
2.5A
-0.042
-0.048
-0.048
-0.0460
0.0457
0.6
⊙결과분석
직선도선에서 전류(I)가 흐를 때 도선 주위에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1에서 도선으로부터의 거리(r)가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대체적으로 감소한다. 반경의 원형도선에서 전류(I)가 일정하게 흐를 때 중심 축의 임의의 점(P)에서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2에서 도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증가한다. 매우 긴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전류(I)가 흐를 때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3에서 전류(I)의 값이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증가한다.
⊙오차가 발생한 이유
모든 실험에서 자기장을 측정할 때 부호(+, -)에 주의해야 한다.
솔레노이드 코일이 충분히 많이 감겨 있어야 전류가 흐르고 자기장이 잘 발생한다.
테슬라 메타는 외부 자기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실험 장치 주변에 다른 자기장이 흘러선 안된다.
⊙의견
실험결과에서 (1)측정값(직선도선)의 오차가 가장 컸다. 이는 실험 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실험 장치를 afltnr하게 다뤄 발생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측정값(솔레노이드)에서는 Biot-Savart의 법칙과는 달리 솔레노이드의 길이는 유한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길이 보정을 꼭 해주어야 한다.
0.0914
9
1A
-0.060
-0.059
-0.054
-0.0577
0.0183
68
1.5A
-0.022
-0.015
-0.023
-0.0200
0.0274
37
2A
-0.035
-0.037
-0.032
-0.0347
0.0365
5
2.5A
-0.042
-0.048
-0.048
-0.0460
0.0457
0.6
⊙결과분석
직선도선에서 전류(I)가 흐를 때 도선 주위에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1에서 도선으로부터의 거리(r)가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대체적으로 감소한다. 반경의 원형도선에서 전류(I)가 일정하게 흐를 때 중심 축의 임의의 점(P)에서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2에서 도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증가한다. 매우 긴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전류(I)가 흐를 때 자기장(B)이 발생한다. 표3에서 전류(I)의 값이 증가할수록 자기장(B)은 증가한다.
⊙오차가 발생한 이유
모든 실험에서 자기장을 측정할 때 부호(+, -)에 주의해야 한다.
솔레노이드 코일이 충분히 많이 감겨 있어야 전류가 흐르고 자기장이 잘 발생한다.
테슬라 메타는 외부 자기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실험 장치 주변에 다른 자기장이 흘러선 안된다.
⊙의견
실험결과에서 (1)측정값(직선도선)의 오차가 가장 컸다. 이는 실험 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실험 장치를 afltnr하게 다뤄 발생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측정값(솔레노이드)에서는 Biot-Savart의 법칙과는 달리 솔레노이드의 길이는 유한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길이 보정을 꼭 해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