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사관리의 개념
2. 인사관리의 목표
3. 직무중심의 인사관리
4. 현장중심의 인사관리
2. 인사관리의 목표
3. 직무중심의 인사관리
4. 현장중심의 인사관리
본문내용
동하도록 바뀌어야 한다.
그렇다면 현장중심의 인사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인사부서에서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까? 현장중심의 인사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인사부서 담당자들이 지금보다 한 차원 높은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의 인사담당자가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뒤치닥거리”를 지금처럼 직접 해결하려고 노력해서는 안 된다. 인사부서 담당자들이 아닌 HR관련 전문가로 거듭나야한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서 일부에서는 지금 인사부서 담당자들도 충분히 교육으로 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냐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고 본다. 지금의 인사부서 담당자들은 HR 전문가가 아닌 “HR관리 전문가”로 보는 쪽이 가깝다. HR관리 전문가가 아닌 HR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인적자원 전문가는 사람 좋은 것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조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많은 대인관계 기술훈련을 통해 이루어진다. 행동과학, 심리학, 조직이론, 카운슬링기법, 마인드 컨트롤 등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채용에서 퇴직에 이르기까지의 거시적인 인사전략과 Vision, 방향 설계에 관한 감각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장중심의 인사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인사부서에서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까? 현장중심의 인사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인사부서 담당자들이 지금보다 한 차원 높은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의 인사담당자가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뒤치닥거리”를 지금처럼 직접 해결하려고 노력해서는 안 된다. 인사부서 담당자들이 아닌 HR관련 전문가로 거듭나야한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서 일부에서는 지금 인사부서 담당자들도 충분히 교육으로 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냐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고 본다. 지금의 인사부서 담당자들은 HR 전문가가 아닌 “HR관리 전문가”로 보는 쪽이 가깝다. HR관리 전문가가 아닌 HR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인적자원 전문가는 사람 좋은 것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조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많은 대인관계 기술훈련을 통해 이루어진다. 행동과학, 심리학, 조직이론, 카운슬링기법, 마인드 컨트롤 등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채용에서 퇴직에 이르기까지의 거시적인 인사전략과 Vision, 방향 설계에 관한 감각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