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영조직
Ⅰ. 경영조직의 의의
1. 조직의 개념
2. 경영조직의 본질
Ⅱ. 경영조직의 제원칙
1. 명령일원화의 원칙
2. 권한 위양의 원칙
3. 기능화의 원칙
4. 감독한계의 원칙
5. 계층단축화의 원칙
6. 전문화의 원칙
1) 제품종류를 기준으로 한 제품별 부문조직
2) 판매지역을 기준으로 한 지역별 부문조직
3) 생산공정이나 시설을 기준으로 한 공정별 또는 시설별 조직
4) 고객의 종류를 기준으로 한 고객별 부문 조직
5) 직능별 분화를 기준으로 한 직능별 부문 조직
7. 조정의 원칙
8. 예외의 원칙
9.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
Ⅰ. 경영조직의 의의
1. 조직의 개념
2. 경영조직의 본질
Ⅱ. 경영조직의 제원칙
1. 명령일원화의 원칙
2. 권한 위양의 원칙
3. 기능화의 원칙
4. 감독한계의 원칙
5. 계층단축화의 원칙
6. 전문화의 원칙
1) 제품종류를 기준으로 한 제품별 부문조직
2) 판매지역을 기준으로 한 지역별 부문조직
3) 생산공정이나 시설을 기준으로 한 공정별 또는 시설별 조직
4) 고객의 종류를 기준으로 한 고객별 부문 조직
5) 직능별 분화를 기준으로 한 직능별 부문 조직
7. 조정의 원칙
8. 예외의 원칙
9.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
본문내용
기 위하여 재활동의 내부균형을 도모해가는 것을 말한다. 분업화(전문화)된 경영업무가 통합되고, 각 직무담당자의 협력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데 있어서 이와 같은 조정활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조정의 원칙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조직전체로서의 종합적인 힘은 발휘될 수 없을 것이다.
8. 예외의 원칙(Principle of exception)
상위의 관리자는 일상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규적 업무(roution work)내지 정형적 의사결정(Programmed decisions)은 모두 하위자에 위양하고 자신은 예외적 우발적 업무 내지 비정형적 의사결정(non-programmed decisions)의 처리에 전념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예외의 원칙에 따라 상위의 관리자로 하여금 하위의 관리자라도 처리할 수 있는 일상적인 자질구레한 업무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고들의 귀중한 시간을 보다 중요한 전략적 문제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9.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Principle of morale and leadership)
경영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인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조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의한 인사배치를 하고, 직무권한을 명확히 하여 권한의 위양을 행하며, 각 직무담당자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단위 조직의 책임자는 조직구성원의 근로의욕, 즉 사기를 제고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줄 알아야 한다. 이를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이라 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조직의 제 원칙은 예컨대 감독한계의 원칙과 계층 단축화의 원칙, 그리고 전문화의 원칙과 조정의 원칙 등과 같이 상호간에 이율배반적인 성격을 지닌 모순되는 원칙이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경영조직전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경영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원칙을 총합적으로 살릴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 우리나라의 기업은 제품의 다양화에 의한 경영다각화의 문제, 신제품이나 새로운 판로 내지 혁신적인 업무를 개발하는 문제, 해외사업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문제, 연공주의 인사를 능력주의인사로 전환시키는 문제 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영조직도 또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조직은 결코 고정화되어서는 안 되며, 기업체질의 개선에 적응하여 개편되는 탄력성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8. 예외의 원칙(Principle of exception)
상위의 관리자는 일상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규적 업무(roution work)내지 정형적 의사결정(Programmed decisions)은 모두 하위자에 위양하고 자신은 예외적 우발적 업무 내지 비정형적 의사결정(non-programmed decisions)의 처리에 전념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예외의 원칙에 따라 상위의 관리자로 하여금 하위의 관리자라도 처리할 수 있는 일상적인 자질구레한 업무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고들의 귀중한 시간을 보다 중요한 전략적 문제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9.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Principle of morale and leadership)
경영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인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조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의한 인사배치를 하고, 직무권한을 명확히 하여 권한의 위양을 행하며, 각 직무담당자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단위 조직의 책임자는 조직구성원의 근로의욕, 즉 사기를 제고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줄 알아야 한다. 이를 사기와 리더십의 원칙이라 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조직의 제 원칙은 예컨대 감독한계의 원칙과 계층 단축화의 원칙, 그리고 전문화의 원칙과 조정의 원칙 등과 같이 상호간에 이율배반적인 성격을 지닌 모순되는 원칙이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경영조직전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경영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원칙을 총합적으로 살릴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 우리나라의 기업은 제품의 다양화에 의한 경영다각화의 문제, 신제품이나 새로운 판로 내지 혁신적인 업무를 개발하는 문제, 해외사업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문제, 연공주의 인사를 능력주의인사로 전환시키는 문제 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영조직도 또한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조직은 결코 고정화되어서는 안 되며, 기업체질의 개선에 적응하여 개편되는 탄력성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