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라이제이션의 개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글로벌라이제이션의 개념

Ⅰ. 글로벌라이제이션

Ⅱ. 세계화와 국제화

Ⅲ. 유럽중심의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글로벌리즘

1. Golbalisation
2. Globalism

Ⅳ. 글로컬라이제이션

본문내용

서비스 보다는 가격에 있어서 경쟁을 중시했던 월마트는 한국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서비스에 크게 부합하지 못했다. 또 쇼핑을 하고 난후 식사와 오락 등도 동시에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원한다는 점도 월마트가 간과했던 점이다.
까르푸가 한국의 현지화에 실패한 원인은 월마트의 실패요인 외에도 인사관리의 실패, 협력업체와의 갈등, 공정거래위원회와의 법적 마찰 등이다. 까르푸 역시 한국 소비자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편의시설을 최소화찬 단순한 창고형 체제의 운영에 저가격 중심의 글로벌 경영전략은 한국 실정에 역시 부합되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2.2m의 높은 상품진열대, 1천 룩스의 어두운 조명, 공산품 중심의 상품진열 등도 문제이었다.
또 경영진과 직원들 사이의 부당해고, 부당 전보, 임금체불 등 각종 노동법위반으로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인사관리의 실패도 문제이었다. 근무경력 1년이 넘은 모든 직원들에게 과장 승진의 기회를 주는 등의 파격적인 인사제도 도입, 법인장, 지점장을 한국 실정에 어두운 프랑스인을 고용하는 등 현지실정에 맞지 않았다. 그 밖에도 까르푸는 국내 할인점 가운데서 협력업체들과의 마찰이 가장 많았다. 광고료를 협력업체에 부담시키는 유럽의 관례를 한국에서 그대로 무리하게 적용하려했고 신선식품 분야에서 협력업체에 납품비용을 과도하게 전가하기도 하는 등 로마에서 로마법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현지화에 실패하고 말았다.
한편 삼성테스코 홈플러스는 고급화에 의한 차별화 전략을 시도하여 국내할인점의 고급화를 선도하였고 브랜드명과 기업문화에 있어서 현지화 전략을 추구하였다.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테스코(Tesco)라는 회사명 대신 홈플러스를 사용하여 외국계 기업의 이질감을 없애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에 있어서 한국의 신바람 문화와 서구의 합리문화를 통합해 한국 실정에 맞는 기업물화를 현지화시켰다.
최근 한국시장이 외국 다국적기업의 시험시장(test market)이 되고 있어 외국 다국적기업들 입장에서는 한국 시장에서의 현지화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국토와 신속한 인터넷에 힘입은 한국의 네티즌에 의한 소비자 간의 신속한 정보교환과 구전(word of mouth) 효과 때문이다. 할리우드 영화가 미국 본토보다 먼저 한국에서 상영되고, 도요타의 뉴렉서스가 한국에서 가장 먼저 출시되고 고급양주를 한국 시장에 우선 배정되는 것 등은 좋은 예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