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효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온실효과란 무엇인가
2. 온실효과의 원인
3. 온실효과가 주는 영향
4. 온실효과의 실태는
5. 온실효과의 대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큼 이해하고 그러한 지혜를 우리의 삶, 공동체,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지침으로 작용한다.
③자연내부, 인간과 자연, 다른 문화와 믿음을 가진 사람들, 세대간,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 문제해결 방법들 사이의 상호관련과 작용을 가능한 한 많이 이해한다.
④정보용기 대신 지혜추구자가 된다. 우리는 수많은 사실과 아이디어를 통해서 알 가치가 있는 지식과 지혜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교육의 목표는 양적으로 가능한 많은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적게 배우는 것이다. 우리는 지구를 지배, 고갈, 훼손하는데 쓰이고 지구를 돌보고 함께 하는 우리의 사고와 능력을 저해하는 정보혁명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삶을 풍요롭게 하는 지구 지혜혁명을 필요로 한다.
⑤우리의 세계관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이 과정을 평생교육 과정으로 이해한다.
⑥기초교육을 위해 어린이들에게 귀를 기울인다. 우리는 진정으로 어린이들에게 귀를 기울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나와 이야기를 나눈 많은 아이들은 우리가 지구에게 행하는 많은 것들이 어리석고, 잘못된 것이라 믿는다.
⑦광고를 평가하고 억제하는 방법을 배운다. 매년 광고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2,500억불의 대부분은 우리가 가진 것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만들어 우리로 하여금 보다 많은 소비를 하게 하고 세계경제를 통하여 자원의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지 않은 제품을 사기 위해,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과시하기 위해, 벌지도 않는 돈을 소비하고 있다”고 유머작인 윌 로저스는 말하고 있다. 초등학교부터 텔레비전과 인쇄광고를 분석함으로써 심리적 조정을 파악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비판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⑧우리의 근원과 정서가 깃든 지구의 일부분 그리고 지속가능성과 적응성을 양성하고 보호하여야 k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시인이고 철학자인 게리 시나이더는 “지구에서 우리의 공간을 찾고 그 곳을 가꾸는 책임감을 길러라”고 말한다.
⑨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욕구를 배양하고 이 욕구에 따라 행동을 한다. 데이빗 오르는 “교육은 학생들이 내가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 관심을 가지고 어떤 것을 실행하는 것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⑩보다 단순하게 살아가도록 한다. 물질적인 것에 대한 단순한 추구를 통하여 행복을 찾는다는 것이 실제로 모든 종교와 철학에서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그것은 현대광고에 의해 끊임없이 전도되었다. 그러나 선진국의 몇몇 부유층 사람들은 보다 단순히 살아감을 익힘으로써 조금을 가지고 많은 것을 향유하고 즐기는 것에 기초한 자발적 단순성의 삶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들은 마하트마 간디의 충분의 원칙에 따르고 있으며, 이 원칙은 “지구는 모든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많은 것을 제공하지만 모든 사람의 욕심을 채우지는 못한다.…우리가 필요 이상의 것을 가지면 우리는 서로 서로로부터 가져오고, 미래세대로부터 빌려오고 환경과 생물종을 파괴할 뿐이다.” 이것은 우리 스스로 얼마만큼이 충분한가를 자문 해 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필요로 하는 것 이상을 가진 이들에 의한 자발적 단순성과 가난한 사람들의 강요된 단순성을 혼동하여서는 안된다. 가난한 사람들은 의식주, 깨끗한 물과 공기, 건강에 대한 기본 필수적인 것도 충족할 수 없다.
⑪부정, 무관심과 나태함으로 이끄는 보편적 덫을 피한다.
⑫다른 사람들과 자연과 협력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죄의식과 두려움을 사용하지 말고 다른 사람도 당신에게 그렇게 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⑬즐겁게 사는 기쁨과 시간을 가진다. 우리는 너무 긴장하고 심각하며 매일을 찡그린 채로 살아가서는 아니되고, 야생자연, 미, 우정과 사랑을 즐기도록 해야한다.
Ⅲ. 결론
심리학자 로버트 온스테인이 끓고 있는 개구리 증후군이라는 것으로 온실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 개구리가 불 위에서 매우 천천히 가열되고 있는 냄비 속에 앉아 있을 때 개구리에게 그 위험을 알리려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약 그 개구리가 말을 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다. “조금 더 따뜻하지만 난 괜찮아요.” 물이 조금 더 따뜻해짐에 따라 그 개구리가 곧 죽을 것이라고 경고하지만 그는 대답하기를 “온도가 계속 올라가고 있지만 난 아직 살아 있어 걱정마”할 수 도 있다. 결국 그 개구리는 끓는 물의 치명적인 위험을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 상황의 위험을 알지 못하고 죽는다. 우리도 개구리처럼 전례가 없는 미래에 직면해 있다. 우리의 감각은 다가오는 위험에 대한 경고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다.
이 과학자들은 우리가 예방원리를 채택할 것을 주장한다. 예방원리란 쉽게 도달할 수 없는 종종 돌이킬 수 없는 환경문제를 다룰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충분한 과학적 지식이 그것을 정당화하기 이전에 이미 알고 있는 것부터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이 과학자들에게 증거란 문제가 없다고 믿는 소수의 과학자들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의 위협이 가시화되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라. 우리가 확실하지 않는 이론에 근거하여 막대한 돈이 들고 정치적 혼란을 초래할 행동을 취해야만 하겠는가? 이에 어떤 과학자들은 심지어 위협이 없다 하더라고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우리는 냄비 안에 들어 있는 개구리에 불과하다. 우리가 지금 해야할 것은 냄비를 박차고 나가 그 불을 꺼야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저 위의 개구리와 똑같은 처지가 될테니까 말이다. 지구온난화는 우리가 붙인 불이다. 누가 자기가 살고 있는 집에 불을 붙이는가?
<참고문헌>
정주연/지구온난화/방지대책.htm
(http://yeongdeungpo.seoul.go.kr/영등포환경/earth.htm
환경처, 『환경백서99』
한국환경생명연구원(http://www.happygreen.co.kr)
인천환경운동연합(http://inchon.kfem.or.kr/)
1992 알기 쉬운 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G. Tyler Miller, JR 문영수외 공역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2.29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