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Ⅰ. 사회 양극화 정의
Ⅱ. 사회 양극화의 원인
1) 세계화
2) IT 혁명
3) 노동시장의 유연화
Ⅲ. 사회 양극화 진단
3. 결론
[참고 문헌
2. 본론
Ⅰ. 사회 양극화 정의
Ⅱ. 사회 양극화의 원인
1) 세계화
2) IT 혁명
3) 노동시장의 유연화
Ⅲ. 사회 양극화 진단
3.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회이며 자본주의 사회이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한 개개인의 능력만큼의 대가를 받고 삶을 살아가는 것은 당연한 이치 일 수도 있다. 이런 자본주의적 이념이 지금까지 세계를 지배해왔고 유지해온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월가를 점령하라, 유럽의 폭동, 세계 각국의 독재정치에 대한 혁명 등―의 모습을 보면 지금 세계는 변화된 사회의 모습을 원하고 있다. 이는 기존에 팽배했던 양극화 문제에 대한 불만의 폭발이라 볼 수 있다.
론 롤스의 책 ‘정의론’에서 보면 공동체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부의 분배는 필수이며,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하는 것이 제 1원칙이라고 말했다. 즉 차별 받는 사람들이 자신의 처지를 개선 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될 경우 정당화 될 수 있는 불평등이다. 사람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었을 때에 자신의 능력만큼의 차별적 대가를 받는 것은 인정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양극화는 이런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해치는 일이다. 교육과 여러 사회진출의 기회 제공 등의 문제를 볼 때 상위 계층의 그들은 능력으로 그들 지위의 세습을 위해 노력하고 이러한 이점을 가지지 못한 계층의 사람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양극화로 인하여 인간은 평등하다고 외치는 세상에서 새로운 구 세기적 계급 갈등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이 적극적이어야 한다. 정치인들은 국민들의 다수의 지지를 받는 사람들이 선택한 사람들이다. 하지만 이들이 그들의 소수의 상위 계층을 위해 정책을 펼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표 3-1) 매일경제 설문조사-1
표3-1)는 매일경제에서 리서치 전문 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이다. 이 표를 보면 정부를 가장 신뢰하지 않고 정치권과 정부를 양극화의 가장 큰 책임자로 보고 있다.
표3-2) 매일경제 설문조사-2
표3-2)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사람이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이다. 도표에는 볼 수 없지만 홍준표, 손학규 등 전 당대표보다 유재석, 이수만등의 연예인의 지지율이 높았다. 그리고 비 정치인인 안철수 대학원장이 대선후보 박근혜,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는 물론 현 대통령인 이명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설문조사는 기존 정치에 대해 한국 국민들이 얼마나 큰 불만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나라를 돌보는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정부, 정치인들의 현 모습은 위의 표에서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할 그들의 양극화의 제 1원인이 된 것이다. 양극화를 해결하는 문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정치인들에 호감도가 상승하는 일은 양극화 문제를 해결 했을 때에 비로소 나타날 것이다.
[참고 문헌]
`클라이브 폰팅. 2007. “서문.”『진보와 야만: 20세기의 역사』. 돌베개.
`양재진. 2005. “빈곤해소와 소득격차의 고착화 방지를 위한 사회 정책적 제언.”
제 5차 한국학술연구원코리아포럼
`한국정치학회/ 한국 사회학회 공편. 2007.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과 국민통합. 도서출판 인간사랑
`이병훈, 윤정향, 김종진, 강은애 지음. 2008. 양극화 시대의 일하는 사람들-
환경 미화원에서 변리사까지.
`고형일 외 8명. 2008. 양극화 해소와 사회통합. 길기획
`정덕구외 6명. 2011. 양극화 고령화 속의 한국, 제 2의 일본 되나. 매경출판㈜
`문화 일보 2008년 2월 10일자
`한겨레 신문 2009년 2월 14일자
`매일경제 2011년 11월 27일자
`네이버 백과사전
론 롤스의 책 ‘정의론’에서 보면 공동체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부의 분배는 필수이며,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하는 것이 제 1원칙이라고 말했다. 즉 차별 받는 사람들이 자신의 처지를 개선 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될 경우 정당화 될 수 있는 불평등이다. 사람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었을 때에 자신의 능력만큼의 차별적 대가를 받는 것은 인정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양극화는 이런 가장 기본적인 전제를 해치는 일이다. 교육과 여러 사회진출의 기회 제공 등의 문제를 볼 때 상위 계층의 그들은 능력으로 그들 지위의 세습을 위해 노력하고 이러한 이점을 가지지 못한 계층의 사람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양극화로 인하여 인간은 평등하다고 외치는 세상에서 새로운 구 세기적 계급 갈등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이 적극적이어야 한다. 정치인들은 국민들의 다수의 지지를 받는 사람들이 선택한 사람들이다. 하지만 이들이 그들의 소수의 상위 계층을 위해 정책을 펼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표 3-1) 매일경제 설문조사-1
표3-1)는 매일경제에서 리서치 전문 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이다. 이 표를 보면 정부를 가장 신뢰하지 않고 정치권과 정부를 양극화의 가장 큰 책임자로 보고 있다.
표3-2) 매일경제 설문조사-2
표3-2)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사람이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이다. 도표에는 볼 수 없지만 홍준표, 손학규 등 전 당대표보다 유재석, 이수만등의 연예인의 지지율이 높았다. 그리고 비 정치인인 안철수 대학원장이 대선후보 박근혜,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는 물론 현 대통령인 이명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설문조사는 기존 정치에 대해 한국 국민들이 얼마나 큰 불만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나라를 돌보는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정부, 정치인들의 현 모습은 위의 표에서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할 그들의 양극화의 제 1원인이 된 것이다. 양극화를 해결하는 문제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정치인들에 호감도가 상승하는 일은 양극화 문제를 해결 했을 때에 비로소 나타날 것이다.
[참고 문헌]
`클라이브 폰팅. 2007. “서문.”『진보와 야만: 20세기의 역사』. 돌베개.
`양재진. 2005. “빈곤해소와 소득격차의 고착화 방지를 위한 사회 정책적 제언.”
제 5차 한국학술연구원코리아포럼
`한국정치학회/ 한국 사회학회 공편. 2007.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과 국민통합. 도서출판 인간사랑
`이병훈, 윤정향, 김종진, 강은애 지음. 2008. 양극화 시대의 일하는 사람들-
환경 미화원에서 변리사까지.
`고형일 외 8명. 2008. 양극화 해소와 사회통합. 길기획
`정덕구외 6명. 2011. 양극화 고령화 속의 한국, 제 2의 일본 되나. 매경출판㈜
`문화 일보 2008년 2월 10일자
`한겨레 신문 2009년 2월 14일자
`매일경제 2011년 11월 27일자
`네이버 백과사전
키워드
추천자료
[A+평가 레포트]한미 FTA 성공적인 협상을 위한 대응방안
한국 개신교의 위기- 그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모색
우리나라의 빈부격차의원인및 실태,해결방안
양극화 과제
세계화와 한국사회 : FTA를 중심으로
레스모아 마케팅전략분석,문제점,해결방안,나의견해
2013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A형(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과 해결책)
[대한민국 건강불평등 보고서] 건강불평등의 정의, 원인, 실태, 해외 건강불평등 정책으로 바...
한국사회의문제-재벌의횡포,재벌의영세상권,대기업규제,대기업독과점,영세상건몰락
「크라제버거 (Kraze burger)」 기업 소개, 마케팅현황, 4C, STP, 7P, 문제점 및 해결방안, ...
비정규직의 원인과 실태, 해결방안
사회문제) 우리나라 주택문제에 대하여 논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