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목 적 >
< 2. 이 론 >
< 3. 실험 과정 및 실험 결과 예상 (시뮬레이션) >
< 4. 참 고 문 헌 >
< 2. 이 론 >
< 3. 실험 과정 및 실험 결과 예상 (시뮬레이션) >
< 4.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라.
(10) 전류값을 측정하여라.
0.076 A
PSpice를 통한 CURRENT LIMITER를 사용한 SERIES REGULATOR 시뮬레이션
→ 계산치와 측정치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사용한 BJT의 의 값을 0.7V라고 가정하고 계산하였고, 실제 0.65V ~ 0.85V 까지 측정되므로 의 범위를 통해 계산한 의 값은 0.65A ~ 0.85A 사이 이므로 일치함을 볼 수 있다.
→ 시뮬레이션 결과, CURRENT LIMITER를 사용한 SERIES REGULATOR 회로는 부하저항()에 0.076A를 넘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저항이 거의 0에 가까울 때, 즉 최대 전류는 0.769A로 측정되었다.
3) SHUNT REGULATOR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11) 그림 6-8의 회로를 결선하여라.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전압을 0V에서 30V까지 걸어 줄 때, 입력전압에 따른 shunt전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입력전압이 약 9.3V가 될 때까지는 가 0A의 값을 가지지만, 입력전압이 9.3V를 넘자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이 9.3V라고 예상할 수 있다.
(12) 입력전압을 변화시켰을 때 shunt 전류 의 변화를 설명하라.
→ 본래 shunt 회로는 입력전압이나 부하저항의 변화로 인해 출력전압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려고 할 때 출력 전압을 유지 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증가하여 출력전압이 증가하려고 하면 그 변화가 감지되어 비반전입력단으로 들어가게 되어 op-amp의 출력 전압을 높여 shunt 전류가 증가하며 내부 컬렉터 에미터 저항을 감소시켜 부하에 걸리는 출력 전압의 증가를 막아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킨다.
(13) 부하에 흐를 수 있는 최대전류를 계산하여라.
= 45.45mA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부하에 흐르는 최대전류를 구하기 위해서는 출력이 단락되어서 Vout이 0이 되면 구할 수 있다. 이므로 Vin이 15V일 때 계산된 결과는 45.45mA인데 시뮬레이션 결과도 약 15V에서 45.414mA로 비슷한 결과임을 볼 수 있다.
(14) 입력전압을 변화시켜가면서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변화를 설명하여라.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 결과, 점점 같이 증가 하다가 출력전압이 약 9.3V 즈음에서 더 이상 증가 하지 않고 유지됨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입력전압이 증가하여 출력전압이 증가하려고 하면 그 변화가 감지되어 비반전 입력단으로 들어가게 되며 op-amp의 출력 전압을 높여 shunt 전류가 증가하며 내부 컬렉터 에미터 저항을 감소시켜 부하에 걸리는 출력 전압의 증가를 막아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 4. 참 고 문 헌 >
- FUNDAMENTALS OF MICROELECTRONICS, RAZAVI, WILEY, 2008.
(10) 전류값을 측정하여라.
0.076 A
PSpice를 통한 CURRENT LIMITER를 사용한 SERIES REGULATOR 시뮬레이션
→ 계산치와 측정치가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사용한 BJT의 의 값을 0.7V라고 가정하고 계산하였고, 실제 0.65V ~ 0.85V 까지 측정되므로 의 범위를 통해 계산한 의 값은 0.65A ~ 0.85A 사이 이므로 일치함을 볼 수 있다.
→ 시뮬레이션 결과, CURRENT LIMITER를 사용한 SERIES REGULATOR 회로는 부하저항()에 0.076A를 넘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저항이 거의 0에 가까울 때, 즉 최대 전류는 0.769A로 측정되었다.
3) SHUNT REGULATOR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11) 그림 6-8의 회로를 결선하여라.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전압을 0V에서 30V까지 걸어 줄 때, 입력전압에 따른 shunt전류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입력전압이 약 9.3V가 될 때까지는 가 0A의 값을 가지지만, 입력전압이 9.3V를 넘자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이 9.3V라고 예상할 수 있다.
(12) 입력전압을 변화시켰을 때 shunt 전류 의 변화를 설명하라.
→ 본래 shunt 회로는 입력전압이나 부하저항의 변화로 인해 출력전압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려고 할 때 출력 전압을 유지 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증가하여 출력전압이 증가하려고 하면 그 변화가 감지되어 비반전입력단으로 들어가게 되어 op-amp의 출력 전압을 높여 shunt 전류가 증가하며 내부 컬렉터 에미터 저항을 감소시켜 부하에 걸리는 출력 전압의 증가를 막아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킨다.
(13) 부하에 흐를 수 있는 최대전류를 계산하여라.
= 45.45mA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부하에 흐르는 최대전류를 구하기 위해서는 출력이 단락되어서 Vout이 0이 되면 구할 수 있다. 이므로 Vin이 15V일 때 계산된 결과는 45.45mA인데 시뮬레이션 결과도 약 15V에서 45.414mA로 비슷한 결과임을 볼 수 있다.
(14) 입력전압을 변화시켜가면서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변화를 설명하여라.
PSpice를 통한 SHUNT REGULATOR 시뮬레이션
→ 시뮬레이션 결과, 점점 같이 증가 하다가 출력전압이 약 9.3V 즈음에서 더 이상 증가 하지 않고 유지됨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입력전압이 증가하여 출력전압이 증가하려고 하면 그 변화가 감지되어 비반전 입력단으로 들어가게 되며 op-amp의 출력 전압을 높여 shunt 전류가 증가하며 내부 컬렉터 에미터 저항을 감소시켜 부하에 걸리는 출력 전압의 증가를 막아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 4. 참 고 문 헌 >
- FUNDAMENTALS OF MICROELECTRONICS, RAZAVI, WILEY, 2008.
키워드
추천자료
전자전기회로실험] 실험기구 사용법
[전자회로실험]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 실험
[전자회로실험] 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 결과
전자회로실험 트랜지스터 특성실험
전자회로실험 - 다이오드 정류회로
전자회로실험 - 트렌지스터 직류 바이어스 실험
전자회로실험 - 부귀환과 기본적인 연산 증폭기 회로
CE 구성의 특성곡선 및 β측정 예비레포트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8. 555 타이머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5. 발진기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9. DC 모터 속도 제어 및 측정 제 1주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1. 능동필터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 - 실험 6. 차동 BJT 증폭기 특성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 - 실험 13. MOSFET 공통 소스 증폭기 주파수 특성 결과보고서